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주문공선생기보통편(朱文公先生紀譜通編)

자료명 주문공선생기보통편(朱文公先生紀譜通編) 저자 송시열(宋時烈)
자료명(이칭) 朱文公先生紀譜通編 저자(이칭) 戴銑(明) 等編
청구기호 K2-885 MF번호 MF35-1237~123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外國人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세기(世紀)]
· 청구기호 K2-885
· 마이크로필름 MF35-1237~1238
· 기록시기 [19世紀]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송시열(宋時烈)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3.5 X 22.3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6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5×12.5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79년(숙종 5)宋時烈朱熹의 孫인 朱境의 『朱子年譜』와 戴銑의 『紫陽年譜』를 참조하여 주희의 傳記로 편찬한 역사서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과 판심제, 書根題는 모두 ‘紀譜通編’이다. 각 책 제1면 난외 우측 상단에 ‘긔보통편’이라 필사되어 있다. 上下內向1~3葉花紋魚尾와 無魚尾가 혼입되었으며, 다양한 글씨체와 판의 마멸도 등을 미루어 19세기경에 발행한 補板이 섞인 후쇄본으로 추정된다. 일부 下魚尾 안에 ‘曰’이 새겨져 있으며 목판의 頭註가 있다. 朱文公의 眞像 등의 揷圖가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편자는 序나 跋이 실리지 않아 알 수 없지만 『尤菴年譜』에 “崇禎 52년(1679)에 『朱子年譜』와 『朱子實紀』를 合編하여 『紀譜通編』 6卷을 만들었다.”는 기록을 근거로 송시열이 편찬한 것으로 짐작된다. 연보는 주희가 『二程年譜』를 저술하여 先師의 연대기를 만든 것에서 시작되어, 黃幹이 『朱子行狀』을 만들고 李方子가 『紫陽年譜』를 만들어 기존 연대기에 행장을 덧붙이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첫머리에 汪仲魯의 年譜序, 朱原貞, 朱湛, 孫思齊의 年譜重刊序(1431), 戴銑의 實紀序(1506), 8조목의 實紀凡例, 汪愈의 刻實紀後序, 李夢陽의 刻實紀序(1513) 등이 있고, 目錄과 본문이 있다. 목록에 출전을 紀와 譜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같은 출전인 경우는 紀譜로 정리하였다.
본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권1에 道統源流, 世系源流, 眞像(寫照銘, 書畵像自驚, 朱晦庵像贊, 朱子贊), 塋墓圖 등이 수록되었고, 권2에 年譜, 권3에 行狀, 本傳 등이 수록되었다. 권4에는 宅廟, 祠, 書坊, 亭, 褒典(除提點江西刑獄公事誥, 除直寶文閣主管嵩福宮誥 등 18편), 讚述(祝詞 1편, 事實 3편, 識跋 2편, 祭文 7편) 등이 수록되었고, 권5에는 記題(碑記, 始建家廟記, 記, 重建記 3편, .源祠宇記, 記, 徽州祠堂記 3편, 祠堂碑, 績溪祠記, 重修祠記 5편, 祠堂記 2편, 白鹿書院記, 重建記 6편, 記, 學田記, 雲谷書院記, 武夷書院記, 重修記, 記, 考亭書院記, 重建記, 寒泉精舍記, 建安祠上樑文), 序, 上樑文, 疏, 表, 跋(闕) 등이 수록되었다. 권6에는 門人, 童蒙須知, 訓子從學帖 등이 수록되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성리학의 道統에 조예가 깊었던 송시열이 성리학의 도통을 밝히고 존주론을 강조하기 위하여 편찬한 책이다. 조선 후기 성리학의 도통론을 살펴볼 수 있고, 주희의 사적·행장과 함께 성리학의 경향을 보여주는 사료이다.

집필자

김경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