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열성어휘(列聖御諱)

자료명 열성어휘(列聖御諱)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列聖御諱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356 MF번호 MF35-99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王·王后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7(광무 1년)
· 청구기호 K2-356
· 마이크로필름 MF35-998
· 기록시기 1897~1899年(光武 1~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0.0 X 18.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19.4×13.8cm
· 인장 奉謨堂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역대 왕의 御諱·初諱·御字를 수록한 필사본이다.
서지사항
壯紙를 사용하여 四周雙邊, 半葉 10行, 上下向二葉花紋魚尾의 木板 印札空冊紙에 필사하였다. 서명은 表紙書名에 근거하였으며, 종이 題籤을 사용하였다. 紫色 避諱紙가 부착되어 있다. 서·발문 및 筆寫記가 없어 정확한 간행 연대를 알 수 없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조선 역대 왕의 御諱와 初諱 및 御字를 정리해 둔 자료이다. 諱 부분은 종이로 가려 놓았으며, 諱 아래에 한글 표음을 병기하고 그 음가를 한자로 표시해 놓은 것이 특징이다. ‘王世子邸下’의 諱 ‘坧’은 가려져 있지 않은데, 이것은 종이가 탈락된 것으로 추측된다. 初諱가 있는 경우에는 諱 아랫부분에 추가로 명기해 놓았다.
맨 처음에 ‘穆祖·翼祖·度祖·桓祖’를 수록해 놓았으며, 이후에 太祖부터 純宗까지 순서대로 열거해 두었다. 폐위된 燕山君光海君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德宗·元宗·眞宗·翼宗 등 추존된 국왕은 삽입되어 있다. 德興大院君莊獻世子도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高宗을 ‘主上殿下’와 ‘大皇帝陛下’로, 純宗을 ‘王世子邸下’와 ‘皇太子殿下’로 표현한 것으로 보아,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광무 1) 이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莊獻世子1899년(광무 3)莊祖로 추존되었으므로, 본서는 그 이전에 기록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文祖·憲宗·哲宗·大皇帝陛下·皇太子殿下는 御諱와 御字를 기록하고 그 뜻을 풀이하여 두었다. 예를 들어, 헌종의 御諱는 ‘’인데, 그 아래에 ‘喚光明也’라고 설명을 덧붙여 놓았다. 헌종의 御字는 ‘文應’인데, 그 아래에 ‘易曰 剛健文明應乎天而時行’이라고 기록해 두었다. 이 ‘文應’의 뜻은 『周易』 上經 大有에 “由剛健文明應天時行 故能元亨也”라고 하여, “剛健하고 文明하며 하늘에 응하고 때에 맞게 행한다. 이 때문에 元亨한 것이다.”라는 뜻을 취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에는 앞의 활자본에서 諱와 初諱 부분만을 필사한 자료가 추가로 덧붙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국왕별로 諱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으므로 참고에 용이하다. 그리고 일부는 御諱와 御字의 뜻을 밝혀 놓아 名과 字를 지은 취지를 알 수 있으므로 역대 왕의 諱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름의 音價로 논쟁이 되었던 정조의 諱인 ‘祘’의 음이 ‘셩/音省’으로 기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참고문헌

周易

집필자

신병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