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만취당실기(晩翠堂實紀)

자료명 만취당실기(晩翠堂實紀) 저자 권창섭(權昌燮)
자료명(이칭) 晩翠堂實紀 저자(이칭) 권창섭(조선) 편(權昌燮(朝鮮) 編) , 權昌燮(朝鮮) 編
청구기호 K2-729 MF번호 MF35-108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0(고종 27년)
· 청구기호 K2-729
· 마이크로필름 MF35-108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권창섭(權昌燮)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2.1 X 21.5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5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2×16.8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중기 임진왜란에서 명장으로 활약한 晩翠堂 權慄(1537~1599)의 실기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版心題, 書根題는 모두 ‘晩翠堂實紀’이다. 표지 서명의 하단에는 冊次가 ‘乾·坤’으로 표기되어 있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卷末의 1890년(고종 27)에 지은 跋과 刊記를 통해 본 도서가 1890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권수에 홍직필의 서문과 권창섭의 서문이 있다. 초간본에서는 발문이었던 권창섭의 글을 서문으로 한 것이다. 다음은 창섭이 작성한 凡例가 있다. 권1은 世系와 年譜이다. 권2는 詩와 文으로 나뉘는데, 시는 議政公生朝獻壽, 送松雲師 - 惟政 - 往日本, 贈松雲上人 등이 수록되어 있다. 文으로는 梨峙奏捷書, 與朴三谷 - 慶新 - 書, 答趙重峯 - 憲 - 書, 檄召列郡義兵文, 檄湖西逆黨文, 光州擧義時約法十條文, 祭戰亡將卒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豊壤君趙儆碑文을 비롯하여 『日月錄』, 『羹墻錄』, 『朝野輯要』, 『國朝寶鑑』, 『亂中事績』, 『龍城誌』, 『征蠻錄』, 『惜睡餘錄』, 『中興誌』, 『安牛山集』, 『白沙集』 등에서 임진왜란 당시 권율이 세운 공적을 발췌한 壬辰事蹟이다. 권4는 사위인 李恒福이 지은 行狀과 墓誌, 申欽이 지은 神道碑銘, 宋時烈이 지은 碑陰記, 崔岦이 짓고 韓濩가 쓰고 金尙容이 전서를 쓴 幸州大捷碑, 이항복이 짓고 金玄成이 쓴 碑陰記, 趙寅永이 짓고 李裕元이 쓴 大捷碑追記, 宋秉璿이 짓고 金永穆이 쓴 梨峙勝戰碑, 李世龜가 지은 事蹟狀, 洪良浩가 지은 忠莊公傳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5는 대제학 신흠이 지은 賜祭文, 知製敎 趙秉常趙徽林이 제진하여 家廟와 紀功祠에 내려진 致祭文, 祭文, 尹根壽가 지은 哀詞, 朝家褒揚事實, 幸州建院事實, 영의정 趙斗淳이 지은 紀功祠上樑文, 봉조하 金履陽이 지은 紀功祠奉安文, 외후손 홍문관 제학 李若愚가 짓고 傍孫인 응교 權應夔가 쓴 紀功祠記, 附壬亂參佐諸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뒤에는 1889년 8월 朴性陽의 발문과 동년 9월 南左漢의 발문, 1885년(고종 22) 11세손 禹鉉의 발문, 1890년(고종 27) 10세손 在箕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장서각 소장 필사본 『權忠莊公實紀』(K2 - 703)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權元帥實蹟』(奎4254)과 함께 필사본으로서 양자의 수록 내용이 거의 유사하며 자료 정리의 초기 단계를 보여주는 이본으로 보인다. 1885년에 간행된 고려대학교도서관 소장본 『晩翠堂遺蹟』은 초간본이며, 본 도서는 그 초간본의 오류를 정리한 것으로, 만취당 권율의 행적과 임진왜란 당시의 공적을 이해하는 데 가장 신뢰할 만한 자료로 평가된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