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간찰191(簡札191)

자료명 간찰191(簡札191) 저자 이기원(李紀元)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문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민간/기증·기탁·조사/고문서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B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문서명간찰191
한자문서명簡札191
이명(한글)
이명(한자)
수취(한글)노재응
수취(한자)盧載應
발급(한글)이기원
발급(한자)李紀元
찬자(한글)미상
찬자(한자)미상
발급목적진사시 합격을 축하함
간행년(서기력)高宗10   1873 -
유형고문서
크기29x47cm
관인수
청구기호
소장처원소장처와 동일
소장처1경상북도
소장처2경주시
소장처3安康邑 玉山1里 1600番地 李海轍
MF
자료유형전통명가소장고문서자료(전통시대지방사회경제사자료)

해제정보

해제작성자문순요
해제작성일2002-07-10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해제내용
簡札191
문순요
【정의】
노재응(盧載應)이 여주이씨(驪州李氏) 옥산파(玉山派)집안에 진사의 합격을 축하하는 편지이다.
【내용】
[주제]
진사에 합격하여 마을을 조금 빛냈으니 이를 축하하며, 자신은 여러 달 동안 수하(手下)의 애들 걱정에 골머리가 아팠는데 마침내 젖먹이 어린 손자가 죽었고, 내 몸도 전염병을 겪고 나서 귀가 어둡고 눈도 어둡다는 내용이다
[용어]
독낙당(獨樂堂)은 1532년(중종 27)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 나이 42세 때 자옥산(紫玉山)에 건립하였다. 양좌동(良佐洞)에서 서쪽으로 20리 쯤에 위치해 있는데 선생이 학문을 도야했던 정자이다. 독낙당 옆에 탁영대(濯纓臺)․징심대(澄心臺)․관어대(觀魚臺)․영귀대(詠歸臺)․세심대(洗心臺) 5곳의 대(臺)가 있다. 독낙당의 제1간(間)은 정관재(靜觀齋), 제2간(間)은 계정(溪亭)이고, 계정의 앞뒤에는 소나무, 대나무, 화초를 심었으며, 날마다 그 곳에서 읊조리고 낚시하며 분분한 속세를 떨쳐버렸으며, 단정히 앉아 좌우에 책을 쌓아 놓고 조용한 가운데 공부하기를 선배들 보다 더욱 깊게 학문에 전념하였다. 조춘유산(早春遊山)․우영(偶詠) 등 시구(詩句)가 있다.
[인물]
[지명]
【특징】
【비고】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08.16
해제작성,입력,교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작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