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등단록(登壇錄)

자료명 등단록(登壇錄) 저자 병조(兵曹) 편(編)
자료명(이칭) 登壇錄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20 MF번호 MF35-644~64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官·軍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3(광무 7년)
· 청구기호 K2-520
· 마이크로필름 MF35-644~645
· 기록시기 1903年(光武 7)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병조(兵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8.9 X 18.9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본록(本錄) 5책(冊), 목록(目錄) 1책(冊), 선생안(先生案) 1책(冊), 합(合) 6권(卷) 7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3×13.7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인조 대에서 고종 대까지 중앙 군영 대장을 역임하였던 인물들의 명단을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上下向二葉花紋魚尾가 있는 두꺼운 壯紙의 목판 인찰공책지에 필사한 책이다. 주색 비단으로 테두리를 두른 흰 비단에 표지 서명과 책차를 필사한 題籤이 있으며 冊衣는 황색 草紋 비단을 사용하였다. 공격지가 있으며 적색 비단의 包角 흔적이 있다. 이러한 粧䌙 상태를 볼 때, 진상용으로 추정된다. 제7책 「登壇錄先生案」은 내용 특성상 上下向二葉花紋魚尾를 그린 필사 인찰공책지를 사용하였다. 모두 7책으로 1~5책에는 조선 후기 중앙 군영 대장의 명단이 군영별로 실려 있고, 제6책은 목록이며, 제7책은 전체 군영 대장들의 인적 사항을 다시 정리한 先生案이다. 현재의 제6책이 제1책이 되어야 하며, 1∼5책은 2∼6책으로 다시 조정되어야 한다.
체제 및 내용
등단록의 작성 연대는 명기되어 있지 않으나, 내용 중 閔應植(1844∼1903)의 시호가 忠文公이라 적혀 있으므로 그에게 시호가 내려진 1903년(광무 7) 10월 17일 이후에 기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 군영 대장의 명단은 제수된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고, 낙점자뿐 아니라 의망자 명단이 모두 실려 있으며, 당시 三相의 이름도 함께 적혀 있다. 김자점, 윤취상, 목래선, 민암, 박찬신, 홍국영, 구선복, 김상로, 윤태연 등 역옥 관련자의 이름은 성에 ‘○’ 표기를 하여 구별하였다.
내용을 책별로 정리하면, 제1책에는 武衛都統使, 訓鍊大將, 禁衛大將의 명단이 실려 있다. 무위도통사1874년(고종 11) 7월 4일에 임명된 趙寧夏(1845∼1884)에서 1881년(고종 18) 9월 6일에 제수된 閔台鎬(1834∼1884)까지 수록되어 있다.
훈련대장1593년(선조 26)에 임명된 趙儆(1541∼1609)에서 1881년 6월 24일의 申正熙(1833∼1895)까지의 명단이 있고, 이어서 1881년 12월 26일에 각 영 군제변통 절목을 계하하였으므로 將臣들을 모두 減下한다는 내용의 전교가 있다. 금위대장어영대장의 명단 뒤에도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그러나 다시 뒷장에 1882년(고종 19) 6월 10일에 李載冕(1845∼1912)이 훈련대장에 임명된 사실이 기재되어 있어 임오군란 이후 군제 복구 기간의 내용도 모두 기록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금위대장1754년(영조 30) 10월 22일의 具善行에서 1881년 11월 18일의 이재면까지 기재되어 있고, 이어서 1882년 6월 10일의 趙善純과 9월 21일의 具完植(1825~1891)의 임명 사실이 추록되어 있다.
제2책은 御營大將, 壯勇大將, 總衛大將의 명단으로, 어영대장1624년(인조 2)에 임명된 御營使 李貴(1557∼1633)와 1625년李曙(1580∼1637)에서 1881년 8월 16일의 민태호까지, 장용대장1793년(정조 17) 1월 13일의 金時默(1722∼1772)에서 1800년(순조 즉위) 8월 2일의 朴準源(1739∼1807)까지 실려 있다. 총위대장1846년(헌종 12) 8월 18일의 李惟秀에서 1849년(헌종 15) 5월 17일의 徐相五까지 적혀 있고, 1849년(철종 즉위) 6월 27일에 총위영 군제는 총융청의 예에 따라 시행하라는 대왕대비의 전교가 함께 전재되어 있다.
제3책은 수어사총융사의 명단으로, 수어사1624년(인조 2)李曙에서 1855년(철종 6) 2월 12일의 沈頣之까지, 총융사1624년이서에서 1881년 8월 18일의 閔謙鎬(1838~1882)까지 실려 있다.
제4~5책에는 武衛大將, 壯禦大將, 左營監督, 右營監督, 前營監督, 後營監督, 前營使, 左營使, 右營使, 後營使, 別營使, 扈衛大將, 扈衛副將, 統衛使, 壯衛使, 摠禦使, 經理使, 摠制使(이상 제4책), 統制使, 鎭撫使, 海防摠管, 海防使(이상 제5책) 등 고종 대에 신설되거나 개편된 여러 군영의 내력과 대장의 명단이 실려 있다.
제6책에는 각 책의 전체 목차가 적혀 있다. 제7책에는 선조조경에서 고종閔泳駿(1852~?)까지 군영 대장을 지낸 인물들의 명단이 실려 있다. 개인별로 본관, 字, 생년, 등과 연도, 몰년, 수명, 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 외조, 장인, 처가 중 유명 인사, 자손 중 유명인, 주요 관력, 공신 호 및 시호, 최고 관직, 참전하여 승리한 주요 전투 및 중요 업적 등이 기재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중앙 군영 대장의 명단과 이력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고종 대 군제 변화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집필자

강석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