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영왕책봉금책문(英王冊封金冊文)

자료명 영왕책봉금책문(英王冊封金冊文) 저자 서정순(徐正淳)
자료명(이칭) 英王冊封金冊文 , 영왕책봉김책문(英王冊封金冊文) 저자(이칭) 徐正淳 製述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5112 MF번호 MF35-669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金石類/冊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0](광무 4년)
· 청구기호 K2-5112
· 마이크로필름 MF35-669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서정순(徐正淳) 제술(製述)

형태사항

· 크기(cm) 27.2 X 15.0
· 판본 척인본(拓印本)
· 장정 첩장(帖裝)
· 수량 1첩(帖)
· 인장 英王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0년(광무 4) 고종의 일곱째아들인 李垠(1897~1970)을 英王으로 책봉하는 金冊文을 拓本한 첩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英王冊封金冊文’이고 백색 비단 제첨에 묵서하였다. 표지는 청색 비단이고 折疊하는 형태로 제작한 帖本이다. 표지 우측에 ‘光武四年庚子七月二十三日’이라 묵서해놓았다. 拓印本으로 책수는 4折 2張이고 자수는 5行18字이다. 종이는 楮紙이다. 3면에 冊寶印 ‘英王之印’을 날인한 楮紙를 붙여놓았다. 撰者書寫面인 4면에 ‘金冊文製述官從一品崇祿大夫弘文館學士 徐正淳’, ‘書寫官從二品嘉善大夫弘文館副學士 閔景植’, ‘金印篆文書寫官從二品嘉善大夫弘文館副學士 閔景植’이라는 기록이 있다. 뒤표지의 청색 비단이 대부분 소실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표제와 금책문을 탁본한 첩과 金印, 참여 인원을 필사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제에 ‘英王冊封金冊文’이라 적혀 있다. 제후국에서는 왕비나 왕자의 존호 및 책봉 시 玉冊文과 玉印을 사용하는데, 황제국에서는 금책문과 금인을 사용한다. 親王은 본래 황제가 귀비나 후궁들 사이에서 낳은 아들에게 붙이는 호칭으로, 시대에 따라 황태자를 제외한 황제의 아들이나 황제의 형제들에게 사용되기도 하였다. 『고종실록』에 따르면, 1900년(광무 4) 8월 8일 탁지부 대신趙秉式이 親王 封號望單子에 관해 고종에게 보고하자, 고종이 직접 義親王英親王의 봉호를 정하였다고 전해진다.
 영친왕고종의 일곱째아들이며 어머니는 純獻皇貴妃 嚴氏이다. 1907년(융희 1) 이복형인 純宗이 자식이 없는 상태에서 황위에 올랐을 때 형인 의친왕을 제치고 황태자가 되었다. 그리고 1910년 일제의 국권 침탈로 순종이 ‘李王’으로 불리게 된 뒤에는 ‘李王世子’가 되었다가 1926년 순종이 승하한 뒤에 제2대 이왕으로 즉위하였다.
 1907년 황태자가 된 뒤에 統監으로 부임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후견인으로 삼아 일본으로 건너가 생활하였으며, 1915년 일본의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17년 졸업하였다. 1920년 일본의 왕족인 마사코와 결혼하였다.
 영친왕은 상해임시정부로 망명까지 추진하며 반일정신을 고수한 의친왕 李堈을 제치고 일제의 영향으로 황태자의 자리에 올랐을 뿐 아니라, 일본 왕족과 결혼하고 일본군 장성을 지내는 등 일제에 순응하는 무기력한 삶을 살았다. 그리하여 영친왕한국 귀환은 반대에 부딪쳐 실현되지 못하였다. 결국 그는 1957년 일본 국적을 취득하였고, 미국으로 이민 갈 계획을 추진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5·16군사정변이 일어난 뒤인 1962년 한국 정부에 의해 영친왕 부부의 대한민국 국적 회복이 고시되면서 이듬해인 1963년 병세가 악화된 상태에서 한국으로 귀국하였다. 그 뒤 병상에 있다가 1970년 사망하여 고종이 묻혀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洪裕陵 英園에 안장되었다.
 본문에 금책문을 탁본한 탁본첩과 함께 금인이 찍혀 있다. 마지막에 참여 인원의 명단이 적혀 있는데 금책문 製述官에 종1품 徐正淳, 書寫官과 金印篆文書寫官에 종2품 閔景植이 참여하였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대한제국기의 황실 의례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영친왕은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 그리고 임시정부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까지 생존한 황실의 인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참고문헌

承政院日記
朝鮮王朝實錄
김을한,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페이퍼로드, 2010.
연갑수, 『고종대 정치 변동 연구』, 일지사, 2008.

집필자

김동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