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국조상신록(國朝相臣錄)

자료명 국조상신록(國朝相臣錄)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國朝相臣錄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4 MF번호 MF35-188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官·軍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35
· 청구기호 K2-504
· 마이크로필름 MF35-1881
· 기록시기 1835~1849年(憲宗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2.4 X 23.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舊宮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시대 정승文衡 역임자를 비롯해 홍문관 관원 선발과 관련된 登瀛錄 등을 수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과 書根題는 ‘國朝相臣錄’이다. 제1면 우측 하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과 ‘舊宮’이 날인되어 있다. 청색, 주색, 황색의 권점을 찍고, 주색이나 청색으로 내용을 보충하여 필사하거나 종이를 부착하여 수정한 부분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정승의 명단뿐만 아니라 여러 관직의 관원 명단을 수록하고 있다. 먼저 「政堂故事」와 「政府官制沿革」이라고 하여 의정부와 관련된 고사와 관제의 연혁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정승 등의 명단을 소개하고 있는데, 태조裵克廉(1325~1392)을 시작으로 헌종 연간에 정승을 지낸 朴宗薰(1773~1841)까지 모두 325명의 명단을 수록하였다. 기록 방식을 보면, 먼저 인명을 기재한 뒤 세주로 字와 號 및 본관을 기록하기도 하고, 친족으로 정승을 지낸 인물들과 관련성을 기록한 예도 있다. 정승 명단에 뒤이어서 檢校職으로 정승을 역임한 成汝完(1309~1397)·李誠中(1539~1593) 등 9명과 보유로 鄭文炯(1427~1501) 1명을 부기하였다.
이어 文衡을 지낸 인물을 수록하였는데, 태종조의 卞季良(1369~1430)을 위시해서 헌종申在植(1770~?)까지 모두 113명을 수록하였다. 기록 방식이 일률적이지 않지만 대개 인명을 기록한 뒤 세주로 字와 문형에 제수된 시기, 최고 관직, 號, 친족 중 대제학을 지낸 인물들과의 관련성, 이력 중 특이 사항 등을 부기하였다. 문형록에 이어 弘文錄이라고도 하는 登瀛錄을 기록하였는데, 조선조 전 시기의 것이 아니고 1776년(정조 즉위)부터 1832년(순조 32) 4월의 기록까지만 수록되었다. 등영록은 홍문관 관원의 선발과 관련된 명부로 本館錄과 都堂錄으로 구분되는데, 본관록은 홍문관 관원들이 권점한 것이고 도당록은 본관록을 토대로 정승이나 대제학 등 고위 관원들이 다시 권점을 하는 것을 말한다. 본관록과 도당록을 권점을 받은 수로 나누어 인명을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國朝湖堂錄」이라고 하여 賜暇讀書에 선발된 인원의 명단을 기록하였다. 호당독서당의 별칭이고, 사가독서란 젊은 문신에게 휴가를 주어 학문에 전념하게 하는 제도이다. 기록 방식은 대상자 명단과 대상자의 선발을 주관했던 대제학의 이름을 기록하였다. 조선 초기의 내용은 曺偉의 기문에 의거해서 기록하였다.
본서의 편찬 시기는 수록 대상의 하한선이 주로 헌종 초에 한정되고 있다. 정승의 명단에 박종훈을 기록하거나 문형 명단에 신재식을 기록한 것 등이 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서는 헌종 초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조선시대 주요 관직인 정승이나 문형, 그리고 홍문관 관원 등의 명단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호당록을 함께 수록함으로써 사가독서제의 운영 양상 및 대상 인원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