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

자료명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 저자 정구(鄭逑)
자료명(이칭) 文獻公實紀 저자(이칭) 鄭述(朝鮮) 編
청구기호 K2-739 MF번호 MF35-122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43(영조 19년)
· 청구기호 K2-739
· 마이크로필름 MF35-122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구(鄭逑)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1.7 X 22.0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8×17.1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一蠹 鄭汝昌(1450~1504)의 언행과 행적을 정리한 전기 자료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과 版心題는 ‘文獻公實記’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全’으로 표기되어 있다. 권수의 편제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으며, 서명과 ‘癸亥(1743)仲秋重刊 灆溪書院藏板’이라는 刊記와 藏板記가 기록되어 있어 간행 시기와 간행처를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1635년(인조 13)에 간행된 초간본이 오랜 세월에 판목이 마모되어 글자를 알아보기 어렵게 되자 濫溪書院의 유생이 李縡의 발문을 받아 1743년(영조 19)에 중간한 것이다. 권수에 전서로 ‘文獻公實紀’라고 쓰고, 좌우에 ‘濫溪書院藏板’ 및 ‘癸亥仲秋重刊’이라는 간기가 있다. 다음에는 목록이 있다. 목록에는 「世系原流」가 있으나 본 도서에서는 결락되어 있다. 다음은 「事實大略」으로 초간본의 「事實」을 실어 놓은 것이고, 「先生詩文」은 초간본의 「先生著述」을 그대로 수록한 것이다. 다음은 「碑狀文字」로 行狀 세 편과 鄭蘊의 神道碑銘 및 6대손 世楨이 기록한 碑銘追記, 林薰의 安陰縣祠堂碑 등이 있고, 戊午士禍에 연루된 사실을 정리한 「士禍首末」이 있다. 이어 「褒贈祀典」은 후대의 추증과 제향에 관한 기사를 시대순으로 정리한 것이며, 「諸賢讚述」은 정구에 의해 간행된 초간본의 「名說」, 「薦學行疏」, 「敍述」, 「遺事」 등을 새로 편집하여 수록한 것이다. 「諸賢詩章」은 초간본의 「詩章」에다 金昌翕의 河東鄭一蠹書院을 추가한 것이다. 「先生遺墨」은 정여창이 어떤 사람에게 보낸 편지로 알려진 것이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마지막으로 1635년 장현광의 발문과 도암 이재의 중간 발문이 있다.
특성 및 가치
정여창의 생애와 행적을 이해하는 데 기본 자료이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