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한국고활자견본첩(韓國古活字見本帖)

자료명 한국고활자견본첩(韓國古活字見本帖)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韓國古活字見本帖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135 MF번호 MF35-669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目錄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73
· 청구기호 K2-5135
· 마이크로필름 MF35-669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1.5 X 21.3
· 판본 영인판(影印版)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0×15.1㎝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73년文化財管理局藏書閣事務所에서 한국 고활자의 見本을 나열하여 영인한 책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지서명은 ‘韓國古活字見本帖’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표지의 우측 상단에 표지서명이 종이에 기재되어 붙어 있다. 각 장에 圖版 1장과 그 위에 직접 기재한 듯한 활자 명칭과 활자가 만들어진 시기에 대한 기록이 함께 影印되어 있다. 본문에 앞서 見本 目錄이 인쇄되어 있다. 卷末의 板權紙를 통해 1973년 12월 1일에 文化財管理局藏書閣事務所에서 발행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韓國古活字見本目錄」과 圖板으로 된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은 크게 ‘鑄字版’, ‘木活字版’, ‘實錄木活字版’의 세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이 가운데 ‘주자판’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癸未字版부터 全史者版까지 27종이 실려 있다. 목차의 각 항목에 활자명과 함께 주조 연대와 활자 재료로 구성된 설명, 도판이 실려 있는 쪽수를 수록하였다. 예를 들어 ‘계미자판’ 항목에는 ‘太宗 3(1403) 癸未年에 鑄造한 銅活字版 […] 1~2’와 같이 나타냈다. 특이한 것은 顯宗實錄字版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 외에 ‘목활자판’에 印經木活字版과 訓鍊都監字版 등 7종, ‘실록목활자판’에 宣祖實錄字版부터 學部木活字版까지 10종이 실려 있다. 그러나 실제로 ‘실록목활자판’ 중 선조실록자판, 仁祖實錄字版, 孝宗實錄字版을 제외한 7종은 실록 인쇄에 이용되지 않았으므로 잘못 분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각 활자명의 도판 위에 활자명과 만든 시기, 해당 도판의 서적명을 기재하였다. 대개 각 활자마다 1~2종 정도의 도판을 실었는데, 乙酉字版은 5종의 도판을 수록하였다.
 주요 도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자판’은 계미자판 『十七史纂古今通要』와 『宋朝表牋總類』, 庚子字版 『楚辭後語』, 初鑄甲寅字版 『朱文公校昌黎先生集』, 再鑄甲寅字版 『高麗史節要』, 戊午字版 『詩傳大全』, 丁酉字版 『孟子集註大全』, 庚午字版 『詳說古文眞寶大全』, 乙亥字版 『懷麓堂詩藁』, 乙酉字版 『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 甲辰字版 『五朝名臣言行錄』, 癸丑字版 『資治通鑑綱目發明』, 丙子字版 『文苑英華』, 庚辰字版 『孟子諺解』, 後期芸閣印書體字版 『十淸先生集』, 全史者版 『韋菴先生詩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다음으로 ‘목활자판’은 인경목활자판 『天地冥陽水陸雜文』, 倣乙亥字訓鍊都監字版 『東國兵鑑』, 倣庚午字訓鍊都監字版 『小學集註』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실록목활자판’은 宣祖實錄字版 『宣祖實錄』, 芸閣筆書體字版 『孔聖家語』, 生生字版 『生生字譜』, 箕營木活字版 『五山集』, 學部木活字版 『小學讀本』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분류가 잘못된 부분이 있지만, 활자의 견본을 시대순에 따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서지학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고활자 감식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집필자

권석창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