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문효세자]왕세자책봉죽책문([文孝世子]王世子冊封竹冊文)

자료명 [문효세자]왕세자책봉죽책문([文孝世子]王世子冊封竹冊文) 저자 오재순(吳載純)
자료명(이칭) 王世子冊封竹冊文 , 왕세자책봉죽책문(王世子冊封竹冊文) 저자(이칭) [編者未詳]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5113 MF번호 MF35-669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金石類/冊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4](정조 8년)
· 청구기호 K2-5113
· 마이크로필름 MF35-669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오재순(吳載純) 제술(製述)

형태사항

· 크기(cm) 33.7 X 23.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첩장(帖裝)
· 수량 1첩(帖)
· 인장 王世子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84년(정조 8) 정조의 맏아들인 文孝世子(1782~1786)를 책봉하는 竹冊文을 필사한 첩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王世子冊封竹冊文’이고 주색의 四周單邊인 백색 비단 제첨에 묵서하였다. 표제 하단에 小字로 ‘甲辰’이라 기재하였다. 표지는 녹색 비단이고 折疊하는 형태로 제작한 帖本이다. 拓印本으로 책수는 8折 4張이고 자수는 6行12字이다. 종이는 楮紙이다. 7면에 冊寶印 ‘王世子印’을 날인한 楮紙를 붙여놓았다. 撰者書寫面인 8면에 ‘竹冊文製述官大提學 臣吳載純’, ‘竹冊文書寫官奉朝賀 臣徐命膺’, ‘玉印篆文書寫官議政府左議政 臣金熤’이라는 기록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죽책문의 내용을 필사한 것이다. 표제에 ‘王世子冊封竹冊文’이라 적혀 있고, 본문은 책문을 拓本한 것이 아니라 내용을 필사한 것으로 되어 있다.
 문효세자정조의 장자이며,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첫아들이기도 하다. 이름은 이고, 시호는 文孝이며 제23대 순조의 이복형이다. 아들이 없던 정조는 아들의 탄생을 소원하였고, 즉위한 지 6년 만에 아들이 태어나자 바로 元子로 봉하고 이어서 세 살 때 왕세자로 책봉하였다. 그러나 문효세자1786년(정조 10) 6월 5세의 나이에 홍역으로 창경궁 慈慶殿 동쪽 행각에서 갑자기 사망하였다.
 본문에 죽책문의 내용과 玉印이 찍혀 있다. 마지막에 참여 인원의 명단이 적혀 있는데, 죽책문 製述官에 大提學 吳載純, 죽책문 書寫官에 奉朝賀 徐命膺, 玉印篆文書寫官에 右議政 金熤이 참여하였다. 大行世子의 시호가 아직 정해지기 전이어서 표제에 ‘문효세자’가 빠져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조선 후기 왕실에서 행해진 왕세자 책봉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 후기 왕실은 종친의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었고, 후사는 더욱 귀하였다. 이는 왕세자 책봉의 시기를 일찍 정한 이유이기도 하다. 대한제국 수립 후 1899년(광무 3) 정조가 황제로 추존되면서 문효세자도 태자로 추증되는데, 따라서 황실 의례와도 관련이 깊다.

참고문헌

璿源系譜記略
承政院日記
日省錄
朝鮮王朝實錄

집필자

김동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