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이재난고(頤齋亂藁)

자료명 이재난고(頤齋亂藁) 저자 황윤석(조선) 저(黃胤錫 著)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911.008b국92ㅎc3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기타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AA)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서명이재난고
한자서명頤齋亂藁n1-47책
편저자한글황윤석(조선) 저
편저자한자黃胤錫 著
표지제한글
표지제한자
간행년(왕력)영조14(1738)-정조15(1791)
간행년(서기력)1738 - 1791
간행처미상
언어한문
유형고도서
판사항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1)
형태서지
내용주기
인기
청구기호911.008b국92ㅎc3
소장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간략내용조선후기 호남의 실학자인 頤齋 黃胤錫이 10세 때부터 63세에 타계하기 이틀 전까지 54년 동안의 학습내용, 詩文, 論說, 紀行文, 당시의 세태에 대해 보고 들은 것, 日記 등을 소상히 적어 놓은 遺稿.
MF
등록번호
대표서명권수제(권두서명)에 의함
종이재질
자료유형일기류

해제정보

해제저자한글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한자서명頤齋亂藁 解題
한글서명이재난고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저자한자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내용
頤齋亂稿
【정의】
조선후기 호남의 실학자인 頤齋 黃胤錫이 10세 때부터 63세에 타계하기 이틀 전까지 54년 동안의 학습내용, 詩文, 論說, 紀行文, 당시의 세태에 대해 보고 들은 것, 日記 등을 소상히 적어 놓은 遺稿.
【서지사항】
이재 황윤석은 1729년(영조 5)에 전라북도 興德縣 龜壽洞(현 高敞郡 星內面 槽洞)에서 晩隱 黃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1791년(정조 15)에 타계하였다. 본관은 黃海, 자는 永叟, 호는 頤齋•西溟散人•雲浦主人•越松外史이다. 金元行의 文人이다. 1759년(영조35) 진사시에 합격, 1766년에 隱逸로서 莊陵參奉에 임명되고, 뒤이어 司圃署의 直長, 別提를 거쳐 익위사의 익찬이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다. 1799년(정조3)에 木川縣監이 되었다가 다음 해 사퇴하였고 1786년에 典牲署의 주부를 거쳐 全義縣監이 되었다가 그 다음해에 사퇴하였다. 理學, 天文學, 韻學, 文學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두루섭렵한 通儒로써 어려서부터 博覽强記로 이름이 높았다. 『이재난고』이외에 『理藪新編』 『資知錄』 『梁琴新譜』 등의 저술을 남기고 있다. 그 외에 『頤齋遺稿』와 『頤齋續稿』 등의 문집을 남기고 있다. 이는 1829년(純祖 29)에 이재의 손자 秀瓊과 당시 전라도 관찰사였던 趙寅永에 의하여 그의 서문을 붙여 12권 7책으로 된 『이재집』이 편찬간행되었고 그 13년 뒤인 1842년에 그 속고가 후손인 黃瑞九와 향유들에 의해 속간되었다. 이렇게 2차에 걸쳐 이루어진 총 26책의 『이재집』은 앞의 것을 『이재유고』, 뒤의 것을 『이재속고』라 하는데 이들 모두 『이재난고』에서 문집 체제에 맞게 발췌하여 편집한 것이다.
【체재 및 내용】
이재난고는 日次, 月次, 年次 順으로 編冊하여 적당한 두께로 分綴하여 총 57책으로 되어 있다. 16세 때부터 본격적으로 기록이 시작되었고 그 전의 기록은 추기일 가능성이 높다. 초년의 기록은 楷書나 行書로 되어 있으나 24•5세 무렵 부터는 거의 草書로 기록하였고, 간혹 行狀, 碣名 등 신중함이 요구될 사항의 草稿와 시구만은 행서로 기록하였다. 책에 사용된 용지는 무릇 선인들이 그랬듯이 글이 쓰인 헌종이를 뒤집어 썼거나 남은 자투리 종이를 이용하여 여백도 없이 빽빽히 글씨로 가득 채운 면이 많다.
그 서술형태를 보면 날씨부터 쓰기 시작하여 기후의 변화, 농사의 豊凶과 때로는 地震, 彗星의 상황을 적고 일식, 월식의 시각도 그때마다 적고 있다. 특히 일식은 그 시각을 스스로 측정하여 그 측정치를 時憲曆, 回回曆과 대조하여 그 誤差를 기록하고 있다. 그 밖에 변해가는 世態, 자신의 일용행사, 독서한 내용, 다른 사람들과의 토론, 作文, 보고 들은 내용, 紀行, 학술적 논설, 비망록 등을 그의 예리한 관찰에 의해 기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용에 필요한 물건을 구입한다고 하더라도 그 가격과 품질, 분량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 일이 많고 지명도 한자명에 한글명, 舊名이 병기되어 있으며 때로는 그 이름이 유래된 전설도 적혀있다. 또한 여행시 점심을 먹은 곳과 숙박한 곳, 찾아온 사람들을 빠짐없이 일일이 기록하고 있다. 여행시에도 일기장은 늘 가지고 다닌 듯 싶다. 이와같이 그의 기록하는 태도는 시종 변치 않고 있다.
【자료적 특성 및 가치】
이재 황윤석의 문집은 이미 石印本으로 朝鮮春秋社에서 간행한 바 있어서 황윤석에 대한 전반적인 윤곽을 알 수 있는 자료는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문집들이 본고인 『이재난고』에서 추출되었다고는 하지만, 문집 체제를 맞추는 과정에서 세세한 생활사 자료들이 빠져 있다. 『이재난고』에서는 이재의 독특한 기록벽 덕택에 그의 문집이나 여타 자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선비들의 세세한 관행과 생활상을 볼 수 있다. 더욱이 그의 인생행로에 따라 그 과정을 세세히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제도의 구체적인 시행과 세태, 관행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수가 많다. 예컨대 그가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세세히 당시의 과거 관행을 기록하고 있어서 당시의 과거 시험의 구체적인 과정과 실례를 보여주며, 김원행과 만나 수학하는 과정에서는 당시 석실서원에서 강학하고 있던 구체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또 한성부 동부도사 시절의 기록에서는 그의 직임이 한양 동부 지방 백성들의 송사를 관장하는 한성부내의 요직이었으므로 당시 서울 사람들의 생생한 생활상을 접할 수 있다. 특히 그가 木川縣監으로 나아갔을 때는 당시 지방관아에서 이루어진 생생한 관청실무와 관행을 소상히 싣고 있어 흥미를 더한다. 이외에 그가 당시로서는 뛰어난 과학자이자 운학자였기 때문에, 그에 대한 많은 기록도 실려있으므로 과학사와 국어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특징이다.
【소장현황 및 영인관계】
현재 『이재난고』의 원본은 전라북도 고창군에 거주하고 있는 이재의 후손인 황병관 씨 댁에 도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중이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사업회에서는 1994년 이래로 총 10책을 간행할 계획으로 1년에 1책씩 脫草本을 간행하고 있다.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8.13
해제초기작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형식변환

책차정보

책차번호관련내용
001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2)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1_0000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1_001201 / 시작위치: JE_A_55001_001_000041 /
002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3)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2_0012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2_002842 /
003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4)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3_00285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3_004671 /
004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5)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4_00468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4_005681 / 시작위치: JE_A_55001_004_004701 /
005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6)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5_00569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5_006302 /
006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7)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6_0063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6_006952 /
007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8)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7_00696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7_008101 /
008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09)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8_0081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8_009431 / 시작위치: JE_A_55001_008_008141 /
009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0)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09_00944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09_010292 /
010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1)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0_01030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0_011132 /
011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2)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1_01114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1_012761 /
012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3)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2_01277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2_014052 / 시작위치: JE_A_55001_012_012781 /
013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4)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3_01406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3_015692 /
014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5)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4_01570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4_017291 / 시작위치: JE_A_55001_014_015711 /
015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6)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5_01730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5_019021 / 시작위치: JE_A_55001_015_017331 /
016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7)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6_01903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6_020152 /
017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8)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7_02016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7_021181 / 시작위치: JE_A_55001_017_020191 /
018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19)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8_02119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8_022712 / 시작위치: JE_A_55001_018_021211 /
019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0)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19_02272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19_024232 / 시작위치: JE_A_55001_019_022741 /
020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1)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0_02424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0_025981 / 시작위치: JE_A_55001_020_024261 /
021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2)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1_02599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1_026951 / 시작위치: JE_A_55001_021_026031 /
022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3)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2_02696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2_027862 /
023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4)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3_02787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3_028561 / 시작위치: JE_A_55001_023_027891 /
024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5)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4_02857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4_029801 / 시작위치: JE_A_55001_024_028591 /
025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6)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5_0298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5_031132 / 시작위치: JE_A_55001_025_029831 /
026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7)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6_03114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6_032631 / 시작위치: JE_A_55001_026_031151 /
027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8)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7_03264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7_033571 / 시작위치: JE_A_55001_027_032651 /
028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29)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8_03358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8_034382 / 시작위치: JE_A_55001_028_033601 /
029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0)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29_03439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29_035232 / 시작위치: JE_A_55001_029_034421 /
030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1)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0_03524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0_035972 /
031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2)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1_03598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1_036611 / 시작위치: JE_A_55001_031_036001 /
032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3)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2_03662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2_037602 /
033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4)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3_0376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3_038202 / 시작위치: JE_A_55001_033_037631 /
034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5)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4_0382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4_039312 / 시작위치: JE_A_55001_034_038231 /
035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6)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5_03932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5_040931 / 시작위치: JE_A_55001_035_039351 /
036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7)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6_04094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6_042272 / 시작위치: JE_A_55001_036_040961 /
037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8)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7_04228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7_042841 /
038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39)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8_04285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8_044581 / 시작위치: JE_A_55001_038_042871 /
039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0)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39_04459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39_046211 / 시작위치: JE_A_55001_039_044611 /
040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1)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40_04622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40_048001 /
041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2)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41_0480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41_049732 / 시작위치: JE_A_55001_041_048031 /
042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3)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42_04974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42_050292 /
043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4)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43_05030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43_051302 /
044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5)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44_05131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44_052422 /
045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6)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45_05243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45_053211 / 시작위치: JE_A_55001_045_052451 /
046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7)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46_05322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46_054161 / 시작위치: JE_A_55001_046_053241 /
047 판사항: 影印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2048) / 시작이미지: JE_A_55001_047_054171 / 종료이미지: JE_A_55001_047_055862 / 시작위치: JE_A_55001_047_0541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