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영희전증건상량문(永禧殿增建上樑文)

자료명 영희전증건상량문(永禧殿增建上樑文) 저자 김병학(金炳學)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2-5205 MF번호 MF35-408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58(철종 9년)
· 청구기호 K2-5205
· 마이크로필름 MF35-408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김병학(金炳學) 제술(製述)

형태사항

· 크기(cm) 76.0 X 696.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권축장(卷軸裝)
· 수량 1축(軸)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58년(철종 9)에 역대 왕들의 영정을 모신 永禧殿을 增建하면서 金炳學이 찬술한 영희전 증건 상량문이다.
서지사항
 帛書 형태이고 서명은 ‘永禧殿增建上樑文’이다. 본문 내용은 짙은 갈색 비단에 64행으로 대두법과 격자법을 적용하여 묵서하였다.
체제 및 내용
 1858년(철종 9) 南殿인 영희전을 6室로 增建하고 純祖의 御眞을 봉안할 때 金炳學(1821~1879)이 찬술한 상량문이다. 이에 대한 기록과 상량문은 규장각에서 소장한 『남전증건도감의궤』(奎14354)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영희전은 조선 후기에 태조 이하 역대 왕들의 초상화인 어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전각이다. 영희전은 원래 懿淑公主의 저택이었다가 端敬王后의 거처로도 사용하였다. 1610년(광해 2) 이 부지에 奉慈殿을 건립하여 광해군의 생모 恭嬪 金氏를 봉안한 후부터 국왕의 생모를 모시는 사당으로 변모하였다. 1632년(인조 10)인조가 생부인 元宗의 영정을 봉안하였고 추후에 세조의 영정을 추가로 봉안하였다. 태조세조, 원종의 영정을 봉안함으로 眞殿으로 성격을 갖추게 된 것이다. 1688년(숙종 14)태조 영정을 봉안함으로써 국가적 제례 시설이 되었고, 1690년(숙종 16)영희전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1748년(영조 24)영조숙종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중건하였고, 1858년(철종 9) 철종순조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다시 한 번 증건하였다. 이로써 6실의 봉안실을 가진 진전으로 규모가 확대되었다. 본 상량문은 이 시기에 작성한 것이다.
 영희전을 증건하는 역사는 도감에서 7월 3일에 시작할 것을 건의하여 이날부터 작업이 시작되었다. 6월 27일에 도감의 낭청이 김병학을 제술관으로 추천하였고, 서사관에는 오취선을 추천한 별단을 올렸다. 『남전증건도감의궤』에는 김병학의 관직명이 崇政大夫行吏曹判書이고 오취선의 관직명은 資憲大夫刑曹判書로 기록되어 있다. 상량식은 8월 23일에 거행하였다.
 상량문의 찬자인 김병학은 본관이 安東이고, 자는 景敎, 호는 潁樵, 시호는 文獻이다. 부친은 이조판서 金洙根이며, 모친은 趙鎭宅의 딸이다. 김병학철종의 장인인 永恩府院君 金汶根의 조카이기도 하다. 백부 金浚根에게 입양되었다. 1853년(철종 4) 현감으로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였고, 장령사간이 되었다. 이어서 안동김씨의 세도를 배경으로 대사헌, 판서 등을 역임한다. 실록총재관으로 『철종실록』을 편찬하였고, 趙斗淳, 李裕元 등과 함께 찬집소총재관으로 『대전회통』을 완성하였다. 김병학은 척화론자로서 1866년 병인박해 때 천주교의 탄압에 적극적인 인물이었다.
 상량문의 내용은 남별전에 모신 다섯 성인의 어진을 받들어 선대왕의 창업과 덕용을 이어받음을 설파하고, 중간에 순조의 위용을 칭송하면서 진전에 모심을 언급하였다. 영희전의 규모가 좁아 이를 증건하니, 중국 한나라송나라의 제도와 부합하여 훌륭한 건물로서 길이 전해지길 바란다면서 마지막에 六偉頌을 읊었다.
특성 및 가치
 『영희전증건상량문』은 붉은 비단에 글씨를 적어놓았다. 2001년에 발견된 경복궁의 ‘근정전 상량문’(국립고궁박물관 소장)과 같은 재질과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상량문은 연도가 없다는 특이점이 있으나 『남전증건도감의궤』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연도와 찬자, 서자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이 상량문은 영희전과 관련한 실물 자료라는 점에서 궁궐사와 서예사, 문학사를 연구하는 데 의미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남전증건도감의궤』(奎14354)
장필거, 「복원 연구를 통한 永禧殿의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집필자

박경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