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속명의록(쇽명의록)

자료명 속명의록(쇽명의록) 저자 김치인(金致仁)
자료명(이칭) 언서속명의록(諺書續明義錄) , 쇽명의록(續明義錄) 저자(이칭) 金致仁(朝鮮) 等受命編 , 김치인(조선) 등수명편(金致仁(朝鮮) 等受命編)
청구기호 K2-427 MF번호 MF35-172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77(정조 1년)
· 청구기호 K2-427
· 마이크로필름 MF35-172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김치인(金致仁) 등(等) 편찬(編纂)

형태사항

· 크기(cm) 35.0 X 22.3
· 판본 본활자판(本活字版)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0×17.0cm
· 인장 宣賜之記,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 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77년(정조 1)에 발생한 洪相範의 사건 등 정조 즉위 초 역모 사건을 처리하고 간행한 『續明義錄』을 1778년(정조 2) 국문으로 번역하여 목활자로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續明義錄』을 壬辰字로 간행한 후 1778년정조의 명으로 금속활자인 무신자병용 한글 활자로 간행한 언해본으로 한글 목활자 補字가 섞여 있다. 表題와 書根題는 모두 ‘諺書續明義錄’이고 版心題는 ‘續明義錄諺解’이다. 표지 능화문은 1700년대 이후에 주로 많이 쓰인 蓮花唐草紋 표지이다. 책 제1면 우측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과 ‘宣賜之記’가 날인되어 있고, 우측 하단에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이 날인되어 있는 赤裳山史庫本이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정조 즉위 초에 발생한 3대 역모 사건의 처리와 관련된 것이다. 3대 역모 사건이란, 1777년(정조 1) 洪相範이 부친 洪述海강용휘 등과 연계해 궁궐에 자객을 잠입시켜 정조를 시해하려 한 사건, 홍술해의 처 孝任이 궁궐의 掖隷들과 연결되어 저주 행위를 한 사건, 洪啓能·洪相吉 등이 李澤遂 등과 함께 정조를 시해하고 恩全君 李襸을 추대하려는 사건을 말한다. 정조는 이들 사건 관련자들을 처벌한 뒤 1778년(정조 2) 2월에 『續明義錄』을 간행하였다. 당시에 간행된 책은 한문본으로, 본서는 이를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한 것이다. 한글본은 한문본이 간행된 지 3개월여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거의 병행해서 작업이 추진되었다.
본서는 모두 2책으로, 제1권에서는 1777년 7월 28일부터 8월 17일까지를 다루고 있다. 7월 28일 경희궁에 도적이 들자 이를 잡도록 명령한 일부터 강용휘 등이 체포되어 伏誅되고 홍술해의 처 효임 등이 저주한 것이 발각되어 복주된 일 등을 다루고 있다. 제2권에서는 같은 해 8월 18일부터 1778년 2월 21일까지를 다루면서, 사건과 관련된 供招와 狀啓, 그리고 上疏文 등을 자세히 수록하였다. 홍상길洪趾海, 홍계능, 은전군 이찬 등이 복주된 일 등을 소개하였다.
특성 및 가치
정조 초 정국 동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이다. 아울러 18세기 후반 한글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으며, 독자층이 여성으로까지 확대됐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어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URL
최성환, 「정조대 탕평정국의 군신의리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RISS
홍윤표, 『國語史 文獻資料 硏究』, 태학사, 1993.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