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청향당선생실기(淸香堂先生實紀)

자료명 청향당선생실기(淸香堂先生實紀) 저자 이상철(李尙喆)
자료명(이칭) 淸香堂先生實紀 저자(이칭) 李尙喆(朝鮮) 等編
청구기호 K2-839 MF번호 MF35-192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60(철종 11년)
· 청구기호 K2-839
· 마이크로필름 MF35-192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상철(李尙喆) 등(等)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2.2 X 20.9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3×15.8cm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세기 인물인 淸香堂 李源(1501~1568)의 遺文과 관련 자료 등을 모아 놓은 실기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淸香堂實紀’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 ‘全’이 기재되어 있다. 본래 표지를 그대로 둔 채 再裝하였다. 본래 표지 우측 상단에 編目이 기재되어 있다. 『淸香堂先生實紀』(K2-840)와 동일본이나 본서의 크기가 조금 더 크고, 전장 배접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청향당 이원의 遺文과 遺事, 行蹟 등을 모아 놓은 실기이다. 청향당은 이원의 號이다. 이원의 본관은 陜川, 字는 君浩參奉 承文의 아들이며, 丹城 출신이다. 1519년(중종 14) 己卯士禍를 계기로 벼슬길을 단념하고 학문 연구와 講論 등에 전념했다. 孝行으로 조정으로부터 褒賞을 받았으며 1546년(명종 1) 學行으로 천거되어 昆陽訓導, 典牲署主簿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563년(명종 18) 外先祖인 文益漸의 祠宇와 碑閣을 세웠다. 李滉曹植과 親交가 두터웠으며 曹董, 李希顔, 申季誠 등과 道義之交를 맺었다.
실기의 序文은 嘉義大夫 前兵曹參判 柳致明(1777~1861)이, 跋文은 通訓大夫 前行弘文館 副修撰 知制敎 兼 經筵 檢討官 春秋館 記事官 柳宜貞(1794~1861)이 찬했다.
제1권은 遺文으로 詩 4수가 실려 있고, 附錄으로 世系圖, 年譜, 言行錄(從子 光友), 行狀(小山 李光靖), 墓碣銘幷序(鏡潭 李守貞), 墓誌銘幷序(燕巖 朴趾源), 培山書院院宇開基文(從孫 恒茂), 廟宇上樑文(星山 李如珵), 奉安文(鏡潭 李守貞), 常享祝文(鏡潭 李守貞), 書院記(眞城 李彙寧)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권은 모두 附錄으로 諸賢酬唱 35수(退溪 이황의 詩 12수, 南冥 조식의 詩 10수, 灌圃 魚得江의 詩 12수, 璞齋 金紐의 詩 1수), 退溪書札 13편 등이 실려 있다.
청향당이 남긴 글은 임진왜란으로 모두 산실되어 버렸기 때문에, 이 실기에 실려 있는 글 가운데 청향당의 글은 첫머리에 있는 시 「却寄」 1수뿐이다. 퇴계금난수를 통해 청향당에게 시를 전하자, 거기에 응해 청향당이 지은 이 시도 『성재일기』에 수록되어 있던 것을 옮겨 실은 것으로 보인다. 말미의 ‘庚申暮春培山開刊’이라는 刊記로 보아, 1860년(철종 11)경상도 산청 단성培山書院(1792년 건립)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淸香堂實紀』 해제」, 김준형, 『남명학연구』 6, 남명학회, 1996. URL

집필자

임선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