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제주읍지(濟州邑誌)

자료명 제주읍지(濟州邑誌)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濟州邑誌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117 MF번호 MF35-669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1](정조 5년)
· 청구기호 K2-5117
· 마이크로필름 MF35-6690
· 기록시기 [1781~1789年(正祖 5~1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5.4 X 16.5
· 판본 복사본(複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17.4×11.4㎝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전라도 제주목·대정현·정의현의 읍지를 한데 묶은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邑誌’이고 표지 좌측 상단에 직접 묵서하였다. 우측 상단에 ‘耽羅’를 기재하였다. 표지는 민무늬의 옅은 다홍색이고 同色의 실을 사용하여 5침안의 線裝으로 장정하였다. 원본을 복사하여 제책한 複寫本이다. 뒤표지가 복사된 내지의 중앙 상단에 인장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본문 첫장에 耽羅의 全圖가 삽입되어 있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單邊, 有界, 無魚尾, 10行20字이고 洋紙를 사용하였다.
체제 및 내용
 표제는 ‘耽羅邑誌’이다. 책머리에 제주 삼읍을 묘사한 지도가 첨부되어 있고, 『濟州邑誌』, 『大靜縣誌』, 『㫌義縣誌』가 차례로 수록되어 있다. 『濟州邑誌』의 내용은 疆界, 坊里, 道路, 建置沿革, 郡名, 形勝, 城池, 官職, 山川, 姓氏, 風俗, 壇廟, 公廨, 堤堰, 倉庫, 物産, 橋梁, 驛院, 牧場, 關阨處, 烽燧, 烟臺, 樓亭, 寺刹, 古跡, 鎭堡, 人物, 旱田, 水田, 方物, 進貢, 撥站, 水軍, 戰船, 糶糴, 田稅, 大同, 均稅, 俸廩, 軍兵, 冊版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찬 시기는 1778년(정조 2)목사전라도수군방어사를 겸하게 된 기록, 『호구총수』에 기록된 1789년의 6,700호보다 적은 6,691호로 기록된 점, 1778년부터 1781년 사이에 제주목사를 지낸 金永綬(1716~1786)에 대한 언급 등으로 보아 1781년부터 1789년 사이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방리’에는 中面, 左面, 新右面, 舊右面의 4개 면과 각 면 소속 79개 리의 명칭, 호구수, 남녀 인구수가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도로’에는 관문에서 정의현대정현 경계에 이르는 연해 대로, 중산 중로, 산록 소로가 기록되어 있다.
 ‘산천’에는 한라산을 비롯하여 岳으로 표기된 많은 오름, 泉·池·川·섬·浦 등의 위치와 거리를 싣고 있다. ‘풍속’에는 ‘사투리를 알아듣기 어렵다’, ‘오래 사는 사람이 많다’, ‘여자가 많고 남자는 적다’ 등이 소개되어 있다. ‘물산’에는 메벼·기장·콩·보리 등 곡물, 말·소·돼지 등 동물, 다양한 종류의 해산물과 귤·약재 등이 기록되어 있고, ‘목장’에는 일소장~육소장, 흑우, 산마장, 우도장의 폭원, 유수처, 말의 두수 등이 상세히 표기되어 있다. 특히 제주 해안에 위치한 통신 수단이던 ‘연대’에는 응대관계와 별장, 직군의 수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방물, 진공, 조적, 전세, 대동, 균세, 봉름 항목에는 육지와 다르게 적용된 제주의 부담과 조처들이 추가되어 있다. 한편 제언, 역원, 관애처, 사찰, 발참, 수군, 전선은 없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大靜縣誌』와 『㫌義縣誌』에는 『濟州邑誌』에 수록된 방물, 발참, 수군, 전선을 제외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 읍지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의 필사본 『濟州邑誌』(奎10796)와 수록 내용이 거의 유사한데, 이를 고려하면 18세기 말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輿地圖書』의 체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그중 결본으로 되어 있는 제주 3읍의 읍지를 추정할 수 있는 사료로 판단되며, 당시 제주 지역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濟州大靜㫌義邑誌』(奎17436)
濟州邑誌』(奎10796)
국사편찬위원회 편, 『輿地圖書』, 탐구당, 197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양보경, 『朝鮮時代 邑誌의 性格과 地理的 認識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집필자

류명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