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진연의궤(進宴儀軌)

자료명 진연의궤(進宴儀軌) 저자 진연청(進宴廳)·의궤청(儀軌廳) 편(編)
자료명(이칭) 進宴儀軌: 저자(이칭) 進宴廳(朝鮮) 撰
청구기호 K2-2870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進饌·進宴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1(광무 5년)
· 청구기호 K2-287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진연청(進宴廳)·의궤청(儀軌廳)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7.1 X 24.0
· 판본 정리자판(整理字版)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권수(卷首) 1권(卷), 본편(本編) 3권(卷), 합(合) 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0×18.0㎝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1년(광무 5) 7월 함녕전에서 고종황제의 滿五旬 聖節을 기념하여 올린 외진연과 내진연, 야진연 그리고 황태자의 會酌과 夜讌 관련 진연에 대한 도식과 의주, 기용, 찬품, 재용 등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장황은 황갈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다. 표지의 우측 상단에는 ‘辛丑’이라는 간지가 있다. 卷首 1卷, 本編 3卷 4冊으로 책차는 ‘一·二·三·四’이다. 板式은 四周雙邊 上下向黑魚尾이며, 본문은 금속활자인 整理字를 사용하여 12行 22字로 간행하였다. 圖板은 木板本이다.
체제 및 내용
1900년(광무 4) 5월 23일 황태자가 고종황제의 寶齡이 五旬이 되는 해로 조종의 전례를 따라 성절일을 진하하는 내외 진찬을 윤허해 줄 것을 상소하였고, 다시 1901년 5월 1일 황태자가 백관 이끌고 庭請 후 다시 고종황제 滿五旬에 대한 진연을 주청하면서 진연청의궤청이 차례로 꾸려졌다.
권수는 택일, 좌목, 도식으로 구성되었고, 권1은 睿疎, 조칙, 令敎, 筵說, 入對筵說, 악장, 치사, 睿製詩, 의주로 구성되었다. 권2는 절목, 奏本, 啓本, 조회, 來牒, 품목, 감결, 찬품, 器用으로 구성되었고, 권3은 修理, 배설, 의장, 의위, 進爵參宴諸臣, 내외빈, 問安諸臣, 工伶, 악기풍물, 상전, 재용으로 구성되었다. 수리에서는 함녕전 동서에 온돌, 대청과 동행각을 꾸미고, 補階와 竹欄干, 雨具遮陽, 油芚遮日, 交窓 등 진연을 위해 건물의 수리가 필요한 부분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대전의 外進宴은 1901년 7월 26일 묘시 함녕전에서 설행하고, 內進宴은 7월 27일 진시 함녕전에서 설행하고, 夜進宴은 역시 같은 날 해시에 함녕전에서 설행하였다. 황태자 會酌은 7월 29일 진시에 함녕전에서 설행하고, 夜讌은 같은 날 해시에 함녕전에서 설행하였다. 외진연을 위한 습의는 7월 3일, 7월 6일, 7월 14일에 진연청함녕전에서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고, 내진연의 습의는 7월 5일, 7월 7일, 7월 12일, 7월 15일, 7월 18일, 7월 23일에 함녕전에서 여섯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장례원진연청을 설치하였고, 진연청 당상은 민영휘, 김성근, 이지용, 낭청이규백, 안필용, 서병염, 이범신, 서상경, 윤태길, 임건상, 윤형구 등이 1901년 5월 2일부터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또한 장례원의궤청을 설치하였다. 의궤청 당상은 민영휘, 김성근, 윤정구, 이지용이었고, 낭청이규백, 안필용, 서병염, 이범신, 서상경, 윤태길, 임건상, 윤형구 등이 1901년 8월 8일 差下되었다.
권수의 도식은 다음과 같다. 〈함녕전 외진연반차도〉, 〈함녕전 내진연반차도〉, 〈함녕전 야진연반차도〉, 〈함녕전 翌日 會酌班次圖〉, 〈함녕전 翌日 夜讌班次圖〉는 문자로 적은 문반차도 형식이며, 〈함녕전도〉, 〈함녕전 외진연도〉, 〈함녕전 내진연도〉, 〈함녕전 야진연도〉, 〈함녕전 익일 회작도〉, 〈함녕전 익일 夜讌圖〉, 〈외진연 정재도〉에는 初舞, 萬壽舞, 四仙舞, 獻仙桃, 帝壽昌, 響鈴, 牙拍, 夢金尺, 慶豐圖, 佳人剪牧丹, 舞鼓, 抛毬樂, 演百福之舞, 長生寶宴之舞, 壽延長, 鳳來儀, 六花隊, 歌者가 차례로 실렸다. 〈내진연정재도〉에는 疉勝, 헌선도, 수연장, 몽금척, 무고, 연백복지무, 제수창, 가인전목단, 장생보연지무, 만수무, 寶相舞, 獻天花, 경풍도, 春鶯囀, 향령, 포구락, 사선무, 劍器舞, 船遊樂, 鶴舞, 蓮花臺舞, 봉래의, 六花臺, 無㝵舞가 차례로 실렸다. 〈채화도〉에는 御簪絲圈花, 絲圈花, 樽花, 三層大水波蓮, 二層中水波蓮, 一層小水波連, 목단화, 월계화, 紅桃別間花, 사계화, 紅桃三枝花, 紅桃別建花, 紅桃二枝花, 紅桃建花, 복분자화, 홍도간화, 瓜子花, 국화, 유자화, 茄子花, 柿子花, 포도화 등이 차례로 나열되었다. 〈기용도〉에는 용교의, 踏掌, 용평상, 표피방석, 보안, 찬안, 향로, 향합, 香座兒, 진작탁, 壽酒亭, 香串之, 爐烟床, 致詞案, 주정, 차정, 준화기, 사권화함, 조각대원반, 시접반, 촉대, 촉대跗, 용촉, 용준, 은도금일월병 외에 진연에 쓰이는 용기를 그려 넣었다. 또한 〈의장도〉에는 繖扇, 일산, 양산, 수정장, 금월부, 황개, 구룡황개 등 의장과 翠華旗, 黃龍大纛, 五雲旗 등 의장기를 차례로 그렸다. 〈정재의장도〉에는 引人仗, 龍扇, 鳳扇, 旌節, 池塘板 등을 그려 넣었다. 〈악기도〉에는 建鼓, 特鐘, 特磬, 笙, 敎坊鼓, 彩船 등을 그려 넣었고, 〈內吹樂器圖〉에는 螺, 나팔, 號笛 등을 그렸다. 끝으로 〈복식도〉에는 典樂服飾, 樂工舞童服飾, 악공복식, 무동복식, 歌子服飾, 女伶服飾, 童妓服飾, 선유락복식, 춘앵전복식, 검기무복식 등 정재와 관련한 복식을 차례로 그려 넣었다.
진연을 마친 후에는 進宴圖屛 6坐를 內入하였는데, 1좌의 비용은 錢 1百兩이 소요되었다. 또한 당상 이하에게도 契屛을 하사하였는데, 당상 3명에게 준 大屛 각 1좌의 비용은 전 50냥이었으며, 낭청 8명에게 준 大屛 1좌의 값은 전 40냥이었으며, 별간역 9명에게 준 中屛 각 1좌의 비용은 전 20냥, 비장 56명에게 준 소병 각 1좌의 비용은 전 10냥이 소요되었다.
내진연 시 書奏 施賞에서 화원은 洪鳳煥, 洪世鎭을 비롯하여, 金龜濟, 姜弘模, 白有連 趙聖圭, 韓基源, 崔德基, 張大吉, 金斗元, 白麟鎭 외에 7명이 사급을 받았다.
특성 및 가치
대한제국기 대전의 외진연과 내진연의 의주, 의장, 복식, 찬품, 재용은 물론 정재 참여자의 명단까지 상세하여 당시 대전 진연의 규모를 파악하고 이를 재현하는데, 무용사, 음악사는 물론, 미술사적으로도 중요한 사료이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