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전주최씨가장(全州崔氏家狀)

자료명 전주최씨가장(全州崔氏家狀) 저자 최정석(崔鼎錫)
자료명(이칭) 전주최씨가상(全州崔氏家狀) , 全州崔氏家狀 저자(이칭) 최정석(조선) 편(崔鼎錫(朝鮮) 編) , 崔鼎錫(朝鮮) 編
청구기호 K2-456 MF번호 MF35-187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33](순조 33년)
· 청구기호 K2-456
· 마이크로필름 MF35-187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최정석(崔鼎錫)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2.9 X 20.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全州崔氏 文成公派의 시조인 崔阿의 행적 및 이하 여러 선조의 행장과 사적 등을 모은 필사본이다.
서지사항
서명은 表紙書名에 근거하였다. 繼線 및 匡郭이 없는 楮紙에 필사하였다. 앞표지 우측 상단에 ‘扶安’이라는 기록이 있다. 書眉에 교정 내용이나 頭註가 필사되어 있다. 내용이 잘못된 부분을 刀割하고 다른 종이를 덧대어 수정한 흔적이 있다. 卷首 서문의 ‘崇禎後四癸巳仲春日后孫[崔]鼎錫謹記’라는 기록을 통해 본 도서가 1833년(순조 33)경 필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우측 하단에는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1책의 필사본으로 표제와 내제는 ‘全州崔氏家狀’이고, 판심제는 없다. 권두에 崔錫鼎1833년(순조 33)에 지은 「全州崔氏家狀記事」가 있고, 다음으로 목록이 붙어 있다. 이후 전주최씨의 이름난 조상들의 묘도문자와 관련 기록들이 나열되어 있다. 1833년경에 간행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인데 실제 간행되었는지는 미상이다.
전주최씨는 4派로 분파되었다. 文烈公派는 崔純爵을 시조로 하고, 司徒公派(僕射公系)는 崔均을 시조로 하며, 文忠公派는 崔群玉을 시조로 하고, 文成公派는 최순작의 7대손 崔阿를 시조로 하는데, 본서에는 崔阿와 그 후손들이 수록되어 있다. 표제 옆에 ‘扶安’이라 기록되어 있는 것은 이 일파를 달리 부안파로 지칭하는 말인 듯하다.
첫머리의 「文成公設壇碑文」은 최아와 관련된 기록이다. 최아전주최씨 文成公派의 시조로 고려 충숙왕 때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시호는 文成公이고 完山君이라는 尊號를 받았다. 이어 최아의 증손 參議公 崔霮의 墓碣文·遺墟碑文·遺詩 및 제공의 讚詩, 최아의 현손 直提學公 崔匡之의 墓表, 최광지의 장자 殿直公 崔生明의 行狀·行蹟記와 제현의 祭文, 최생명의 아들 固窮堂 崔秀孫의 묘갈문·행장, 그리고 최수손의 아들인 司成公 順成, 處士公 弼成, 檢閱公 克成, 處庵公 繼成, 參奉公 竟成의 각종 묘도문자와 傳·행적기, 최계성의 셋째 아들 默齋公 崔活의 행적, 최순성의 손자 石溪先生 崔命龍의 묘도문자, 그 후손 尙志齋 崔永中의 遺事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부록에는 少尹公 崔得之의 묘갈문, 최씨 가문의 근본을 고구한 「崔氏本源」, 최씨 족보의 「舊譜序」와 「新譜序」, 그리고 본서의 발문격인 「新譜改印記事」 등이 덧붙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전주최씨 부안파의 시조에 대한 기록과 여러 선조들의 묘도문자 및 각종 관련 기록이 수록되어 전주최씨 가문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집필자

김채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