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희현록(希賢錄)

자료명 희현록(希賢錄) 저자 안정복(安鼎福)
자료명(이칭) 希賢錄 저자(이칭) 안정복(조선) 집(安鼎福(朝鮮) 輯) , 安鼎福(朝鮮) 輯
청구기호 K2-652 MF번호 MF35-186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外國人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55(영조 31년)
· 청구기호 K2-652
· 마이크로필름 MF35-186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안정복(安鼎福)

형태사항

· 크기(cm) 30.2 X 18.3
· 판본 수고본(手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1책(冊)
· 인장 安鼎福印,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55년(영조 31) 겨울에 順菴 安鼎福이 중국사에서 伊尹, 伯夷, 柳下惠, 諸葛孔明, 陶淵明, 顔淵, 周敦頥, 鄭顥 등 주요 인물을 선정한 후 사적을 발췌하여 적은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書根題는 ‘希賢錄’이다. 표지는 白色으로 卍字文이다. 표지 제첨의 테두리는 목판으로 인쇄되었고, 서명은 필사되었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全’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우측 하단에는 ‘安鼎福印’이 날인되어 있다. 본문은 괘선이 없는 종이에 필사하였는데, 청색과 주색의 비점을 찍거나 밑줄을 그은 부분이 있다. 또한 청색이나 흑색으로 頭註를 필사하고, 종이를 도할하여 수정하기도 하였다.
체제 및 내용
서명의 ‘希賢’은 賢人을 仰慕하여 본받기를 바란다는 의미로 현인의 언행을 정리함으로써 현인에 체화되기를 바라는 목적으로 편찬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구성 체제를 살펴보면 상권은 ‘三聖傳’으로 伊尹, 伯夷, 柳下惠에 대한 사적을 수록하였고, 중권은 ‘兩賢傳’으로 諸葛武侯, 陶淵明의 사적을 수록하였으며, 하권은 ‘希顔錄’으로 顔淵, 周敦頥, 鄭顥의 사적을 수록하였다. 본 도서는 自筆 稿本으로 서문이나 발문 등이 없어 편찬 과정을 알 수는 없지만, 본문의 여러 곳에 貫珠나 評點의 흔적이 있고, 누락된 글자에 대해 補錄하였다. 또한 口訣이 있어 책을 읽기에 편리하고 추가 설명은 書眉에 세필로 기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수록된 인물이 대부분 유학과 성리학에서 중요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조선 후기 조선 성리학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안정복의 手稿本이라는 점에서 문헌사적으로 가치가 높다. 또한,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 중시하였던 중국의 학문 경향 및 저자의 학문관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사료이다.

집필자

김경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