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1706]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자료명 [1706]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저자 조선 종묘서
자료명(이칭) 宗廟儀軌續錄 ,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저자(이칭) , 의궤청(조선) 편(儀軌廳(朝鮮)編) , 김재로(金在魯) , 儀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2202 MF번호 MF35-1326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의궤
· 내용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 사부분류 사부-잡사류-일기
· 작성지역 한성 (현재주소: 서울특별시)
· 작성시기 1706 (肅宗丙戌始)
· 비고 K2-2202
MF35-1326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편찬, 행사주관 宗廟署 조선 종묘서 종묘서도제조(宗廟署都提調)

형태사항

· 크기(cm) 43.9 X 32.5
· 판본 필사본
· 장정 線裝
· 수량 1책 151장
· 판식 四周雙邊, 半郭 43 × 30.4cm, 烏絲欄, 半葉 12行 26字
· 재질 壯紙
· 표기문자 한자
· 도설 2면(무채색)

· 안내정보

닫기

내용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정조 즉위 이후 종묘서에서 1706년(숙종 32)부터 1766년(영조 42) 까지 종묘영녕전에서 거행되었던 추숭·부묘·세실·개수 등의 각종 의식을 정리한 의궤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02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03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04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05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06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07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08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09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0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1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2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3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4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5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6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7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8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19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20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21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22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23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24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25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DES.INF_026

집필자

임민혁
종묘전도(宗廟全圖)
[1800]종묘의궤(宗廟儀軌)에 수록된 그림과 같으나, 영녕전전도와 종묘일간도는 생략하였다. 종묘 일곽을 나타낸 그림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중건(重建)
숙종 38년 2월에 종묘 외대문이 기울어 개건하기로 함, 45년 6월에 악공청 개건, 영조 원년 8월에 태묘를 세 칸 확장하기로 하고 「상량시의(上樑時儀)」와 「증수상량문」을 부록함, 8년 2월에 제집사방 개건, 동년 3월에 수복방 내외문을 개수하기로 하고 「망묘루중건기」를 부록함, 16년 4월에 향로(香路)를 구별하기로 하는 등의 기사이다.
[상량시의]
“장막을 계단 위에 남향하여 설치한다. 상량문안(上樑文案)을 장막 안에 남향하여 진설한다. 향로와 향합 및 촉을 그 앞에 진설하는데 모두 안(案)이 있다. 도감도제조 이하의 자리를 장막 앞의 뜰 가운데 자리에 겹줄로 북향하여 설치한다. 찬의인의의 자리를 계단 아래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그날에, 상량할 시간이 되면 인의는 도제조 이하를 인도하여 흑단령을 갖추고 모두 자리로 나아간다. 찬의는 사배를 창한다. 도제조 이하는 모두 사배한다. 찬의는 무릎 꿇으라고 창한다. 도제조 이하는 모두 무릎 꿇는다. 집사 2인은 향안 앞으로 가서 무릎 꿇고 세 번 향을 사르고 물러난다. 독문관(讀文官)은 안 앞으로 가서 무릎 꿇는다. 집사 2인은 무릎 꿇고 상량문을 취하여 마주 펼친다. 독문관은 선독한다. 마치면, 물러나 자리로 돌아간다. 찬의는 부복흥사배흥평신을 창한다. 도제조 이하는 부복흥사배흥평신을 한다. 마치면, 인의는 상량문을 취하여 올라가서 들보 위에다 둔다. 인의는 도제조 이하를 인도하여 간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각실위판제식(各室位版題式)
영녕전종묘 각실에 모셔진 위판을 쓰는 법식.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각실위호서차(各室位號序次)
영녕전종묘 각실에 모셔진 국왕과 왕후의 승하, 조천, 즉위, 능의 소재지와 호 및 좌향, 시호, 존호, 추상 혹은 가상 존호와 시호 등과 그 날짜 등을 기록해 놓았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부묘(祔廟)
경종영조, 정조숙종과 그의 비, 경종과 그의 비, 선의왕후, 단경왕후, 인원왕후, 영조와 그의 비, 진종과 그의 비를 부묘한 날짜에 친제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세실(世室)
영조 5년 11월에 논의된 숙종의 세실 지정에 관한 기사들이다.
[용어해설]
세실(世室) : 천묘(遷廟)하지 않는 위패를 모시는 종묘의 신실(神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조천(祧遷)
경종 2년에 숙종의 부묘로 원종을 조천하기로 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복위(復位)
영조 15년에 중종반정으로 폐출된 신씨를 복위시키는 안에 대한 논의와 그 결과를 수록해 놓았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가상존시(加上尊諡)
영조 16년 5월에 효종에게 시호를 추가하여 올리는 안에 대해 논의한 내용과 그 결과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제향(祭享)
숙종 37년 10월에 종묘 제2실의 욕석을 떨어뜨린 잘못에 대해 대축 등을 처벌함, 43년 7월에 주준(酒樽)을 마주하여 마련하는 뇌(罍)에는 정화수를 채울 것, 영조 6년 11월에 제향할 때에는 정시 1각 전에 감찰이 점검한 후 헌관 이하는 모두 들어가 자리로 가서 정시를 기다리도록 정함 등에 관한 기사이다.
[용어해설]
뇌(罍) : 술이나 현주(玄酒)를 담는 제기의 하나. 세뇌(洗罍), 산뇌(洗罍) 등이 있다.『五禮儀』
[1706]宗廟儀軌續錄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IMG.REF_001 산뇌 jpg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IMG.REF_002 세뇌 jpg

집필자

임민혁
묘현(廟見)
숙종 44년 9월에 왕세자빈이 묘현례를 행할 때 교를 타고 종묘에 들어간 상궁의 잘못에 대한 책임을 물어 차지내관 등을 처벌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기고의(祈告儀)
영조 15년 2월에 진주사 등 사신이 청나라에서 인본(印本)을 얻어 돌아와서 삭망제 때 인조 이하의 실에 이를 고유하는 제사를 겸해 거행하도록 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축폐(祝幣)
영녕전종묘 각실의 축문을 쓰는 법식과 영조 7년 7월에 종묘 전각의 비 새는 곳을 수개하는 일로 고유하고 이환안하는 제사에 환안제 축문을 3장 밖에 마련하지 않아 이를 즉시 준비하고 그 잘못을 물어 대압승지(代押承旨) 등을 처벌함, 12월에 제문의 글자를 고침, 17년 7월에 소혜왕후의 존호 등이 빠진 축식을 바로잡고 고유제를 겸행하도록 함 등에 관한 내용들이다.
[용어해설]
이안제(移安祭) : 위패나 영정을 다른 곳으로 옮길 때 지내는 제사.
환안제(還安祭) : 다른 곳에 임시로 모신 위패나 영정를 본래의 자리로 모실 때 지내는 제사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제기(祭器)
영조 12년 4월에 영휘전에서 가져온 작(爵)에 봉상시라 새겨져 있어 섞여 사용되는 폐단을 방지하고자 체제를 통일하고 모실(某室)이라 새겨 정해진대로 사용하게 함, 5월에 제기가 상하거나 금이 간 것 등을 즉시 수개하도록 함 등에 관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제복(祭服)
영조 10년 4월에 제관(祭官)이 옥(玉)을 달지 않아 이를 달도록 하는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희생찬품(犧牲饌品)
숙종 43년에 종묘제향 때 사용하는 각 제품(祭品)을 예를 상고하여 바로잡을 일로 대신들에게 문의하여 예조에서 아뢴 초기(草記)와 「제향 때 법식에 어긋난 것을 예문에 의거하여 고쳐 정한 식」, 영조 12년 5월에 희생의 척량(尺量)과 충둔(充腯)을 각별히 신칙하고 적간하도록 함, 13년 3월에 희생의 점검을 예조당상종묘서제조가 함께 거행하도록 함, 청저(菁葅)의 변통 논의 등에 관한 내용이다.
[용어해설]
충돈(充腯) : 제사에 희생으로 쓰이는 돼지를 일컫는 말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천신(薦新)
숙종 33년 6월에 형편없는 은구어를 봉진한 강원감사 등을 처벌함, 40년 5월에 대맥미를 빈 그릇으로 내입한 잘못을 저지른 해당 관원 등을 처벌함 등에 관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봉심(奉審)
영조 13년 3월에 태묘 지붕의 물이 샌 곳에 쌓인 진흙과 낙엽을 제거하도록 함, 17년 정월에 봉심할 때 미리 주렴과 휘장을 말아올리고 지나간 후에 조용히 내리도록 함, 8월에 한 달 내에 봉심하는 날짜를 지정함 등에 관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수보의장(修補儀章
영조 16년 4월에 종묘 각실의 신탑은 칠이 다를 수 없으므로 모두 당주홍으로 칠할 것, 17년 4월에 영녕전 다섯 곳의 벽을 홍목장(紅木帳)으로 가릴 것, 종묘 바깥 주렴의 동도리와 낙영(絡纓)은 모두 청색으로 할 것 등에 관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책보(冊寶)
영조 10년 정월에 가을 전알 때에 책보를 모두 봉심할 것임을 미리 알아서 준비할 것, 4월에 하향대제 때 대가가 환궁한 후 책보장의 문을 관원이 봉쇄관원을 안동하여 착서(着署)하도록 함, 15년 3월에 단경왕후 복위시 옥책문을 제술하여 바칠 것, 16년 2월에 단경왕후 책보를 각실책보의궤에 추가하여 고칠 것 등에 관한 기사이다. 그 뒤에는 영녕전종묘의 각 실에 보존하고 있는 책보의 현황을 기록하였다.
[용어해설]
옥책(玉冊) : 옥으로 만든 책문(冊文). 국왕이나 왕비, 왕대비, 대왕대비 등에게 존호(시호, 추상존호, 가상존호)를 올릴 때, 또는 왕비를 책봉할 때, 국왕이나 왕비의 애책 등으로 사용되었다.
[1706]宗廟儀軌續錄
G002+JSK+KSM-WA.1706.1111-20090525.K22202-IMG.REF_003 인조옥책(仁祖玉冊) jpg

집필자

임민혁
변례(變禮)
영조 16년 5월에 신탑에 놓을 자리가 없어 독(櫝)의 덮개는 신장(神欌)에 그대로 두기로 함, 7월에 제6실인 중종실의 4위(位)를 놓을 수 있도록 신탑의 길이와 너비를 증감하여 개수할 것 등에 관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배향공신(配享功臣)
태조부터 영조까지 각 왕대별로 종묘에 배향된 공신의 명단을 정리해 놓았다.
태조묘정 : 영의정평양부원군문충공조준, 의안대군, 영의정의령부원군충경공남재, 흥안군경무공이제, 청해군양렬공이지란, 의성부원군강무공남은, 한산군충정공조인옥.
태종묘정 : 영의정진산부원군문충공하륜, 한산부원군충무공조영무, 우의정청성부원군익경공정탁, 완산부원군양도공이천우, 계림군경절공이래.
세종묘정 : 영의정익성공황희, 영중추부사정렬공최윤덕, 좌의정문경공허조, 좌의정문희공신개, 병조판서문정공이수.
세조묘정 : 좌의정길창부원군익평공권람, 좌의정서원부원군양절공한확, 영의정상당부원군문성공한명회.
성종묘정 : 영의정고령부원군문충공신숙주, 영의정봉원부원군충정공정창손, 좌의정익성부원군충정공홍응.
중종묘정 : 영의정평성부원군무열공박원종, 좌의정창산부원군충정공성희안, 영의정청천부원군문성공유순정, 영의정문익공정광필.
선조묘정 : 영의정충정공이준경, 좌찬성증영의정문순공이황.
인조묘정 : 영의정문충공이원익, 영의정문정공신흠, 영의정승평부원군문충공김류, 증영의정연평부원군충정공이귀, 영의정충익공신경진, 증영의정완풍부원군충정공이서.
효종묘정 : 좌의정문정공김상헌, 판중추부사문경공김집, 증영의정문정공송시열.
현종묘정 : 영의정익헌공정태화, 겸병조판서증영의정충숙공김좌명.
숙종묘정 : 영의정치사봉조하문충공남구만, 좌의정문순공박세채, 우의정문정공윤지완, 영의정문정공최석정.
경종묘정 : 영의정혜정공이유, 행좌참찬충문공민진후.
영조묘정 : 영의정충헌공김창집, 영의충정공최규서, 좌의정문충공민진원, 좌의정풍릉부원군증영의정문충공조문명, 영의정충정공김재로.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고사(故事)
숙종 32년 12월에 종묘영녕전의 창건과 중수 등에 관련된 기록들을 모아 편찬한 의궤 중 어람용을 바치는 의절을 행하기로 함, 영조 17년 4월에 지난 수십 년 동안 행했던 부묘와 세실 복위 추상존호 등의 기록을 모아 의궤를 편찬하도록 함, 8월에 태묘의궤를 완성하여 1건은 종묘서에 보관하고 1건 2책은 어람용으로 바치는 의절을 거행하도록 함 등에 관한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관원(官員)
종묘서 소속 관원의 구성과 영조 27년 12월에 26명의 향군 중 6명을 사령으로 부리는 것을 허락하는 기사이다.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수직(守直)
영조 17년 8월에 종묘서 부장이 사사로이 출입하는 것을 못하게 함, 34년 3월에 효소전휘녕전의 우주(虞主)를 매안하는 중에 인종인렬왕후의 시책옥편을 발견하고 감흥이 일어 쓴 윤음 등에 관한 내용이다.
[용어해설]
우주(虞主) : 우제(虞祭)를 지낼 때 뽕나무로 만든 신주.
[1706]宗廟儀軌續錄

집필자

임민혁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06년(숙종 32)부터 1766년(영조 42) 까지 종묘와 영녕전에서 거행되었던 추숭(追崇)·부묘(祔廟)·세실(世室)·개수(改修) 등 각종 의식을 정리, 등록하기 위해 정조 즉위 이후 종묘서에서 작성한 의궤.
원자료제목
· 표제宗廟儀軌續錄
종묘의궤속록범례(宗廟儀軌續錄凡例)
종묘의궤속록목록(宗廟儀軌續錄目錄)
종묘전도(宗廟全圖)
중건(重建)
각실위판제식(各室位版題式)
각실위호서차(各室位號序次)
부묘(祔廟)
세실(世室)
조천(祧遷)
복위(復位)
가상존시(加上尊諡)
제향(祭享)
묘현(廟見)
기고의(祈告儀)
축폐(祝幣)
제기(祭器)
제복(祭服)
희생찬품(犧牲饌品)
천신(薦新)
봉심(奉審)
수보의장(修補儀章)
책보(冊寶)
부 각실시존책보(附各室時存冊寶)
변례(變禮)
배향(配享)
고사(故事)
관원(官員)
수직(守直)
[내용 및 특징]
1706년(숙종 32)부터 1766년(영조 42) 까지 종묘영녕전에 관련하여 거행되었던 추숭(追崇), 부묘(祔廟), 세실(世室), 개수(改修) 등 각종 의식을 정리, 등록하기 위해 정조 즉위 이후, 종묘서에서 작성한 의궤로 장서각 유일본이다. 이 의궤는 2건이 작성되어 1건은 종묘서에 보관되었고 1건은 어람용으로 진상되었는데, 본 의궤는 종묘서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보이고, 나머지 1건의 행방은 현재 알 수 없다.
표지에 “1706년(숙종 32)에 시작하여 영조 신축년에 마쳤다.[肅宗丙戌始英宗辛丑止]”라고 기록되었는데 영조년간에 신축년이 없다. 본문의 내용을 미루어 보아 1781년(정조 5, 신축)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맨 앞에는 범례가 있고 다음에 목록이 있다. 범례는 총 8항이다. 목록은 종묘전도(宗廟全圖)·중건(重建)·각실위판제식(各室位版題式)·각실위호서차(各室位號序次)·부묘(祔廟)·세실(世室)·조천(祧遷)·복위(復位)·가상존시(加上尊諡)·제향(祭享)·묘현(廟見)·기고의(祈告儀)·축폐(祝幣)·제기(祭器)·제복(祭服)·희생찬품(犧牲饌品)·천신(薦新)·봉심(奉審)·수보의장(修補儀章)·책보(冊寶)·변례(變禮)·배향(配享)·고사(故事)·관원(官員)·수복(守僕)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목록에 따른 각각의 상세 내용이 실려있고 맨 마지막에 의궤의 수정, 등록을 책임진 책임자들의 명단이 실려있다.
「종묘전도」에는 종묘 전체의 건물 배치 모습의 그림이 수록되어 있다. 「영녕전전도」는 『[1800]종묘의궤(宗廟儀軌)』에 수록되어 있다는 설명으로 대신하고 있다. 「중건」에는 1712년(숙종 38) 2월에 종묘 외대문을 개건하는 기사를 비롯하여 1725년(영조 1) 8월의 태묘를 확장하는 기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상량 때에 의식(上樑時儀)과 대제학이의현(李宜顯)이 지은 상량문(上樑文) 및 망묘루중건기(望廟樓重建記)가 부록되어 있다.
「각실위판제식」에는 종묘영녕전에 모신 각 실의 신위에 쓰여진 법식을 수록하였다. 「각실위호서차」는 종묘영녕전의 각 실에 모신 왕과 왕비의 승하·조천·즉위·능의 소재지·시호의 의미·승하일자·능소의 위치 등등과 그 각각의 날짜를 기록해 놓았다. 「부묘」에는 숙종(肅宗)·경종(景宗)·영조(英祖) 및 왕비들을 부묘한 날짜에 친제하였다는 사실이 수록되어 있다. 「세실」에는 1729년(영조 5) 11월에 논의된 숙종의 세실 지정에 관한 기사들이 수록되어 있다. 「조천」에는 1722년(경종 2) 3월 19일에 숙종(肅宗) 부묘(祔廟)를 위해서 원종(元宗)영녕전으로 조천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1739년(영조 15)에 중종비 신씨(愼氏)의 복위에 대해 논의한 기사와 더불어 그에 대한 전말이 실려 있다. 「가상존시」에는 1740년(영조 16) 효종에게 시호를 추가하여 올리는 사안에 대한 논의의 시말이 들어있다. 「제향」과 「묘현」에는 숙종조에 왕이 직접 종묘를 알현하고 제향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축폐」에는 영녕전종묘 각실의 축문을 쓰는 법식과 1741년(영조 17) 7월에 소혜왕후의 존호 등이 빠진 축식을 바로잡고 고유제를 겸해서 시행하도록 한 내용 등이 수록되어 있다. 「기고의」에는 1739년 사신이 청나라에서 인본(印本)을 얻어 돌아온 것을 삭망제 때 인조 이하의 실에 고유제를 겸해서 시행하도록 한 기사가 수록되어 있다.
「제기」· 「제복」· 「희생찬품」· 「천신」· 「봉심」 등에는 종묘의 제향 시에 소용되는 제물의 종류·수량 및 검사 등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다. 「책보」에는 정조 초까지 남았던 종묘영녕전의 책문과 금보를 수록하고 있다. 「변례」에는 도량형의 변화에 따라 종묘 제도가 변한 것에 대한 내용이 실려이다. 「배향」에는 태조부터 영조까지의 종묘배향공신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고사」에는 숙종조 및 영조조의 종묘의궤 관련 내용이다. 「관원」·「수복」에는 종묘서의 관원과 수복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맨 끝에는 이 종묘의궤의 조사·등록을 담당한 책임자인 도제조(都提調)김재로(金在魯)·제조(提調)조상경(趙尙絅)·수정랑청 종묘서 령(修正郞廳宗廟署令)홍윤보(洪允輔)·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정우령(鄭遇寧) 등이 기록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이 종묘의궤는 1706년(숙종 32) 이후부터 1766년(영조 42) 사이에 거행되었던 추숭·부묘·세실·개수 등의 종묘영녕전에 관련된 각종 의식사항을 정리·등록한 것으로, 숙종부터 영조대의 종묘와 관련된 의식내용 및 절차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한국학자료해제-장서각소장의궤해제』 2권 申明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집필자

김은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