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삼송재실기(三松齋實記)

자료명 삼송재실기(三松齋實記) 저자 최희수(崔曦秀)
자료명(이칭) 三松齋實記 저자(이칭) 崔曦秀(朝鮮) 編
청구기호 K2-756 MF번호 MF35-187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4(광무 8년)
· 청구기호 K2-756
· 마이크로필름 MF35-187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최희수(崔曦秀)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9.9 X 19.6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2×16.6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후기 효자로 송시열의 문인인 三松齋 崔汝軫(1649~1725)에 관한 실기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三松齋實記’이며, 版心題는 ‘三松齋崔先生實記’이다. 표지 서명 아래에는 ‘全’이 기재되어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본 도서는 목활자본인데, 교정한 흔적도 보인다. 卷首의 1904년(광무 8)에 지은 序를 통해 본 해제서가 1904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최여진의 5대손 㬢秀가 자료를 수집하고, 斗鉉이 讎校하고 1904년 李淳翼의 서문과 1902년(광무 6) 족손 권두현의 발문을 수록하여 1904년(광무 8) 간행하였다. 최여진송시열의 문인으로서 효행으로 널리 알려져 1801년(순조 1) 朝奉大夫戶曹佐郞에 증직되고, 1870년(고종 7) 旌閭를 받았다. 같은 해에 후손들에 의해 정려각이 건립되어 현재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광평리 광평마을에 남아 있다. 실기의 내용도 모두 그의 효행에 관한 자료가 중심이다.
권수에 1904년 희수의 조카 炯夏가 부탁하여 이순익이 지은 서문이 있다. 권1은 먼저 「三松齋先生世德通攷」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崔孝仁, 崔中一, 崔霧隱, 崔起門최여진의 선조들의 행적을 문헌에서 발췌하여 정리한 것이다. 「靈溪書懷」와 그에 대한 朴光一, 林象德, 李縡, 金在魯, 鄭宅河, 吳大經, 徐宗伋 등의 次韻 시가 있다. 부록으로 1690년(숙종 16) 閔鎭長의 「斷指堂敍」, 1734년(영조 10) 李縡의 「三松齋記」, 병오년 李松齋가 지은 「行狀」, 1684년(숙종 10) 時泳이 지은 「家狀」 등이 있다. 다음은 ‘孝悌經學’으로 포상할 것을 요청하는 지방 유림들의 추천장인 「鄕薦狀」, 「道薦狀」, 「長官通狀」, 「本邑追褒狀」, 「九邑追褒狀」, 「五邑追褒狀」 등이 수록되어 있고, 손자 崙齊가 지은 「本孫追褒上書」, 1870년(고종 7) 이조판서 任百秀예조판서 趙性敎의 「旌閭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2는 손자 崙齊의 「靈溪遺墟歲舊」라는 詩와 그에 대한 諸賢들의 차운시 19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어 1870년 최여진을 ‘孝行卓異’로 정려할 것을 요청한 것에 대해 관련 기관이 작성한 공문서를 정리한 「禮曹立案」, 「禮曹關文」, 「觀察使關文」 등이 있다. 권말에는 1902년 족손 최두언의 「跋」이 수록되었다.
특성 및 가치
효자 최여진의 효행과 행적을 이해하는 데 기본 자료이며, 증직과 정려 등 포상을 위한 조선 후기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도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