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만운유적(晩雲遺蹟)

자료명 만운유적(晩雲遺蹟)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晩雲遺蹟 저자(이칭) 李選(朝鮮) 等撰 , 이선(李選)
청구기호 K2-728 MF번호 MF35-67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세기(世紀)]
· 청구기호 K2-728
· 마이크로필름 MF35-678
· 기록시기 [18世紀]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2.5 X 23.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2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중기 무신인 晩雲 鄭忠信(1575~1636)에 관한 實記이다.
서지사항
서명은 表紙書名에 근거하였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본문은 괘선이 없는 종이에 淨書하였다. 규장각에 소장된 『鄭忠武公實記』(奎473)와 본문 구성이 일치한다. 『錦南事蹟』(奎7682)도 元景夏의 서문 및 諡狀, 世系, 年譜를 엮은 것으로 같은 계통의 자료로 보인다. 정충신의 문집 『晩雲集』은 1732년에 후손 道彦이 遺稿를 수습하였고, 원경하의 서문을 받아 1759년 文興이 간행하였으며, 1894년 奇宇萬의 서문을 받아 16대손 鳳鉉이 重刊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世系, 年譜, 言行, 1684년(숙종 10) 이조참판 李選이 지은 行狀, 같은 해에 金萬基가 지은 諡狀, 월경하가 지은 「鄭將軍忠信傳」 등 정충신에 관한 전기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다음은 정충신이괄의 난과 정묘호란 때 세운 공적으로 공신에 녹훈된 관련 자료와 정묘호란 때 부원수로 임명된 교서가 수록되어 있는데, 1624년(인조 2) 安州牧使로 있을 때 받은 「賞加敎書」, 1625년(인조 3) 錄勳, 1627년(인조 5) 「副元帥鄭開坼」, 1630년(인조 8) 「副元帥敎書」, 1632년(인조 10) 「副元帥錦南君敎書」 등이 그것이다. 다음은 祭文이 있고, 이어 崔鳴吉, 李曙, 具宏, 張維, 李時白, 李顯英, 金大德, 兪省曾, 鄭弘溟, 鄭廣成, 鄭太和, 權垈 등이 정충신을 위해 지은 「挽詞」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여러 문헌에서 정충신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발췌하였는데, 同春堂 宋浚吉이 지은 李時白의 시장인 「延陽諡狀一段」, 白沙 李恒福張晩에게 보낸 편지인 「與張巡察」, 金時讓의 「破寂錄」, 張維의 「謾筆」, 李重老의 비문인 「靑興君碑文」 등이 그것이다. 다음은 이괄의 난 때 세운 공적을 정리한 「甲子記事」, 정묘호란 때 세운 공적을 정리한 「丁卯記事」 등이 있다. 다음은 시인들이 정충신을 위해 지은 詩로 月沙 李廷龜의 「書蟾江圖」, 白洲 李明漢의 「鄭節度忠信擊賊歌」, 天坡 吳䎘의 「新安館得鄭可行詩戒行甚勤次韻以謝」·「寄鄭副元帥可行」·「遙寄平安鄭節度」·「次畸翁韻別鄭元帥南還」, 이명한의 「病中口號奉別錦南君鄭可行出鎭晋陽」, 玄洲 趙纘韓의 「稿奉錦南柱國慶尙右閫之行」, 기옹 정홍명의 「送錦南鄭元帥放歸鄕里」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에는 「記聞」이 있다.
특성 및 가치
이괄의 난과 정묘호란에 공적이 있는 무신 정충신의 생애를 연구하는 데 기본 자료이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