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원정(原情)

자료명 원정(原情) 저자 미상(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10458-10459
유형분류 고문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민간/기증·기탁·조사/고문서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B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문서명원정
한자문서명原情
이명(한글)
이명(한자)
수취(한글)미상
수취(한자)未詳
발급(한글)미상
발급(한자)未詳
찬자(한글)#
찬자(한자)#
발급목적경주(慶州) 유학(幼學) 이성양(李成樑)이 경상감사에게 올린 원정(原情)으로, 선조인 이언적(李彦迪) 및 그의 서자(庶子) 이전인(李全仁)이 조식(曹植)의 문인에게 당한 무욕(誣辱)을 분별해 줄 것을 청하는 변무원정(辨誣原情)이다.
간행년(서기력)미상   # -
유형고문서
크기142x56cm
관인수없음
청구기호
소장처원소장처와 동일
소장처1경상북도
소장처2경주시
소장처3安康邑 玉山1里 1617番地 李海轍
MF10458-10459
자료유형전통명가소장고문서자료(전통시대지방사회경제사자료)

해제정보

해제작성자문순요
해제작성일2003-10-14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해제내용
慶尙道慶州居幼學李成樑原情
문순요
【정의】
경주(慶州) 유학(幼學) 이성양(李成樑)이 경상감사에게 올린 원정(原情)으로, 선조인 이언적(李彦迪) 및 그의 서자(庶子) 이전인(李全仁)이 조식(曹植)의 문인에게 당한 무욕(誣辱)을 분별해 줄 것을 청하는 변무원정(辨誣原情)이다.
【내용】
[주제]
조식의 문인인 정인홍(鄭仁弘)에 이어 그의 무리가 여러 학궁(學宮) 및 태학(太學)에 통문(通文) 보내 이언적과 이전인 부자의 문답을 기록한 『관서록(關西錄)』의 판(板)을 훼판(毁板)하려 한다는 점. 이언적의 사당인 옥산서원(玉山書院) 및 독낙당(獨樂堂)을 점거하고 이전인 및 그의 아들 이준(李浚)의 신분이 노예(奴隸)와 다름없다는 말로 능멸한다는 점. 이전인이 아버지 사망시 고(孤)라고 일컬어 적서(嫡庶)를 분별 못했다는 것과, 이언적의 저서『구경연의(九經衍義)』등은 허위라는 등을 들어 모함하는 것을 변무해 줄 것을 청하는 내용이다.
[용어] 『관서록』은 이언적이 강계(江界)에 귀양살이 할 때 서자 이전인이 부친과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책으로 『관서문답록』이라고도 한다. 『구경연의』『구인록(求仁錄)』『대학장구갱정(大學章句更定)』『속혹문(續或問)』은 회재(晦齋) 이언적의 저서이다. ‘옥산서원’은 회재선생을 모신 서원이며, ‘독낙당’은 선생이 말년에 학문을 연마했던 곳이다. ‘예사’는 양자를 허가하는 예조의 빗기, 즉 양자 허가 증명서. 이전인이 ‘무가(武家)’에서 양육했다는 ‘武家’는 이전인이 아버지 이언적을 찾기 이전의 양부(養父)가 절도사(節度使)였다는 사실을 말한다.
[인물]
‘조식’은 1501-1572년 학자 호는 남명(南冥). ‘정인홍’은 조식의 문인, 1535-1623년 문신. ‘준(浚)’은 이전인의 아들이며 군수(郡守)를 지냈다.
[지명]
【특징】
【비고】
【참고문헌】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10.14
해제작성,입력,교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작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