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양대사마실기(梁大司馬實記)

자료명 양대사마실기(梁大司馬實記) 저자 정조(正祖)
자료명(이칭) 양대사마실기(梁大司馬實紀) , 梁大司馬實紀 저자(이칭) 正祖(朝鮮王, 1752-1800) 命編
청구기호 K2-780 MF번호 MF35-1059~106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00(정조 24년)
· 청구기호 K2-780
· 마이크로필름 MF35-1059~106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조(正祖) 명편(命編)

형태사항

· 크기(cm) 33.1 X 20.1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1권(卷) 5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6×14.8cm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임진왜란 때 호남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梁大樸(1544~1592)에 관한 실기이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정조의 명에 의하여 양대박의 문집인 『청계집』과 그의 임진왜란 당시 의병 활동을 정리한 『창의록』, 아들 양경우의 『제호집』 등 기존에 간행되어 별도로 전승되던 책을 통합하여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권수에 있는 「奉敎書」를 沈煥之가 쓴 시점이 1799년(정조 23) 孟冬이며, 『群書標記』에도 경신년이라고 하였으므로 본 도서는 1800년(정조 24) 正祖의 命에 의해 편찬된 것이다. 본 도서는 양대박의 遺文과 行蹟뿐만 아니라 그의 아들 경우(1568~?)와 亨遇(?~1623)의 유문 및 행적도 함께 附錄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구성은 크게 권1~6에는 양대박의 『양대사마실기』이고, 권7~10은 양경우의 『霽湖集』이고, 권11은 양형우의 『東崖集』이다.
卷首에는 1799년 심환지의 「奉敎書」와 「御製致祭文」(1799)가 있다. 이어 『倡義錄』에 수록된 그림을 토대로 그린 「雲巖破倭圖」 및 「請斬倭使書上松江鄭相國」, 「倡義檄文」, 「世譜」, 「目錄」이 수록되어 있다. 권1은 倡義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재산을 털어 아들 두 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던 일과 任實雲巖에서 倭兵을 大破한 업적을 강조하는 글과 전기 자료가 실려 있다. 먼저 경우가 지은 「從軍日記」 上中下, 형우가 지은 「雲巖破倭圖記」, 6代孫 周翊이 지은 「家狀」, 鄭琢金祖淳이 지은 「傳」 2수, 尹行恁이 지은 「雲巖勝戰碑」, 閔鍾顯이 지은 「神道稗銘幷序」, 黃景源 「墓碣銘幷序」, 남공철이 지은 「墓表」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2는 褒忠으로 「㫌閭」, 「贈職」, 金載瓚의 「賜謚」 등 사후 정려와 추증 등에 관한 글을 정리하였다. 권3~4는 遺藁로 「次晩翠堂韻上牛溪先生」, 「與尹梧陰斗壽泛舟漢江」, 「送柳眉巖希春歸江南」 등의 古近體詩 320여 수가 수록되어 있고, 권5에는 「上松江鄭相國澈請斬倭使書」 등 4편의 편지, 「盜殺李輔國論」 등의 論 2편, 「擬漢王陵勿王呂氏奏」, 「重修簡儀臺記」, 「游金剛山記」, 「游頭類山記」 및 「祭長子文」, 「祭鶴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6은 附錄으로 양대박이 의병을 일으킨 일에 대해 기리는 글로 주로 정조 대에 활약한 인물의 글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권7~10은 양경우의 『霽湖集』이다. 대부분은 시이며 雜著로 「座右銘」, 「閑居箴」, 「臨終奮筆自挽」 등이 있고, 「天兵留糧檄」, 「祭南原古戰場文」, 「耆老所祭月汀尹公文」과 「詩話」, 현손 命辰이 지은 「家狀」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1은 양형우의 『東崖集』으로 詩 65수와 「東崖精舍上樑文」, 「龍城客舍上樑文」, 5대 방손 周翊이 지은 「家狀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承政院日記』, 정조 20년 8월 9일(신사).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