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병와전서 남사록(甁瓦全書 南屣錄)

자료명 병와전서 남사록(甁瓦全書 南屣錄) 저자 이형상 저(李衡祥 著)
자료명(이칭) 병와전서 악학편고(甁窩全書 樂學便考) , 병와전서 성여록(甁瓦全書 聖與錄) , 병와전서 탐라록(甁窩全書 耽羅錄) , 병와전서 병와선생문집(甁窩全書 甁窩先生文集) , 병와전서 동이산략(甁窩全書 東耳刪畧) , 병와전서악학습령(甁窩全書樂學拾零) , 병와전서 정원일기초(甁瓦全書 政院日記艸) , 병와전서 강도지(甁窩全書 江都志) 저자(이칭) 이형상(조선)(李衡祥(朝鮮)) 저(著)
청구기호 810.819 이94병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기타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AA)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서명병와전서 남사록
한자서명甁瓦全書 南屣錄
편저자한글이형상 저
편저자한자李衡祥 著
표지제한글병와전서 10책
표지제한자甁瓦全書
간행년(왕력)미상
간행년(서기력)미상 - 미상
간행처미상
언어한문
유형고도서
판사항影印本(병와전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형태서지
내용주기
인기
청구기호810.819 이94병
소장처경북 영천 호연정(浩然亭)
간략내용조선 후기의 문신인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1653-1733)이 66세 때에 남긴 저서. 고본(稿本) 1책.
MF
등록번호
대표서명권수제(권두서명)에 의함
종이재질
자료유형지리지

해제정보

해제저자한글김동주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한자서명甁瓦全書 南屣錄 解題
한글서명병와전서 남사록
간행처미상
해제저자한자김동주
해제내용
남사록(南屣錄)
김동주
[1]
조선 후기의 문신인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1653-1733)이 66세 때에 남긴 저서. 고본(稿本) 1책. 이형상은 48세(숙종 26) 때 경주부윤(慶州府尹)에서 물러나와 종신 은거지로 영천(永川)을 선택한 뒤 거의 영천에 있는 호연정(浩然亭)에 머물면서 저술생활을 하였다. 이때 그는 경주·영천 유림들과 탐방(探訪)이나 시회(詩會) 같은 것을 자주 가졌다. 특히 그가 66세 때인 곧 기해년(숙종 45, 1719)에는 그 지방 유림들의 초청을 받고 가서 8월 22일부터 9월 3일까지 여러 유림들과 함께 도동(道洞)을 위시하여 사촌(沙村)·도잠(道岑)·영지산(靈芝山)·수암(水巖)·공암(孔巖)·낙화평석(落花評石)·운문사(雲門寺)·선암(仙巖)·동곡(桐谷)·반룡(盤龍)·대흥(大興)·사교(沙橋) 등을 차례로 돌면서 탐방과 시회를 한꺼번에 가졌다.
이때에 지은 시문(詩文) 등을 모은 것이 바로 남사록인데, 편차는 이공약(理笻約)·도동체극(道洞遞屐)·좌석(座席)·사촌헐참(沙村歇驂)·추도(追到)·도잠음형(道岑飮馨)·영지상영(靈芝觴詠)·연구(聯句)·차운(次韻)·수암탐승(水巖探勝)·공암수적(孔巖搜跡)·낙화평석(落花評石)·운사심승(雲寺尋僧)·등갈박증환성재(藤葛駁贈喚惺齋)·선암방고(仙巖訪古)·동곡상매(桐谷賞梅)·반룡촉유(盤龍燭幽)·사교감적(沙橋感跡)·환우(還寓)·제승편(濟勝篇)·고황사(膏肓辭)·만각설(晩覺說)·선교판(禪敎判) 등의 제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목 중에 있는 ‘좌석’이란 제목은 처음부터 모인 인원을 적은 것이고, ‘추도’란 제목은 뒤에 참석한 인원을 적은 것인데, 이때에 참석한 인원은 이형상 자신을 위시하여 이명계(李命啓)·권노(權櫓)·양정화(楊正和)·손시채(孫是采)·정석림(鄭碩臨)·양명화(楊命和)·안처정(安處靜)·안태정(安泰靜)·안여택(安汝宅)·이민성(李敏聖)·안여리(安汝履)·정중주(鄭重周)·이인발(李仁潑)·서유민(徐愈敏)·안여기(安汝器)·안여국(安汝國)·이규화(李奎華)·양우현(楊又玄)·노수담(盧壽耼)·노수갑(盧壽甲)·조익한(曹翼漢)·조익하(曹翼夏)·조익홍(曹翼鴻)·서익대(徐益大)·이덕함(李德咸)·서재대(徐載大)·서치대(徐致大)·조선형(曹善衡)·윤형로(尹衡老)·성술조(成述祖)·이민춘(李敏春)·정승림(鄭承林)·손한기(孫漢機)·성하구(成夏耈)·이하구(李夏耈)·이한구(李漢耈)·손만현(孫萬玄)·이기(李頎)·이영(李潁)·이시복(李時馥)·이경증(李慶曾)·이경백(李慶伯)·이경채(李慶彩)·이경함(李慶涵)·이중길(李重吉)·이상구(李商耈)·박문주(朴文周)·박문원(朴文源)·박문항(朴文恒)·박정교(朴廷喬)·박성희(朴聖熙)·서홍점(徐鴻漸)·박문천(朴文天)·박심휴(朴心休)·박문승(朴文升)·박문상(朴文祥)·박심극(朴心克)·손해걸(孫海杰)·이준구(李俊耈)·이희구(李僖耈)·조하윤(曹夏尹)·이경구(李儆耈)·조익봉(曹翼鳳)·조선도(曹善道)·조선일(曹善一)·조선득(曹善得)·조선보(曹善溥)·윤몽석(尹夢錫)·조선건(曹善建) 등이었다.
본서는 대부분 유람내력을 적고 있으므로 영천·청도(淸道) 일대의 경관을 살필 수 있고, 또한 ‘등갈박증환성재’와 ‘선교판’에서는 불교관계를 깊이 다루었으므로 이형상의 불교관을 알아볼 수 있으며, 특히 이때 참석한 인원들에 대해서는 자(字)·생년(生年)·본관을 함께 적었기 때문에 이형상의 경북에 있어서의 교유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라 하겠다.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8.13
해제초기작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형식변환

책차정보

책차번호관련내용
001 시작이미지: JE_A_55009_001_000011 / 종료이미지: JE_A_55009_001_000361 / 시작위치: JE_A_55009_001_000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