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제례절차(祭禮節次)

자료명 제례절차(祭禮節次) 저자 이왕직예식과(李王職禮式課) 편(編)
자료명(이칭) 祭禮節次 저자(이칭) [編者未詳]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71 MF번호 MF35-668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38
· 청구기호 K2-5071
· 마이크로필름 MF35-668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예식과(李王職禮式課)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6.0 X 19.3
· 판본 등사본(謄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38년 李王職 禮式課에서 조선 왕실의 제례 절차와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祭祀’이지만, 서명은 표제를 따르지 않았다. 표지는 황색이고, 적색 실을 사용하여 5침안의 선장으로 장정하였다. 표제는 표지에 직접 묵서하였고, 표지 우측 상단에 ‘香祝附’라고 기재해놓았다. 謄寫本으로, 본문은 별도의 판식이 없으며, 종이는 洋紙를 사용하였다. 책수는 1책 102장이다. 뒤표지 이면에 昭和 13年 7月에 李王職 禮式課에서 제작하였다는 판권지로 보이는 첨지를 붙여놓았다. 언어는 국한문 혼용이다. 李王職 禮式課에서 주최한 京城 齋官 講習會의 講義錄이다.
체제 및 내용
 표제는 ‘祭祀 香祝附’이며 별도의 내제는 없다. 목차를 보면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본문 내용을 목차에 따라 크게 구분하면, 祭祀의 義, 墓制及祭禮槪論, 香祝으로 나눌 수 있다.
 ‘제사의 의’는 제사를 지내는 유래와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간략하게 정리한 글이다. 天祭와 墓祭, 時祭 등과 聖王들이 지내던 제사 예법의 의미 등에 대하여 여러 내용으로 설명해놓았다.
 ‘묘제급제례개론’는 묘의 운영과 제례의 방식을 개론적으로 정리한 부분이다. 모두 33항목으로 정리되어 있는데, 대략적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대와 조선의 묘제, 제사의 기원과 祭法, 因事祭, 薦新, 神主와 立戶, 齋戒, 誓戒, 祭器, 祝式, 祭物, 幣, 祭服, 祭官, 飮福, 燎瘞, 七祀, 配享功臣, 社稷, 陵祭享, 忌辰祭, 肇慶廟, 璿源殿, 濬源殿, 慶基殿, 咸興本宮, 永興本宮, 文昭殿, 七宮, 園號, 제사의 종류, 제사의 時日, 제사와 친행 酌禮의 구별 등이다.
 ‘향축’에는 用香의 의미, 향의 연혁, 향의 물질, 受香祝例, 傳香의 例, 親傳香祝儀, 祝文의 기원과 의미, 축문의 종류, 祝版, 祝式, 축문의 製法, 語助辭字上의 押韻, 異音과 叶韻, 平仄通韻, 押韻異例, 措辭重疊辨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본문 내용은 국한문 혼용으로 되어 있다. 중간중간에 필요한 圖說이 들어 있는데, 周墓制를 설명하기 위한 七廟圖, 朱子廟圖, 고려시대 예제인 七廟制圖 등이 확인된다.
 본서는 이왕직 예식과가 京齋官 講習會를 주최하고 그 강연록을 정리하여 1938년 7월 18일에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당시 제사 강사는 이왕직 典祀였던 李鍾能이었고, 향축 강사는 이왕직 囑託이었던 李載榮이었다.
특성 및 가치
 일제강점기에 조선 왕실의 禮制가 이왕직 예식과를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해주는 자료집이다. 당시 제사와 향축을 전문적으로 담당한 이왕직 관원들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별도의 강연회를 통해 다른 禮官들에게 조선 왕실의 예법을 전수하였다. 강연회를 통해 정리된 조선 왕실의 예법이 책의 형태로 정리되었다는 점에서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조선의 예법을 정리하고 보존하려는 노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집필자

박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