• {url:./treeAjax?siteMode=prod}

명세총고(名世叢攷)

자료명 명세총고(名世叢攷)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名世叢攷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26 MF번호 MF35-840, 85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官·軍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1(고종 28년)
· 청구기호 K2-526
· 마이크로필름 MF35-840, 851
· 기록시기 1891年(高宗 28)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8.8 X 16.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8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4×13.0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시대 議政을 비롯해 吏曹兵曹判書 및 軍營大將, 副提學 등 주요 관직 역임자의 명단을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본서와 동일한 서명의 책이 장서각에 3종(K2-525, 527, 528)이 더 소장되어 있다. 이 중 본 도서가 가장 완정한 본으로 판단된다. 본문 駙馬條에 朴泳孝가 기재되어 있고, 기록 중 最下 연도가 ‘當宁 辛卯(1891)’인 점, 정조정종으로 표기하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1891년(고종 28) 이후 고종조의 필사본으로 추정된다. 제1, 2, 4, 7, 8책은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가 있는 목판 인찰공책지에, 제3책은 필사한 인찰공책지에, 제5, 6책은 魚尾 목활자의 필사 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다. 주색 注와 官名 등을 添筆하거나 오자 등을 朱色과 흑색으로 수정하는 등의 교정 흔적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8권 8책이며, 각 책 서두에 목록을 수록하고, 이어 해당 항목을 기술하였다. 제1책은 중국 ·조선의 국왕별 紀年을 기록한 뒤 의정부의 삼정승을 비롯해 贊成, 舍人, 檢詳, 비변사 부제조와 공신, 각 군영대장 등의 명단을 수록하였다. 2책에는 이조판서참판, 참의, 전랑병조호조판서, 선혜청 당상을, 3책에는 대제학제학을 비롯한 홍문관 관원과 讀書堂, 규장각, 세자시강원빈객 등을 수록하였다. 4책에는 學校라 하여 성균관대사성을 비롯해 승정원도승지예문관 소속의 응교와 翰林(봉교·대교·검열)과 승정원주서, 세자시강원설서 등을 수록하였다. 5책에는 홍문관 6품 이상의 명단을 玉堂考에, 7품 이하 관원의 명단을 南床考에 나누어 수록하였고, 6책에는 기로소 입사 명단과 유림을 비롯해 山林의 관직인 찬선이나 좨주 등과 청백리 명단, 중국으로 파견된 사신과 통신사 명단 등을 수록하였다. 7책에는 각 도의 감사留守의 명단을, 8책에는 俎豆錄이라고 하여 문묘대보단 등에 배향된 유학자들을 수록하였다.
대상 인물의 기록 방식은 대상자별로 차이가 있으나, 관직 중 가장 많은 정보를 수록한 議政의 경우에는 대개 字·號·本貫·生年·사망한 나이, 주요 이력 및 拜相 시기, 父 등의 순서로 기록하였다. 나머지 관직의 경우 본관과 시호, 관직 진출 경로, 父·子 등을 기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본서에 수록 대상이 된 관직은 이른바 淸要職에 해당되는 관직이므로, 조선시대 관료층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또한 제도 운영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책에 수록된 내용 중 翰林은 흔히 史官이라 일컬어지는 관직으로, 自薦制의 형태로 관원을 선발하다가 1741년(영조 17)부터 召試法이 적용되었는데, 본서에는 이러한 변화에 따른 선발 과정을 그대로 수록하였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