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매설헌선생실기(梅雪軒先生實記)

자료명 매설헌선생실기(梅雪軒先生實記) 저자 조시운(趙始運)
자료명(이칭) 梅雪軒先生實記 저자(이칭) 趙鉉明(朝鮮) 編 , 조현명(趙鉉明)
청구기호 K2-731 MF번호 MF35-123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0(고종 27년)
· 청구기호 K2-731
· 마이크로필름 MF35-123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조시운(趙始運)

형태사항

· 크기(cm) 29.5 X 20.2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5×16.7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계유정난으로 희생된 梅雪軒 趙完珪(?~1454)에 관한 실기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梅雪軒實記’, 版心題는 ‘梅雪軒先生實記’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乾·坤’으로 표기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1890년(고종 27) 11대손 始運이 遺蹟을 편집하고, 후손 三振, 昌振, 鉉奭 등이 간행에 참여하여 柳致明(1777~1861)에게 서문을 받아 간행하였다. 수록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1에는 19세기 안동의 유학자 유치명의 「梅雪軒趙先生實記序」, 傍孫 趙挺圭가 지은 「家狀」, 좌승지 李源祚祭酒 洪直弼이 지은 「行狀」 2건, 참판 李容直宋秉璿이 지은 「事實」 2건, 진사 都碩基가 지은 「事實後」, 朴光錫이 지은 「狀略贊」, 朴基正이 지은 「遺事識」, 柳河源李懿秀가 지은 「狀後識」 2수, 朴光輔가 지은 「狀後敍」, 張錫愚가 지은 「書遺事後」, 방손 趙性敎朴永曾이 지은 「實記後敍」 2건, 李鍾祥張錫龍이 지은 「卷後跋」 2건, 附錄으로 「月溪堂遺事」, 「洗馬公遺事」, 張福樞가 지은 「殉節贊」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2의 「莊陵續誌」는 『莊陵史補』에서 조완규에 관한 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이어 1457년(세조 3) 9월에 작성된 「東鶴寺招魂記」와 정조 대에 조완규의 조부이자 開國功臣인 趙英茂에게 내려진 치제문 「正宗朝致祭忠武公文」을 수록하였다.
권3은 「大邱洛濱書院通仁同東洛文」, 「東洛書院通各邑書院文」, 「善山洛峰書院答東洛文」, 「漆谷泗陽書院答東洛文」, 「英陽英山書院答東洛文」, 「慶州玉山書院答東洛文」, 「順興紹修書院丹溪書院答東洛文」, 「安東屛山書院答東洛文」, 「永川臨皐書院答東洛文」, 「安東三溪書院答東洛文」, 「安東勿溪書院答東洛文」, 「安東虎溪書院答東洛文」, 「義城藏待書院答東洛文」, 「新寧龜川書院答東洛文」, 「義興陽山書院答東洛文」 등 영남의 주요 서원에서 동락서원에 보낸 15개의 통문을 수록하였다. 조완규의 증직을 요청하기 위해 의견을 수렴하는 내용이다. 「儒生上言」, 「禮曹申目」, 「贈職敎旨」, 「再度上言」 등은 조완규의 贈職 및 襃揚을 요청하는 유생들의 상언과 그에 대한 예조의 답변을 정리한 것이다. 이어 후손 조시운이 지은 「請褒記事」가 있고, 다음은 「癸酉論」으로 후손 趙宗儒가 계유정난에 희생된 조완규의 충절을 강조한 내용이다.
권4에는 먼저 「詩章」이 있는데 박광보로부터 嗣孫 趙相晋까지 84명의 인사가 조완규를 기리는 시문을 수록한 것이다. 1890년(고종 27) 후손 趙達振이 지은 「實記刊役序」가 있고, 권말에 「各邑書院儒林名牒附錄」도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김종서의 일파로 몰려 처형된 조완규의 사적과 생애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조선 후기 서원들이 通文을 돌려 의견을 수렴하고 여론을 조성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데도 참고가 된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