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어제효창묘행록묘표비명(御製孝昌墓行錄墓表碑銘)

자료명 어제효창묘행록묘표비명(御製孝昌墓行錄墓表碑銘)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御製孝昌墓行錄墓表碑銘 , 어제효창묘행록묘묘비명(御製孝昌墓行錄墓墓碑銘)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103 MF번호 MF35-669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金石類/碑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6(정조 10년)
· 청구기호 K2-5103
· 마이크로필름 MF35-6690
· 기록시기 1786年(正祖 10)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46.7 X 32.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철장(鐵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3.8×27.3㎝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제22대 국왕 正祖宜嬪 成氏 사이에서 태어난 文孝世子(1782~ 1786)의 行錄과 효창원의 墓表, 神道碑銘, 丁字閣上樑文 등을 모아놓은 첩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御製孝昌墓行錄墓表碑銘’이다. 표제는 주색 단변의 백색 비단 제첨에 묵서하였고, 표제 우측 상단에 백색 비단 첨지를 부첨하여 ‘行錄·墓表·神道碑銘·丁字閣上樑文’을 기재하였다. 표지는 雲紋이 있는 녹색 비단이고, 5침안의 鐵裝으로 장정하였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雙邊, 無魚尾의 朱絲欄에 12行22字로 필사하였다. 왕호는 대두법과 격자법을 적용하여 필사하였으며, 책수는 1책 8장이고, 종이는 壯紙이다.
체제 및 내용
 문효세자정조의 첫아들로, 純祖에게는 이복형이 된다. 1782년(정조 6)에 태어났고 그해에 元子로 定號하였다. 이후 元子輔養廳을 세우고 輔養官을 비롯하여 時原任大臣과 閣臣, 承旨, 史官들과 상견례를 했는데, 이때의 모습을 그린 것이 국립중앙박물관에 『文孝世子輔養廳契屛』으로 전한다. 이후 1784년(정조 8)에 세자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1786년(정조 10) 홍역을 앓다가 죽었다. 이에 시호를 文孝로 정하고 廟는 文禧, 무덤을 孝昌墓로 하였다가 1870년(고종 7) 효창원으로 승격하였다.
 문효세자정조가 처음 얻은 아들로 각별한 사랑을 받아 태어난 해에 바로 원자 정호가 이루어졌고, 세 살의 어린 나이에 세자 책봉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다섯 살 되던 해에 갑자기 죽자 정조는 행록과 묘표, 신도비명, 정자각 상량문을 御製로 마련하였다.
특성 및 가치
 정조문효세자를 위해 어제로 지은 행록, 묘표, 신도비명, 정자각 상량문에는 어렵게 얻은 아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마음이 잘 드러난다. 특히 행록과 신도비명은 문효세자가 태어났을 때의 기쁨과 죽었을 때의 슬픔이 잘 나타난 글이다. 묘표는 문효세자의 간략한 이력으로만 이루어져 있지만, 이는 表의 특징이다. 본 첩에는 문효세자의 죽음으로 인한 정조의 애달픈 마음이 잘 드러난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承政院日記
국립중앙박물관(www.museum.go.kr)

집필자

김충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