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삼우당문선생실기(三憂堂文先生實記)

자료명 삼우당문선생실기(三憂堂文先生實記) 저자 문계항(文桂恒), 문병렬(文秉烈)
자료명(이칭) 三憂堂文先生實記 저자(이칭) 文就光(朝鮮) 等編
청구기호 K2-757 MF번호 MF35-1081~108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51(철종 2년)
· 청구기호 K2-757
· 마이크로필름 MF35-1081~108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문계항(文桂恒)

형태사항

· 크기(cm) 32.5 X 20.8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8×15.6cm
· 인장 晉山世家, 李王家圖書之章, 姜凡秀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고려 말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가져온 三憂堂 文益漸(1329~1398)에 관한 실기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三憂堂文實記’, 版心題는 ‘三憂堂文先生實記’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乾·坤’으로 표기되었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 우측 하단에는 ‘晉山世家’와 개인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卷末의 1851년(철종 2)에 지은 跋을 통해 본 도서가 1851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권말에 수록된 「記事」와 「後記事」에 따라 간행 경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766년 朴思徽가 道川院蹟에 근거하여 『行蹟記』 1권을 찬술하고, 1788년에 宗丈 泳光이 여러 집안의 소장 자료를 모아서 『功行錄』을 간행하였다. 이 두 기록에 모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던 차에 桂恒1808년 여름에 족보 간행에 참여하다가 『事實本記』 1권을 얻은 것이 계기가 되어 그해 겨울 長興의 宗老인 就光와 뜻을 합하여 1817년서울에서 모임을 갖고 1818년 겨울 河東에서 初刊本을 간행하였다. 그 뒤 1827년경기도 安城에서 重刊本을 간행했는데, 한결같이 초간본에 의거하고 『海奎律髓集』에서 확인된 忠宣公의 詞律 3수와 諸賢吟詠과 輓章은 모두 계항이 追考한 것이다. 이 중간본은 충선공의 孫行과 昭穆의 서열에 착오가 있다. 1851년 가을 譜牒과 實記를 서울에서 추가로 자료를 수집할 때는 부친이 고증한 것을 따르고 증보할 때도 여러 문헌에 근거하여 주석을 증명하여 삼간본을 간행하였다.
수록 내용을 순서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18년(순조 18) 예조판서 金儀淳공조판서를 지낸 洪儀浩의 서문이 있다. 권1은 먼저 「疑系」가 있는데, 당시 간행된 任敬昌의 『性苑叢錄』, 趙仲耘의 『氏族源流』, 李淳의 『簪纓譜』, 丁時述의 『萬姓譜』 등에 文卓文翼 사이 12세에 諡號에 차이가 있지만 고증할 문헌이 없어서 그 차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다음은 「世系」와 「연보」이다. 연보 말미에서는 1788년(정조 12) 후손 영광에 의해 『功行錄』이 완성되었고, 1818년 후손 就光계항이 자료를 수집하여 『연보』가 완성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권2는 遺文으로 5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먼저 「題密陽驛南樓」, 「次贈李亞尹送西獻侯韻」 등이 있다. 「謫南荒時作」 3수가 추가로 수록되었는데, 이는 1818년에 初刊本 實記를 간행하고 1827년(순조 27)에 『安城譜』(중간본)를 간행한 뒤 『海奎律髓集』에서 찾아 부록한 것이다. 다음은 褒典으로 세종 대부터 정조 대까지 賜墓祭文, 賜額祠宇祭文, 傳敎 등을 시대순으로 수록했다. 이어 敍述上으로 「高麗史列傳」가 있고, 다음 「行狀」은 鄭汝昌이 지은 것으로 되어 있어서 항목만 표기했다. 「事實本記」은 1464년(세종 10) 감찰 文致昌이 지은 것으로 주요 행적을 정리한 것이다. 「神道碑銘幷序」은 1771년(영조 47) 참판 李瀰가 지은 것으로 말미에 비석의 건립 과정을 정리했다. 「墓碣銘幷序」는 1785년(정조 9) 대제학 黃景源이 지은 것이다.
권3은 敍述中으로 1563년(명종 18) 李滉이 지은 「孝子碑閣記」, 曺植이 지은 「墓祠記」, 1623년(인조 1) 權潗이 지은 「孝子碑閣重修記」, 1740년(영조 16)1766년(영조 42)박사휘가 지은 「丹城建院記」와 「行蹟記序」가 있다. 이어 「淵源錄」은 박사휘가 찬술하였으나 1791년(정조 15)에 여러 책을 고증하여 증삭한 것이다. 「盛德齋記」은 1818년(순조 18) 吳羽常이 지은 것이다. 「江城祠圖記」는 1787년(정조 11) 姜世晃이 지은 것이다. 1818년 尹奎範安在默이 지은 「大庇齋記」 2수, 1787년 李鳳興1805년(순조 5) 柳汶龍이 지은 「道川書院重修記」 2수, 류문룡의 「杏亶記」가 있고, 이어 「木棉花記」는 남효온이 지은 것으로 고증했는데, 『行蹟記』와 『功行錄』에는 曺植의 저술로 되어 있으나 남효온과 동시대인인 文致昌의 기록에 따라 정정한 것이다. 「諸賢詩詞」는 元學士 達成貴, 李穡, 南智, 문치창, 金時習, 김종직, 정여창, 김굉필, 김안국, 김정국, 柳洵, 조식, 李圭輔, 李之菡, 李珥, 黃愼, 金長生, 李睟光, 金應祖 등 19명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다. 「道川書院春秋享祝文」, 이조참판 金有慶이 지은 「江城祠春秋香祝文」과 「月川祠合享告由祝文」, 대제학 황경원이 지은 「江城祠賜額告由祝文」, 李亨復이 지은 「道川書院賜額告由祝文」, 「諸書考訂」 등이다.
권4는 敍述下로 梁誠之의 「請立祠疏」, 1708년(숙종 34)에 지은 「道川書院請額疏」, 1785년에 지은 「江城祠請額上言」, 1787년에 지은 「道川書院請復額上言」, 魏伯珪가 지은 「請從享文廟疏」, 「追錄」은 강세황 등 12명의 글을 수록한 것이다. 다음은 忠肅公事實別錄으로 忠肅公 文克謙(1122~1189)에 관한 사적을 부록한 것으로 「高麗史列傳」, 「東史纂要」, 「史臣論」, 「李眉叟論」, 「金佔畢齋詩」, 「叩諫院記」 등을 수록하였다. 권말에는 1818년(순조 18) 오우상의 「敍後」 및 계항의 「記事」와 1851년(철종 2) 계항의 아들 秉烈의 「後記事」가 있다.
특성 및 가치
자료의 저작 연도와 저술 배경을 꼼꼼히 고증한 점이 일반 實記類와 구별된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