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종묘지초고(宗廟誌初稿)

자료명 종묘지초고(宗廟誌初稿) 저자 암본의신(岩本義臣)
자료명(이칭) 宗廟誌初稿 저자(이칭) [編者未詳]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5122 MF번호 MF35-669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古蹟/陵·園·墓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43
· 청구기호 K2-5122
· 마이크로필름 MF35-669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암본의신(岩本義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6.9 X 19.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8×15.9㎝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43년岩本義臣종묘의 역사와 제도, 의식 등에 대해 고찰한 내용을 필사본으로 작성한 『宗廟誌』의 초고본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宗廟誌初稿’이고 표지에 직접 묵서하였다. 표지는 옅은 황색이고, 백색 실을 사용하여 4침안의 선장으로 장정하였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雙邊, 有界, 上內向黑魚尾, 13行字數不定이고, 판심 하단에 ‘李王職’이 인쇄된 전용 괘지에 필사하였다. 본문 상단 書眉에 필요한 내용을 附記하였다. 첨지에 필요한 내용을 첨부하기도 하였다. 책수는 1冊 361張이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宗廟誌』의 ‘初稿’에 해당하는 기록물이다. 제목과 항목 구성으로 봤을 때 『宗廟誌』를 만들기 위한 예비 작업의 원고임을 알 수 있지만, 완성된 『宗廟誌』의 실체는 확인되지 않는다. 목차의 끝에 ‘昭和十八年(1943)四月一日 岩本義臣’이라 하여 작성 시기와 작성자를 알 수 있다.
 필사본으로 작성된 이 원고는 초고본인 만큼 목차에 기입된 차례와 내용의 차례가 맞지 않은데, 수정 사안을 표시하여 순서를 바로잡은 흔적도 확인할 수 있다. 총 4권의 목차가 11면에 걸쳐 작성되었는데, 마지막 목차가 361쪽에 달하는 두꺼운 원고이다.
 종묘의 기록이 이렇게 많은 양에 이르는 것은 그 내용이 역사와 제도, 의식 절차 등 종묘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망라하였기 때문이다. 이왕직에서 30여년의 일제강점기 동안 얻은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종묘의 관리와 운영에 활용하기 위해 본서를 편찬한 것으로 보인다. 각 항목의 끝에는 내용의 작성에 참고한 문헌을 명시해두기도 하였는데, 『양촌집』·『문헌비고』·『실록』·『춘관통고』·『육전조례』 등이다.
 제1권에서는 종묘의 개론적 내용인 位置, 廟制, 廟內制度, 地勢總叙, 始定漢陽遷都, 遷都時地理論議, 地勢論, 參考記事, 營建, 營建前沿革, 初營松京宗廟, 次營鷄龍山宗廟, 遷宗廟議, 重建沿革, 增建沿革, 永寧殿, 廟制, 營建, 增建沿革을 서술하였다.
 제2권에는 종묘의 위판·신주 의식과 관련된 내용인 神主式, 位版式, 造主儀, 題練主儀, 題位版儀, 附文昭殿沿革 位版祔文昭殿儀, 櫝制, 神主位版區別, 神主沿革, 宗廟神主題式 現今 奉安順序, 永寧殿神主題式 現今 奉安順序, 神主題式古今參考, 改題主改造主, 奉安, 埋主, 宗廟列聖朝略歷, 永寧殿列聖朝略歷을 서술하였다.
 제3권은 묘호·시호·존호와 관련된 제반 규식과 부묘·책보·옥죽책·국조보감찬상 의례로 구성되어 있다. 宗廟各室廟號 諡號 尊號 王后徽號 尊號 諡號, 永寧殿各室廟號 諡號 尊號 王后徽號 尊號 諡號, 諡號字數論議, 廟號法, 諡法, 諡號義意, 祔廟 附論議, 世室, 世室意義, 祧遷 附論議, 復位, 追崇 附論議, 宗廟各室冊寶錄 寶在東 冊在西, 永寧殿各室冊寶錄 寶在東 冊在西, 冊寶故實, 冊寶追補, 冊寶埋安, 冊寶改書, 神欌 左欌奉安金玉寶 右欌奉安玉竹冊, 國朝寶鑑纂上을 서술하였다.
 제4권에는 의례에 필요한 안내서, 예컨대 『국조오례의』「서례」에 해당하는 변사·시일 외, 제사에 쓰이는 음식·제기 등에 관한 내용과 의주, 묘현의, 묘호·시호·존호와 관련된 제반 규식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辨祀, 時日, 祝版 永寧殿同, 各室祝文式, 祝式論議, 齋官, 祭服 附沿革, 誓戒, 齋戒 附義意, 肄儀, 親押, 傳香祝儀, 親傳香, 省器省牲, 樂章 永寧殿同, 晨祼禮 附義意, 禮幣, 附沿革, 饌實尊罍, 祭物, 祭物略論, 犧牲變通, 祭器, 祭器略說, 飮福 附沿革, 撤籩豆, 望寮, 燎瘞義意, 燔肉封進, 享禮, 親祭, 薦新, 移還安, 告祭, 獻爵, 展謁, 儀章, 變禮, 盗變, 飭諭, 七祀 附沿革, 奉審, 廟見, 修改, 廟庭配享, 宗廟配享功臣, 永寧殿配享功臣神主出給本孫, 配享功臣義意, 樹木, 職制, 雜例, 그리고 종묘영녕전제향의주 21건이 나열되어 있다. 의주의 내용 없이 “『춘관통고』 제8권을 보라.”라는 문구와 함께 의주명만 기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왕비종묘영녕전묘현의」, 「왕세자빈종묘영녕전묘현의」가 의식 절차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종묘에 관하여 다양한 종류의 기록물이 남아 있다. 종묘 행사의 준비 과정, 동원된 인원, 그 밖에 종묘영녕전 등을 관리하면서 생긴 일, 업무 상황의 보고 등을 수록한 『종묘등록』(K2-2172, 2173, 2174, 2212), 『종묘일기』(K2-2204, 2205, 2206, 4820), 『종묘일지』(K2-2207, 2208, 2209), 『종묘숙직일지』(K2-4817, 4818) 등이 있지만, 이와 달리 본 자료는 문체적 특성상 역사적인 사실, 특히 역사서에서 禮樂·地理·兵刑 등을 기록할 때 주로 사용하는 ‘誌’에 해당한다. 이에 본서는 ‘誌’라는 문체로 작성된 종묘의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인 1943년이왕직 관원들이 『양촌집』·『문헌비고』·『실록』·『춘관통고』·『육전조례』 등을 참고하여 작성한 『종묘지』의 편찬 과정을 초고 단계에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宗廟謄錄』(K2-2172, 2173, 2174, 2212)
宗廟宿直日誌』(K2-4817, 4818)
宗廟日記』(K2-2204, 2205, 2206, 4820)
宗廟日誌』(K2-2207, 2208, 2209)

집필자

박수정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