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제향시제반용하(祭享時諸般用下)

자료명 제향시제반용하(祭享時諸般用下) 저자 궁내부(宮內府) 편(編)
자료명(이칭) 祭享時諸般用下 , 1895년 제향시제반용하(祭享時諸般用下) 저자(이칭) , 궁내부(조선) 편(宮內府(朝鮮)編) , 宮內府(朝鮮) 編
청구기호 K2-2566 MF번호 MF16-293
유형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其他祭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종묘자료
· 작성시기 1895(고종 32년)
· 청구기호 K2-2566
· 마이크로필름 MF16-293
· 기록시기 1895~1906年(高宗 32~光武 1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궁내부(宮內府)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7.3 X 18.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5×13.8㎝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4년(고종 31) 이후에 宮內府에서 宗廟, 永寧殿, 永禧殿, 景慕宮의 祭享에 소요되는 물품의 수량과 구입 비용을 산출하여 기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祭享時諸般用下’이다. 표지의 우측 하단에는 ‘宗廟’, ‘永寧殿’, ‘永禧殿’, ‘景慕宮’이라는 기록이 있다. 본문은 주색 인찰 공책지에 필사되어 있으며, 판심에는 ‘宮內府’라 표시되어 있다. 본문에는 첨지를 덧대어 내용을 기록한 부분이 있다.
체제 및 내용
책의 내용은 종묘영녕전, 영희전, 경모궁의 순서로 수록되어 있다. 맨 앞에는 종묘의 薦新에 소요되는 물품의 수량과 구입 비용을 기록하였고, 다음으로 大享, 朔祭, 望祭, 節祭, 七祀祭, 功臣祭, 永寧殿大享에 소요되는 물품의 수량과 구입 비용을 기록하였다. 종묘의 천신 物種을 예로 들면, 총 71종이고 外道에서 封進하는 물품의 경우에는 궁내부에서 授價한다고 하였다.
1월에는 올미역 1종을, 2월에는 松魚·生鰒·얼음·雀舌 등 8종을, 3월에는 고사리·靑橘 등 7종을, 4월에는 죽순·眞魚·오징어 등 3종을, 5월에는 앵도·大麥·小麥 등 5종을, 6월에는 稻米·粟米·능금 등 11종을, 7월에는 鰱魚·蓮實·잣 등 7종을, 8월에는 홍시·대추·밤 등 7종을, 9월에는 석류·산포도 등 4종을, 10월에는 金橘·柚子·生文魚 등 9종을, 11월에는 白魚·靑魚 등 5종을, 12월에는 乳柑·洞庭橘 등 4종을 봉진하였다. 각 항목의 끝에는 해당 항목에 소요되는 비용을 합하여 기록하였고, 가장 말미에는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합산하여 총계를 기록한 뒤에 다시 이를 銀으로 환산하여 기록하였다.
종묘영녕전에 이어서 영희전경모궁에 소요되는 물품의 수량과 구입 비용을 기록하였는데, 먼저 제향에 소용되는 각각의 물품 수량과 구입 비용을 기록한 뒤에 말미에 총계를 합산하고 이를 은으로 환산하여 기록하였다. 영희전太祖, 世祖, 元宗, 肅宗, 英祖, 純祖의 御眞을 모셨던 전각이고, 경모궁莊獻世子獻敬王后 洪氏의 사당이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왕실 제향의 일면과 당시의 물가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양기정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