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고후작박공묘갈명(故侯爵朴公墓碣銘)

자료명 고후작박공묘갈명(故侯爵朴公墓碣銘) 저자 이강(李堈)
자료명(이칭) 고후작박공묘갈명(故候爵朴公墓碣銘) , 故侯爵朴公墓碣銘 저자(이칭) 李堈 撰 ;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5100 MF번호 MF35-668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金石類/碑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탁년미상(拓年未詳)
· 청구기호 K2-5100
· 마이크로필름 MF35-668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강(李堈)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1.0 X 22.3
· 판본 탁인본(拓印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제25대 국왕 哲宗의 駙馬이자 조선 말기 개화파 지식인이었던 朴泳孝(1861~1939)의 墓碣을 탁본한 첩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故侯爵朴公墓碣銘’이다. 표제는 四周雙邊의 제첨지에 인쇄하여 표지 좌측에 붙여놓았다. 표지는 唐花紋이 있는 옅은 갈색 비단이고, 백색 실을 사용하여 6침안의 선장으로 장정하였다. 1장과 2장에 박영효의 사진과 묘소 사진이 삽입되어 있고, 얇은 종이를 덧대어놓았다. 3장부터 拓印한 묘갈명의 내용이다. 책수는 1책 21장이고, 종이는 楮紙이다.
체제 및 내용
 박영효의 본관은 潘南, 자는 子純, 호는 春皐, 玄玄居士 등이다. 일본식 이름은 야마자키 에이하루(山崎永春)이다. 아버지는 朴元陽이며, 큰형은 朴泳敎, 작은형은 朴泳好이다. 1872년(고종 9) 철종의 딸 永惠翁主와 결혼하여 ‘錦陵尉’에 봉해졌으나 3개월 만에 사별하였다.
 박규수 문하에 출입하며 북학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金玉均·洪英植·徐光範 등과 친교를 맺었다. 1882년 수신사로 일본을 다녀왔다. 이때 태극기를 국기로 만들어 사용했으며, 朝日修好條規(강화도조약)의 屬約訂定을 체결하였다.
 1884년 일본의 군사적 지원을 확약받고 郵政局 낙성연을 이용하여 김옥균·홍영식·서광범·서재필 등과 함께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그러나 청나라 군대의 개입과 일본의 협조 불이행으로 정변이 실패하자 김옥균 등과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이후 일본에서 생활하다가 1894년 김홍집 내각의 내무대신으로 입각하였다. 하지만 1895년 역모 혐의로 다시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이후 친일파로 활동하다가 1939년에 사망하였고, 부산 다대포에 묘역이 조성되었다. 본 탁본첩은 부산에 있었던 묘역의 묘갈을 탁본한 것이다. 박영효는 생전에 이미 부산 다대포에 가문의 묘역을 마련해두었다. 비문은 박영효의 일생을 序로 기술하였으며, 말미에 銘이 있다. 비문의 끝에 ‘昭和十五年 庚辰 九月 日’이라고 되어 있어 비문이 박영효가 죽은 이듬해에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비문은 李堈(1877~1955)이 짓고 글씨는 閔丙奭(1858~1940)이 썼다. 이강고종의 다섯째아들로 어머니는 貴人 張氏이다. 1891년(고종 28) 義和君에 봉해졌으며, 1900년 義王이 되었다. 일본제국에 국권이 빼앗긴 뒤 항일독립투사들을 지원하였고 임시정부로 탈출을 계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일본 정부로부터 渡日을 강요받았으나 거부하고 항일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민병석의 본관은 여흥, 호는 詩南, 毅齊이다. 1879년 문과에 합격한 뒤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庚戌國賊으로 지목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 일본 정부로부터 자작의 지위를 받았다. 글씨로 이름이 나서 『高宗皇帝寶齡六旬御極四十年稱慶紀念碑』, 『東明王陵碑』 같은 비갈에 글씨를 남겼다.
특성 및 가치
 조선 말기 개화파 지식인이자 친일파로 활동한 박영효의 墓碣을 탁본한 것으로, 1958년 박영효의 손자가 묘역을 없앤 뒤에 비석이 모란공원묘지에 눕혀 있어 음기 내용을 확인하기 힘들다. 본 탁본첩은 박영효 묘갈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더불어 박영효에 대한 당대 인식을 엿볼 수 있으며, 조선 후기 서예사 자료로서도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純宗實錄
유병용 외, 『박영효 연구-한국의 인물과 사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집필자

김충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