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삼사재실기(三斯齋實記)

자료명 삼사재실기(三斯齋實記) 저자 송진벽(宋鎭璧)
자료명(이칭) 三斯齋實記 저자(이칭) 宋鎭璧(朝鮮) 編 , 송진벽(조선) 편(宋鎭璧(朝鮮) 編)
청구기호 K2-755 MF번호 MF35-187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32
· 청구기호 K2-755
· 마이크로필름 MF35-187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송진벽(宋鎭璧)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1.0 X 20.5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본집(本集) 2권(卷), 부록(附錄) 1권(卷), 합(合)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8×16.3cm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말기 문신 三斯齋 宋寅植(1818~1900)에 관한 실기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版心題는 모두 ‘三斯齋實記’이다. 표지 우측에는 ‘無憂堂實記合編’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1면은 편제면으로 서명과 ‘尹用求書籤’과 ‘尹用求印’이 인쇄되어 있고, 우측 상단에는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 卷末의 1932년에 지은 跋을 통해 본 도서가 1932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송인식雙淸堂 宋愉四友堂 宋國澤(1597~1659)이 선조이고, 錦谷 宋來熙(1791~1867), 梅山 洪直弼(1776~1852)을 스승으로 섬겼다. 그는 同知敦寧府事를 지냈으며 충청도 공주 일대에서 활동하였다. 그의 증손 鎭瑩, 鎭斗, 鎭璧 등이 자료를 수집하여 1932년 吏曹參判 閔丙承(1866~?)의 서문과 前秘書院丞 金寧漢(1878~1950)의 발문을 받아 간행하였다. 본 도서의 전체 구성은 삼사재 송인식에 관한 『三斯齋實紀』와 그의 아들 無憂堂 宋炳宇에 관한 『無憂堂實紀』로 나뉜다.
권수 裏面에는 ‘三斯齋實紀’라는 尹用求의 書籤이 있고, 1932년 민병승의 「三斯齋實紀序」가 있다. 권1은 詩, 書, 祭文, 婚書, 祝文, 記, 跋, 辨 등 여덟 가지의 문장 종류로 나뉜다. 먼저 시는 「壽祖父生朝」(1892), 「次金友 - 永來 - 壁上韻」, 「次金判書 - 學淳 - 回婚韻」, 「祖考道峯公孝行卓異蒙贈童蒙敎官」, 「有懷」, 「見崔勉菴 - 益鉉 - 疏本」 2수, 「聞洪台 - 時衡 - 疏論時弊」, 「示兒童」 2수, 「示友人」 2수, 「次晦翁韻」, 「迂語」, 「宗少景顔築情舍于龍巖之下同異諸人皆爲之善頌余老矣不能作閒言語僅構近體一律庸伸南村之素心云爾」(1891) 등이 있다. 서는 「與金相國 - 炳國」(1891), 「與金判書 - 景善」(1852), 「答李 - 春秀」(1879), 「答李監役 - 克善」(1878), 「答同敦從弟 - 明植」, 「答參議再從弟 - 綺老」(1876, 1882) 2편, 「答從姪 - 炳華」(1895)와 「附原書」, 「寄冕孫」(1887), 「寄金孫 - 瓚洙」(1890) 등이 있다. 祭文으로는 「祭錦谷先生文」, 「祭沈文」(1845), 「祭仲父月溪堂府君文」(1879), 「祭季父最樂堂府君文」(1870), 「祭子婦金氏文」 등이고, 婚書와 祝文으로는 「回任氏長孫女定書」, 「告晦菴朱夫子文」(1894), 「祈雨文」(1876) 등이 있다. 이어 「捲堂日記」(1861), 「附泮儒捲堂所懷草」, 「八世祖四友堂府君遺集跋」(1890), 「題剛齋答宗晦祠儒生書後」가 있다. 다음의 「宋相近洙與尹天賚 - 弼鉉 - 書辨」은 宋星箕懷德靖節祠에 齋任으로서 자신의 선조 四友堂을 상의 없이 배향하여 논란이 일자 송근수의 편지에 대하여 조목별로 변론한 내용이다.
권2는 부록으로 종질 炳華가 지은 「墓碣」, 1923년 손자 冕在가 지은 「家狀」과 「遺事」, 任坎宰, 族姪 炳濂·炳時·炳瓘, 再從孫 龍在 등의 「挽詞」가 있다.
권3은 무우당 송병우의 실기를 수록하였다. 먼저 裏面에 ‘無憂堂實紀’라는 尹用求의 書籤이 있다. 이어 권1에는 서로 「上親庭」, 「答任動萬 - 震宰」(1879, 1880) 2편이 있다. 다음은 부록으로 外甥姪 任坎宰, 족제 炳濂, 재종질 龍在의 「挽詞」, 손자 鎭璧이 지은 「遺事」, 李重明이 지은 「墓誌」, 族弟 炳瓘이 지은 「墓表」, 李克善이 지은 「無憂堂記」가 있다. 다음은 「金夫人祭文挽詞」가 첨부되어 있는데, 송인식의 부인 김씨에 대한 제문, 만사, 哀辭가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1932년 前秘書院丞 金寧漢과 손자 鎭璧의 발문이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말기 송인식과 그의 아들 송병우의 생애와 행적을 연구하는 데 기본 자료이다. 특히 송인식의 기록인 「捲堂日記」와 「附泮儒捲堂所懷草」는 19세기 성균관의 생활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되며, 「宋相近洙與尹天賚書辨」과 같이 은진송씨 가문 내부의 배향을 둘러싼 분쟁은 당시 향촌사회사를 조명할 수 있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