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석담선생연보(石潭先生年譜)

자료명 석담선생연보(石潭先生年譜) 저자 허목(許穆)
자료명(이칭) 석담선생년보(石潭先生年譜) , 石潭先生年譜 저자(이칭) 許穆(朝鮮) 等撰 , 허목(조선) 등찬(許穆(朝鮮) 等撰)
청구기호 K2-763 MF번호 MF35-18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15(순조 15년)
· 청구기호 K2-763
· 마이크로필름 MF35-188
· 기록시기 1815年(純祖 15)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허목(許穆) 등(等)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23.4 X 22.5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2×18.3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중기 문신 石潭 李潤雨(1569~1634)의 연보이다.
체제 및 내용
이윤우율곡 이이에게 수학하다가 그 사후 寒岡 鄭逑의 문인이 되었다. 광해군 대에 사관으로 정인홍의 비리를 직서했다가 탄핵받고 사퇴하였다가, 그 뒤 인조반정으로 등용되어 공조참의까지 지냈다. 그의 손자 李元禎(1622~1680)과 증손 李聃命(1646~1701) 등은 숙종 대 남인 강경파로 활약하였다. 연보는 이윤우1569년(선조 2) 星州 上枝里에서 출생한 기사부터 1677년(숙종 3) 檜淵書院에 배향된 일과 1690년(숙종 16) 禮官을 보내 賜祭한 기사까지 수록되어 있다. 다음은 附錄으로 사제문을 비롯하여 부제학 張應一이 지은 「梅湖祠奉安文」, 진사 朴震耉가 지은 「檜淵書院奉安文」, 「告寒岡先生文」, 「告東岡先生文」, 좌랑 蔡楙가 지은 「泗陽書院奉安文」, 「鰲山書院尊德祠志」, 허목이 지은 墓碣銘, 金世濂이 지은 墓誌銘 등이 있고, 마지막으로 1628년(인조 6) 담양부사로 내려갈 때 여러 인사들이 전별연을 할 때 써 준 시를 모아 놓은 贐章을 정리했는데, 李好敏, 睦敍欽, 趙絅, 李埈 등 27명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한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의 『석담집』(奎415)에 수록된 연보에는 1634년이윤우의 아들 李道長이 지은 家狀을 賜祭文, 奉安文, 墓碣銘, 墓誌銘 대신에 수록하여 연보, 가장, 신장으로 結冊한 것이 다른 점이다. 그런데 두 판본의 판수를 일일이 비교해 보면, 가장의 분량이 사제문, 봉안문, 묘갈명, 묘지명의 것과 일치한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의 「實記」의 表紙 裏面에 묵서된 내용은 “1815년 4월에 漆谷에 있는 鹿峰精舍의 刊役所에서 대구에 있는 伊江書院의 院藏으로 보낸다.”라는 것이어서 「실기」를 비롯한 문집이 1815년(순조 15)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이 실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실기와 발문, 부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부록은 사제문, 봉안문, 고문, 제문, 만사, 묘지명, 묘갈명 등의 순서로 되어 있어서 제문과 만사를 제외한 나머지가 장서각 소장 연보의 부록과 중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기」의 지문에 따르면 연보는 1815년에 문집 및 실기와 함께 간행된 것이다.
특성 및 가치
이윤우의 생애를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된다. 『장서각도서한국판총목록』에는 허목이 찬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 근거는 확인되지 않는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석담집』의 실기와 장서각 소장의 본 연보의 편차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정확하지 않다. 다만 『석담집』에 수록된 사제문과 장서각본 연보의 사제문에서 첫 구절인 ‘國王遣臣’의 첫글자 ‘國’의 極行 처리 방식에 차이가 있다. 두 판본의 글씨체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