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백졸재연보(百拙齋年譜)

자료명 백졸재연보(百拙齋年譜) 저자 한필교(韓弼敎)
자료명(이칭) 百拙齋年譜 저자(이칭) 韓弼敎(朝鮮) 編
청구기호 K2-748 MF번호 MF35-187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69(고종 6년)
· 청구기호 K2-748
· 마이크로필름 MF35-187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한필교(韓弼敎)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1.6 X 20.5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0×15.0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중기 문신 百拙齋 韓應寅(1554~1614)의 연보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版心題 모두 ‘百拙齋年譜’이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권수에는 1839년洪奭周가 쓴 序文이, 권말에는 1837년에 후손 韓弼敎가 쓴 跋文이 있다. 한편, 권말의 발문 앞에는 1869년(고종 6)에 이 연보가 간행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체제 및 내용
연보의 발문에 따르면, 예전에 年譜草本이 있었으나 소략한 데다 문헌으로 고증할 길이 없어서 간행하지 못하다가 10세손 필교가 그마저 없어질까 두려워 1837년(헌종 3)에 史乘을 널리 고증하고 보완하여 綱目의 형식으로 완성한 것을 토대로 하여 1869년 간행하였다고 하였다.
범례에 근거하여 편찬의 기본 원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예전에 年譜草本이 있었으나 詳略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世乘에 따라 수정 보완하고 碑狀史乘을 널리 고증하여 바로잡았다. ② 事行과 德業의 事實 및 出處와 議論에서 중요한 것은 철저히 고증한 뒤에 기록하고, 고증할 만한 자료가 없는 경우는 빈칸으로 두었다. ③ 고증된 遺蹟은 출처를 밝혔고, 遺聞이나 瑣錄에 산견되지만 없앨 수 없는 것은 ‘按’ 자를 넣어 구별하였다. ④ 해당 연도 간지 아래에 中國 紀元을 먼저 쓰고 조선 몇 년이라고 傍註하여 史體를 유지하였다. ⑤ 한응인 후손의 덕행도 기록하였다. ⑥ 配位가 한응인 뒤에 죽은 경우도 따로 年條를 세워 기록하였다. ⑦ 전후 전쟁으로 譜牒과 史乘에서 누락된 한응인의 유적이 많지만 확인한 대로 기록하여 두었다.
구성은 먼저 1839년(헌종 5) 判中樞府事 洪弼周(1774~1842)의 서문이 있다. 族譜와 年譜에 의미를 부여하고 서문을 짓게 된 배경을 설명한 내용이다. 다음은 연보의 편찬 체례를 정리한 범례가 있다. 다음은 연보로 한응인1554년(명종 9) 서울에서 출생했다는 기사부터 1869년(고종 6) 2월 연보가 완성되었다는 기사까지 수록되어 있다. 연보 끝에는 간행 경위가 정리된 발문이 있다. 이어 1869년 10세손인 필교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