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열성지장통기(녈셩지장통긔(列聖誌狀通紀))

자료명 열성지장통기(녈셩지장통긔(列聖誌狀通紀)) 저자 숙종(조선)(肅宗(朝鮮)) 명편(命編), 변계량(조선)(卞季良(朝鮮)) 등(等) 찬(撰), 어유구(조선)(魚有龜(朝鮮)) 등(等) 교정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변계량(조선)(卞季良(朝鮮)) 등(等) 찬(撰)
청구기호 K2-358 MF번호 MF35-491, 138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王·王后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19(숙종 45년)
· 청구기호 K2-358
· 마이크로필름 MF35-491, 1389
· 기록시기 1719年(肅宗 45)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숙종(肅宗) 명편(命編)

형태사항

· 크기(cm) 30.6 X 21.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1권(卷) 4책(冊)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肅宗의 명에 의해 1719년(숙종 45)에 편찬한 한문본 『列聖誌狀通紀』를 한글 궁체로 필사한 언해본이다.
서지사항
繼線 및 匡郭이 없는 楮紙에 흘려 쓴 궁서로 필사하였다. 表紙書名은 ‘列聖誌狀統記’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卷次가 표기되어 있다. 書腦 하단에 ‘共四’라는 기록이 있다. 書根에는 書根題 ‘列聖誌狀統記’와 冊次가 기재되어 있다. 서·발문 및 筆寫記가 없어 정확한 필사 연대를 알 수 없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는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행장·지문·신도비명·능지문·천릉지문·비음기·시책문·애책문·죽책문·반교문·교명문·고문·추숭제문·추숭책문·종묘악장·악장 등의 기록을 모아서 수록하고 있다. 태조의 선계인 목조·익조·도조·환조로부터 시작해서, 태조 이하 성종성종의 妃 공혜왕후·정현왕후까지 기록하고 있다. 언해본으로 필사되어 있으며, 태조의 선계를 기록한 권1을 제외하고는 각 권마다 한 명의 왕과 그의 왕비들을 실었다. 추존된 덕종소혜왕후는 포함되어 있으며, 폐위된 廢妃 尹氏는 수록되지 않았다.
권1에는 목조의 추숭책문·친행종묘춘향대제축문, 익조의 추숭책문·추상존호옥책문·제문, 도조의 추숭책문·수명고태묘겸동향대제축문, 환조의 정능신도비명·비음기·신도비구본·비음기구본·동북면제릉영사지기·추숭책문·태묘제사실축문이 실려 있다.
권2에는 태조의 건원능신도비명·비음기·지문·태상왕상존호옥책문·시책문·부묘시악장·추상존호옥책문, 신의왕후의 제릉신도비명·추상존시죽책문·추상존시옥책문, 신덕왕후의 정릉고천제문·부묘시사실·추상휘호옥책문이 기록되어 있다.
권3에는 정종의 행장·후릉지문·봉왕세자교문·수선교서·상솔백관헌수상존호책문·시책문·애책문·부묘시악장·추상시호옥책문, 정안왕후의 봉덕비책문·상솔백관헌수상존호책문·애책문·추상휘호옥책문이 담겨 있다.
권4에는 태종의 행장·헌릉신도비명·비음기·봉왕세자죽책문·봉왕세자책문·건저부교·교왕세자문·상왕상존호옥책문·상존호시악장·상왕상존호교·태상왕상존호옥책문·상존호시악장·시책문·애책문·추상존시옥책문, 원경왕후의 지문·봉왕세자정빈책문·봉왕비옥책문·왕대비상존호옥책문·상존호시악장·시책문 2편·애책문·추상존호옥책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5에는 세종의 행장·영릉신도비명·천릉지문·봉왕세자교문·봉왕세자책문·시책문·애책문·부묘시악장흠명곡, 소헌왕후의 지문·봉왕세자경빈책문·봉공비책문·봉공비시악장·봉왕비책문·봉왕비시악장·시책문·애책문·악장·추상존호옥책문이 실려 있다.
권6에는 문종의 행장·현릉지문·봉왕세자죽책문·시책문·애책문, 현덕왕후의 지문·천릉지문·봉왕세자빈죽책문·시책문·애책문·추봉왕비옥책문·악장·추상존호옥책문이 기록되어 있다.
권7에는 단종의 사실·봉왕세손교명문·봉왕세자책문·복위시사실·시책문·부영녕전친제문·복위후친림반교문·장릉정자각상량문·어제시, 정순왕후의 사실·봉왕비교명문·봉왕비옥책문·시책문·사릉정자각상량문·사릉친제문이 담겨 있다.
권8에는 세조의 행장·광릉지문·수선교문·단종대왕사위주문·상존호책문·상존호시악장·시책문·애책문, 정희왕후의 지문·봉왕비교명문·봉왕비책문·상존호책문·상존호시악장·왕대비상존호책문·왕대비가상존호책문·대왕대비가상존호책문·가상존호시악장·시책문·애책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9에는 덕종의 경릉지문·봉왕세자교명문·봉왕세자책문·시책문·애책문·추숭책문·추숭시악장·가상존호책문·가상존호부묘책문·부묘시악장, 소혜왕후의 봉왕세자유빈교명문·봉왕세자유빈책문·인수왕비봉숭책문·봉숭시악장·인수왕비봉숭옥책문·인수왕대비가상존호책문·가상존호시악장이 실려 있다.
권10에는 예종의 행장·창릉지문·봉왕세자책문·시책문 2편·애책문, 장순왕후의 공릉지문·봉왕세자빈책문·시책문·애책문·추상시호책문, 안순왕후의 봉왕비책문·왕대비상존호책문·상존호시악장이 기록되어 있다.
권11에는 성종의 ‘행장·선릉지문·즉위시왕대비반교문·시책문·애책문, 공혜왕후의 순릉지문·봉왕비교명문·봉왕비책문·봉왕비시악장·시책문·애책문, 정현왕후의 지문·봉왕비교명문·봉왕비책문·봉왕비시악장·왕대비가상존호책문·시책문·애책문이 담겨 있다.
특히 권7의 단종에 관한 ‘사실’ 내용 중에, “금샹(슉종대왕) 이십년 무인 십이월 이십오일의 휘호 올녀 오 슌뎡안장견슌돈라 고 묘호 단종이라 고 능호 장능이라 시다.”라는 대목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본서는 1698년(숙종 24) 12월 25일 이후에 필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내용 중에 단종 복위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1719년(숙종 45)에 간행된 20권 10책의 『列聖誌狀通紀』를 저본으로 언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조선 역대 왕과 왕비에 관한 공식적인 기록들을 간추려 엮은 책으로, 조선 왕실의 왕통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있다. 제1차, 제2차 왕자의 난에서 태종과 정치적 갈등을 보인 상대 측에 대한 부정적 서술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또한 성삼문 등 사육신의 단종 복위 모의를 부정적으로 그려내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집필자

신병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