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여헌선생연보(旅軒先生年譜)

자료명 여헌선생연보(旅軒先生年譜) 저자 장학(張澩)
자료명(이칭) 旅軒先生年譜 저자(이칭) [張학(朝鮮) 編]
청구기호 K2-785 MF번호 MF35-154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36(영조 12년)
· 청구기호 K2-785
· 마이크로필름 MF35-1542
· 기록시기 1736~1785年(英祖 12~正祖 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장학(張澩)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1.8 X 21.3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3×16.8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중기 영남의 대표적인 학자 旅軒 張顯光(1554~1637)의 연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版心題는 모두 ‘旅軒先生年譜’이다. 표지의 우측 상단에는 부록이 표기되어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연보의 편집과 간행 주체, 간행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헌집』의 간행 경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장현광의 문집 초간본은 아들 張應一과 문인 趙任道, 申悅道가 주도하여 編次하고 仁同府使 金應祖의 도움으로 1642년(인조 20)에 간행되었다. 중간본은 속집의 간행과 함께 19세기 말경에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한국고전번역원의 해제에 따르면, 1796년에 완성된 『鏤板考』에도 續集이 보이지 않고, 속집 권10에 수록된 ‘正宗朝 賜祭文’에 근거하여 순조 대 이후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장서각도서한국판총목록』에는 편저자가 문인 張澩으로 되어 있으나 무엇에 근거하였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연보의 마지막 기사 “1736년(영조 12)東洛書院 근처에 신도비를 세웠다.”는 내용에 근거하면, 연보의 간행 연도의 상한은 1736년이고, 하한은 동락서원에 치제하라는 기록이 있는 『正祖實錄』에 따라 1785년(정조 9)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연보의 권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본(奎1315, 奎1316)에 따르면 卷首에 世系圖가 수록되어 있으나 본 도서에는 누락되어 있다. 권1은 출생부터 신도비 건립까지 주요 기사를 정리한 연보이며, 권2는 附錄으로 먼저 허목이 지은 신도비명 및 인조의 「遣禮官致祭文」과 허목이 지은 「士林祭文」을 비롯한 문인들의 祭文이 수록되어 있다. 문인 김응조를 필두로 崔晛, 李彦英, 李道長, 조임도, 張乃範, 盧亨弼, 張慶遇, 신열도, 金烋, 申祐德, 鄭克後, 金慶長, 張澩, 李紬, 金羾, 朴吉應, 安應昌, 金瀁의 제문이 있고, 禮安書院儒生, 星山儒生, 咸昌儒生, 安東儒生 등 지역 유생의 공동 제문을 수록하였다. 말미에는 東洛書院 奉安文과 春秋享祀祝文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輓章이 수록되어 있는데, 김응조, 金湜, 조임도, 최현, 許厚, 장경우, 姜大遂, 金光繼, 金光岳, 노형필, 김휴, 신열도, 呂爾載, 박길응 등의 것이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