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태릉제기개성책(泰陵祭器改成冊)

자료명 태릉제기개성책(泰陵祭器改成冊)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泰陵祭器改成冊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76 MF번호 MF35-668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85(고종 22년)
· 청구기호 K2-5076
· 마이크로필름 MF35-668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9.8 X 27.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85년(고종 22)泰陵의 업무 및 제기 사용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定式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定式’이며, 내지 서명은 ‘泰陵祭器改成冊’이다. 표지는 斜格卍字紋이 있는 황색이고, 백색 실을 사용하여 5침안의 선장으로 장정하였다. 서명은 표지에 직접 묵서하였으며, 표지 우측 상단에 ‘泰陵’, ‘祭器並錄’이라 기재하였다. 내지 서명도 직접 묵서하였으며, 우측 상단에 ‘光緖十一年乙酉六月 日’이라 필사하였다. 본문은 판식 없이 楮紙에 필사하였다. 서적의 하단 부분이 손상되어 배접한 후 제책하였다. 수정할 부분은 종이를 덧대거나 도할한 후 종이를 덧대어서 수정하였다. 본문 마지막에 영수증으로 보이는 첨지가 첨부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표제는 ‘定式’이며, 표지 우측 상단에 泰陵 祭器를 並錄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내제는 1885년 6월에 작성한 ‘泰陵祭器改成冊’이라고 되어 있다. 내제만 보면 제기를 고쳐 사용한 내역을 정리한 책으로 보이나, 제기와 관련된 내용만 서술한 것은 아니다.
 본문에 앞서 본 자료를 성책하게 된 연유가 기록되어 있다. 1892년(고종 29) 2월 태릉 참봉이 기술하였다. 1833년(순조 33) 6월 14일 이래 1885년 6월까지 書員 徐氏宗, 庫直 金一千, 行首守僕 李完哲태릉의 제기가 파손된 것이 많으나 성책이 이뤄지지 않아 이들을 중심으로 성책하게 되었다고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
 본문에는 태릉에 보관된 여러 가지 제기의 물목과 수량을 정리하였다. 銀匙부터 시작하여 案盤까지 나열되어 있다. 鍮器, 沙器 등 모두 68종의 물품이 확인된다. 수량을 기록한 하단에 혹 그것이 파손되었는지, 현재 분실된 것은 아닌지에 대한 附記가 있다.
 다음으로 祭器諸種庫直所掌이라 하여 제기와 여러 종류의 물품에 관해 고직이 담당하는 역할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所掌의 제목과 달리 태릉에 소장되어 있는 서책이 기재되어 있다. 兩位官前先生案, 大同編, 海西文書, 高陽文書, 禮曹公事文蹟 같은 것이다. 이러한 서책은 모두 20종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下記가 기재되어 있다. 하기는 태릉에서 일반 경비조로 지출되는 내역을 말한다. 兩官分兒, 守僕次下, 祭享時支供次, 庫直次下, 山直下, 兩等褒貶時酒物床價下 등이 있다. 이렇게 해서 지출하는 총합은 382냥 1전이었다. 지출하고 남은 錢文은 20냥 9전이었다.
 又隋時用下는 매년 지출하는 내역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불특정하게 지출하는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어 新官出後肅拜單子例次는 태릉에 새로운 관원이 부임할 때 지출하는 비용이다. 이러한 지출 항목은 모두 6개 항목이다. 兩等巡歷時下人例次는 두 차례 진행되는 순력에서 하인들에게 지급하는 지출 내역이다.
 香炭條는 태릉에서 사용하는 香炭의 조달 내역을 정리한 조목이다. 그러나 이 조목 또한 향탄만 기술한 것은 아니다. 時任官이 상을 당했을 때 지출하는 비용, 穀草를 조달하는 비용 등도 모두 아울러 포함되었다.
 마지막은 성책의 작성자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상단에 泰陵令泰陵參奉의 수결이 있으며, 하단에 領座, 서원, 고직, 행수수복 4명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 장에 5장의 낱장 문서가 붙어 있다.
특성 및 가치
 1885년 당시 태릉의 운영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태릉양주목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양주목과 별개로 태릉령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재정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태릉의 제기 관리를 비롯하여 재정 수입과 지출 구조까지 수록하고 있어 능의 관리 방식 전모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박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