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장용영고사(壯勇營故事)

자료명 장용영고사(壯勇營故事) 저자 장용영(壯勇營) 찬(撰)
자료명(이칭) 壯勇營故事 , 1785~1800년 장용영고사(壯勇營故事) , 장용영고사(壯勇營故事n1-8책) 저자(이칭) 壯勇營(朝鮮) 編 , 장용영(조선) 편(壯勇營(朝鮮) 編) , 장용영
청구기호 K2-3368 MF번호 MF35-665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史部/政書類/軍政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기록유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군영등록
· 작성시기 1785(정조 9년)
· 청구기호 K2-3368
· 마이크로필름 MF35-665
· 기록시기 1785~1800年(정조 9~2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장용영(壯勇營)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26.2 X 17.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8책(冊)(전(全) 9책(冊))
· 판식 반곽(半郭) 19.7×13.7㎝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정조 연간 친위 부대인 장용영의 고사를 시기별로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불분권 8책이다. 총 책수는 9책이지만 제4책이 결락되었다. 표지 서명은 ‘壯勇營故事’이고 표지에 묵서되었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책차가 기재되었다. 표지 우측 상단에 간지가 기재되어 있다. 四周雙邊에 上內向二葉花紋魚尾인 인찰공책지에 본문의 내용이 필사되었다. 행자수는 10行 20字로 주쌍행이다. 인장은 표지 이면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었다.
체제 및 내용
정조의 친위 세력 장용영의 기원인 1785년(정조 9)부터 군영이 활약하던 1800년(정조 24)까지 16년간의 기록이다. 서론과 목차 없이 시기별로 장용영 관련 사안이 기재되어 있다. 제1책은 1785~1788년, 제2책은 1789~1791년, 제3책은 1792년, 제5책은 1794~1795년, 제6책은 1796년, 제7책은 1797년, 제8책은 1798년, 제9책은 1799~1800년이다. 책별 주요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책은 친군을 壯勇衛로 호칭하게 한 일, 壯勇廳이 試射節目을 바친 일, 장용청 軍額을 정한 뒤에 武藝廳에서 擬望하도록 한 일, 壯勇營 鄕軍의 新節目, 壯勇營이 새로 갖추고 보수한 軍器 별단, 壯勇營 兼管提調의 應行節目, 加髢申禁事目 頒下, 加髢申禁事目의 시행 성적 여하에 따른 시상, 諸將官의 遷轉規則 등이다.
제2책은 軍器監造人의 別單, 林慶業의 후손인 林泰遠장용영 把摠으로 임명한 일, 마보군병의 防番式, 陞戶抄上規, 拜峯屯節目, 장용영의 旗制, 장용영이 『武藝圖譜通志』를 올린 일, 宣惠廳의 甲胄價米를 장용영으로 移劃하게 한 일 등이다.
제3책은 統營에서 만든 장용영 군기의 수급가를 호남의 船儲置米로 區劃한 일, 瑞蔥臺試射 시상, 정조映花堂에서 耽羅貢馬를 頒賜한 일, 葛麻倉移屬節目 등이다.
제5책은 梁鐵坪의 陣法 실시, 華城 城操와 夜操의 程式을 보고한 일, 慈宮駕轎習倚를 後苑에서 행한 일, 內外營의 文蹟을 뽑아 儀執廳에 보내게 한 일, 華城撥站節目의 判下, 慈宮에게 進饌한 일 등이다.
제6책은 향군 加設 후의 節目을 아뢴 일, 整理所가 節目을 올린 일, 捉虎軍校의 姓名別單을 아뢴 일, 東部 蓮池洞의 營屬民戶分契와 左右統契에서 응당 행해야 할 節目을 올린 일 등이다.
제7책은 雇立軍士 4명을 內閣에 移屬케 한 일, 園所植木賞典을 행한 일, 濟州貢馬를 諸臣에게 頒賜한 일, 外營內의 各庫典守節目을 올린 일, 春塘臺射를 행한 일, 司僕寺가 各道 牧場馬의 留放 수효를 아뢴 일 등이다.
제8책은 隨駕하는 各司堂郞員役에게 盤纏을 頒給할 것을 아뢴 일, 園所外禁養處에 禁標를 새겨 세우게 한 일, 關西 壯勇營屯田의 관리, 擊錚人의 原情를 아뢴 일, 備邊司가 壯勇外營 부군의 5읍 軍兵을 合屬하는 節目을 알린 일 등이다.
제9책은 石尙書의 族譜를 使行 때 사 오게 한 일, 文宰로서 摠戎使만 지내고 이미 三局將望의 備擬된 자는 拔望하지 말게 한 일, 箭串牧場에서 放牧하는 本營馬의 産數를 알린 일, 摩天嶺 이북의 10邑 武擧子를 南別營에서 試取하게 한 일 등이다.
특성 및 가치
정조 대 장용영 연구에 필수적 자료이며, 조선 후기 군제사 연구에 반드시 이용할 자료이다. 장용영의 설치와 운영 및 문제점 등 군영의 모든 부분이 언급되고 있다. 특히 등록이나 일기가 아닌 과거에 시행된 것을 정리한 고사이므로 편찬 당대의 시각이 반영된 사료이다. 따라서 장용영에 대한 당대의 시각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용영 이외에도 정조 대 중앙군과 지방군의 편제 및 운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편, 『한국군사사』7·8, 2012.
김준혁, 「정조대 장용영 설치의 정치적 추이」, 『사학연구』78, 2005.
배우성, 「正祖年間 武班軍營大將과 軍營政策」, 『한국사론』24, 1991.
이왕무, 「本營圖形을 통한 조선후기 장용영의 모습」, 『장서각』21, 2009.
이태진, 『조선후기의 정치와 군영제 변천』, 한국연구원, 1985.
차문섭, 『조선시대 군사관계연구』, 단국대학교, 1996.

집필자

이왕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