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정효공가승(靖孝公家乘)

자료명 정효공가승(靖孝公家乘) 저자 이우(李俁)
자료명(이칭) 靖孝公家乘 저자(이칭) 李우 (朝鮮) 編
청구기호 K2-816 MF번호 MF35-192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84(숙종 10년)
· 청구기호 K2-816
· 마이크로필름 MF35-192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우(李俁)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8.7 X 17.9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7×18.0cm
· 인장 奉謨堂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宣祖의 제12서자인 仁興君 李瑛(1604~1651)의 가승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版心題는 모두 ‘靖孝公家乘’이다. 표지 서명 아래에 ‘全’이 기재되어 있다. 書根에는 書根題 ‘靖孝公家乘’과 ‘全’이 기재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이영의 아들 朗善君 李俁1684년(숙종 10)에 간행했다. 권수에 1670년(현종 11) 宋時烈許穆의 서문이 차례로 실려 있다. 먼저 「靖孝公八高祖圖」가 있고, 이어 「靖孝公丘墓圖」가 있는데 경기도 永平에 있는 인흥군 묘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그림과 1671년(현종 12) 허목의 기문이 있다. 다음은 凡例와 목록이 있다. 「孝宗大王御札」 9편, 「御製詩」 1首, 「賜祭文」, 呂南徵의 「諡狀」, 尹新之의 「墓誌銘幷序」, 李景奭의 「神道碑銘幷序」, 송시열의 「神道碑銘幷序」, 허목의 「墓碣銘幷序」, 「遺事」, 1683년(숙종 9) 송시열의 「祠堂記」, 「墳菴碑記」, 「朝報說話」 등이 있다. 이어 이경석, 윤신지, 洪柱元, 柳廷亮, 朴遾, 呂爾徵, 安獻徵, 심노 등의 輓章이 있다.
다음은 附錄으로 인흥군의 부인에 관한 자료와 인흥군의 글을 정리한 것이다. 먼저 礪山郡夫人宋氏行蹟으로 「賜祭文」, 송시열이 지은 「墓表陰記」, 金萬基가 지은 「墓誌銘」, 「朝報說話」 등이 있다. 다음은 金壽恒, 南龍翼, 李端夏, 沈梓, 李華鎭 등이 지은 輓章과 그에 대한 1683년(숙종 9) 낭선군 이우의 지문이 小註로 부록되어 있다. 遺稿로는 五言絶句, 七言絶句, 七言律詩 등 詩 25수가 있고, 「陳情疏」(1626), 「請暇沐浴疏」(1634), 「辭司饔院宗簿寺都提調疏」(1647), 「辭兼帶請均被推勘疏」(1649), 「被論後辭本職及兼帶疏」(1651), 「再疏」 등의 疏가 있다. 이어 인흥군 어머니의 행장인 「先妣靜嬪閔氏行狀」과 이우의 지문이 소주로 부록되어 있다. 「月窓夜話」 등도 들어 있다. 마지막에는 인흥군의 묵적과 ‘崇禎後甲子刊(1684)’이라는 간기가 있다.
특성 및 가치
인흥군 이영의 생애와 행적을 이해하는 데 기본 자료가 된다. 「朝報說話」와 같은 적은 분량의 조보를 활용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