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간찰183(簡札183)

자료명 간찰183(簡札183) 저자 독락당(獨樂堂)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문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민간/기증·기탁·조사/고문서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B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문서명간찰183
한자문서명簡札183
이명(한글)
이명(한자)
수취(한글)정원우
수취(한자)鄭遠羽
발급(한글)독락당
발급(한자)獨樂堂
찬자(한글)미상
찬자(한자)미상
발급목적옥산 방문의 뜻을 전하고 자신의 거처로도 방문해 줄 것을 요망함
간행년(서기력)戊申   미상 -
유형고문서
크기42.7x28.3cm
관인수
청구기호
소장처원소장처와 동일
소장처1경상북도
소장처2경주시
소장처3安康邑 玉山1里 1600番地 李海轍
MF
자료유형전통명가소장고문서자료(전통시대지방사회경제사자료)

해제정보

해제작성자이성주
해제작성일2002-07-10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해제내용
簡札183
이성주
【정의】
무신년 2월 2일에 정원우(鄭遠羽)가 지난 가을 잠깐 다녀간 독락당(獨樂堂)의 편지를 받고, 자신도 한 번 옥산서원 계정(溪亭)을 방문하고픈 심정을 전한 회답편지.
【내용】
[주제]
옥산서원의 빼어난 경치를 예전부터 흠모(欽慕)해 왔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것이 한이라고 말하면서 연로(年老)한 탓으로 다시 한번 거동하려 해도 못 가는 괴로운 심정을 토로했다. 그러나 집사(執事)께서는 젊고 의지도 굳건하니 조만간 이쪽으로 올 기회가 있을 터이니 그때 들려주면 기쁘겠노라고 전하는 사연이다.
[용어]
한원(寒暄)은 춥고 더운 안부를 말하고, 변별(拚別)은 악수하고 헤어진다는 뜻이다. 흘금경경(迄今耿耿)은 지금까지도 그립다는 말이고, 비의(匪意)는 뜻밖이란 뜻이니 의외(意外)와 같다. 진간(震艮)은 주역의 진괘(震卦:☳)는 동(動), 간괘(艮卦:☶)는 정(靜)을 뜻하니, 동정(動靜)을 말한다. 신위금중(神衛錦重)은 편안하게 잘 있음을 말한다. 존각안우(尊閣案右)는 서적을 높여 서안(書案)의 오른편에 둠을 뜻한다.
[인물]
[지명]
옥산서원 계정(溪亭)은 독락당(獨樂堂) 뒤의 정자로 조선 중종 때의 학자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 42세 때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여 세웠고, 독락당(獨樂堂)은 경주 옥산리 1600번지에 있는데, 조선 중기 성리학자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 공부하던 서재이다.
【특징】
선현(先賢)이 은거(隱居)하여 덕행(德行)을 닦던 곳을 다시 한 번 심방(尋訪)하여 빼어난 경치와 학덕을 기리고자 하는 후학(後學)의 흠모의 정을 엿볼 수 있다.
【비고】
선집(先集) 1책의 구체적인 이름은 밝히지 않았지만, 아마 회재선생의 후손인 이질(李耋) 등에 의하여 1847년(憲宗 13)에 간행된 ꡔ잠계유고(潛溪遺稿)ꡕ로 짐작된다. 아래 간찰 184(B20000889) 참조.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08.16
해제작성,입력,교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작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