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백야장선생행장(栢冶張先生行狀)

자료명 백야장선생행장(栢冶張先生行狀) 저자 장진익(張振翼)
자료명(이칭) 栢治張先生行狀 저자(이칭) 張振翼(朝鮮) 編 , 장진익(조선) 편(張振翼(朝鮮) 編)
청구기호 K2-746 MF번호 MF35-187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34](순조 34년)
· 청구기호 K2-746
· 마이크로필름 MF35-187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장진익(張振翼)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2.4 X 21.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6.5×17.3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중기 무신이며 청백리였던 張弼武(1510~1574)의 전기 자료이다.
체제 및 내용
구성은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전반부는 장필무의 행장 등 전기 자료이며, 후반부는 임진왜란 때 추풍령에서 전사한 그의 아들 張智賢(1536~1593)에 관한 자료이다. 장필무의 행장에 추록한 것으로 보아 6대손 張振翼이 편집한 것으로 보이며, 편집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장필무의 시호를 다시 받은 계사년과 행장 추록을 작성한 갑오년, 그리고 그가 6대손인 점 등을 고려하면 대략 1834년(순조 34)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 체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반부에는 먼저 曺植의 문인인 林希茂(1527~1577)가 지은 「栢冶張先生行狀」, 「宣廟朝賜祭文」, 우암 송시열이 지은 「永同花巖書院奉安祭文」, 「春秋享祝文」, 李德英(1659~1721)이 지은 「茂朱竹溪書院奉安祭文」, 「春秋享祝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先生遺文이라고 하여 장필부의 글 두 편 「敬尊龜巖李先生靈几」, 「宰梁山時聞人鵂作」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兪最基(1689~1768)가 지은 「贈資憲大夫兵曹判書兼知義禁府事知訓練院事行嘉善大夫咸鏡北道兵馬節度使張公諡狀」, 「癸巳八月十五日不肖孫振翼更爲上言前諡望襄貞首望備擬」, 「海東後自警學門編目錄」, 갑오년 6대손 진익이 지은 「栢冶先生行狀追錄」 등이 있다. 후반부는 趙涑이 지은 것으로 장지현의 생애를 정리한 「三槐堂張先生行狀」과 「輓詞」를 비롯하여 霽月堂 宋奎濂(1630~1709)이 지은 「永同花巖書院奉安文」 및 「春秋享祝文」, 「三槐堂先生旌閭懸板後記」 등이 있다. 마지막에는 「萬曆壬辰黃澗縣秋風陣日記」가 수록되어 있는데, 현감 鄭善復이 지은 것으로 임진왜란 당시 장지현이 격문을 돌리고 의병을 모아 秋風嶺을 방어했던 상황을 기록한 것이다.
특성 및 가치
장필무장지현의 생애를 구성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장지현이 임진왜란 때 참전한 추풍령 전투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진왜란사를 재구성하는 데도 좋은 자료로 판단된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