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봉모당봉안어서총목(奉謨堂奉安御書總目)

자료명 봉모당봉안어서총목(奉謨堂奉安御書總目)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奉謨堂奉安御書總目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131 MF번호 MF35-669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目錄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5(정조 9년)
· 청구기호 K2-5131
· 마이크로필름 MF35-6693
· 기록시기 1785年(正祖 9) 以前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5.5 X 17.4
· 판본 복사본(複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18.6×14.0㎝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정조 연간 봉모당에 보관된 영조 어제를 비롯하여 조선 국왕들의 御製, 御畫, 御書 등을 목록화한 자료이다.
서지사항
 총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지서명은 ‘奉謨堂奉安御書總目’이고, 하단에 책차가 ‘一·二·三’으로 기재되어 있다. 표지는 민무늬의 옅은 황색이고, 황색 실을 사용하여 5침안의 선장으로 장정하였다. 複寫本으로 본문은 四周雙邊, 有界, 11行字數不定이고, 종이는 洋紙이다. 인장은 각 책마다 복사한 원표지의 裏面 상단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정조1776년에 즉위하면서 규장각을 설치하고 중심 건물인 창덕궁 주합루에 자신의 어제, 어필, 보책, 인장 등을 봉안하게 하였다. 그리고 본래 주합루에 봉안된 역대 선왕들의 유품, 어제, 어필, 선보, 세보, 보감 등을 주합루의 남서부에 있는 閱武亭으로 옮기고 이곳을 봉모당이라 하였다.
 본서는 총 3권으로, 제1권은 譜牒, 誌狀, 寶鑑, 遺敎, 大寶, 御製, 제2권은 어제, 제3권은 어제, 賡進帖, 御筆, 御筆刻版, 御畫, 御押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제1권의 어첩은 『선원보략』이 유일하고, 어제는 열성어제, 영조어제속편 등이 있으며, 英祖御製刊本에는 1744년 『歷代君鑑』 小識 이하 상훈, 훈서, 抑箴, 조훈, 『자성편언해』를 비롯하여 1776년 『通孔訓勉今世』와 『兩朝冊封入學日記抄錄』까지 열거되었다. 이어 英祖御製帖本은 1741년 『酌獻日感慨以作』부터 1763년 『夢中作』과 『七旬興懷錄』까지 소개되었다. 이어 제술 시기가 분명하지 않은 영조의 어제를 나열하였다.
 제2권은 영조어제첩본을 중심으로 나열하였는데, 제술 시기가 밝혀진 것은 1774년 嗜臥를 비롯하여 80세 이후에 지은 저술이 다수를 차지한다. 특히 萬寧殿有御容 부분에는 圖廓 위에 “癸酉潤六月 內入”이라 추기하였다.
 제3권은 영조어제첩본 중에 集慶堂中自醒翁問答, 爲善堂八景, 問靈臺 등 궁중의 건축을 중심으로 한 것도 보인다. 다음 갱진첩에는 영조어제갱진첩이 중심을 이루며, 어필은 먼저 成廟仁廟宣廟三聖御筆帖 아래에 “當宁御筆跋”이라 기록하였다. 여기서 ‘當宁’는 정조로 추정된다. 선묘어필 외에 영조어필첩본이 대부분으로 그중 1772년 四皓閣帖과 致義閣帖, 敦寧府帖, 都尉府帖에 해당하는 도곽 위에 “癸酉潤六月 內入”이라 추기하였다. 여기서 ‘계유년’은 1873년(고종 10)이며 그해 윤6월에 궐내로 내입한 기록임을 알 수 있다.
 이후 영조어필 簇本에는 誕降舊基碑, 癸巳年駐蹕處, 親蠶碑 등이 나열되었고, 御筆木石刻版에는 목각 77판과 석각 25판으로 그 수량만 표시하였다. 1785년(정조 9)정조가 열조의 어필비명 20본, 석각 41본, 목각 211본, 목판 925편과 문종, 성종, 원종, 선조의 어필 목판 725편을 모아 봉모당에 봉안하게 하였다는 기사를 통해 이 목록이 1785년 이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御畫는 영조어화첩본으로 顧外民巖圖帖과 御畫帖, 영조어화족본으로 頒蠶圖簇, 萬年長壽圖簇이 소개되었다. 마지막 어압에 列聖御押帖, 孝章世子署押花押帖, 王世子王世孫署押花押帖이 나열되었다.
특성 및 가치
 정조 연간에 영조 어제 관련 자료를 총망라한 자료로, 이왕직에서 봉모당에 소장된 영조어제를 범례에 따라 분류한 『奉謨堂 英祖御製帖目錄』(K2-4969)과 함께 참조할 수 있다.

참고문헌

奉謨堂 英祖御製帖目錄』(K2-4969)
正祖實錄
봉모당도서목록』 해제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2.
윤진영, 「봉모당 소장 逸失 繪畵의 현황과 행방」, 『장서각』 29,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KCI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