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임오가례용품무래발기(壬午嘉禮用品貿來發記)

자료명 임오가례용품무래발기(壬午嘉禮用品貿來發記)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임오가례용품무래발(壬午嘉禮用品貿來發) , 壬午嘉禮用品貿來發記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66 MF번호 MF35-668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82](고종 19년)
· 청구기호 K2-5066
· 마이크로필름 MF35-668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2.7 X 15.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18.5×11.8㎝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82년(고종 19)純宗의 왕세자 시절 嘉禮에 사용할 물품을 사들인 내역을 기재한 책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지서명은 ‘壬午嘉禮用品貿來發記’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이다. 표지 좌측 상단에 표지서명이 白紙에 기재되어 붙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 四周雙邊, 靑絲欄, 10行, 上下向靑魚尾의 印札空冊紙를 사용하였다. 卷末에 첨지를 이용하여 내용을 첨가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庚辰十一月二十二日’부터 ‘辛巳正月’, ‘(辛巳)二月’, ‘(辛巳)四月’, ‘(辛巳)五月’, ‘(辛巳)六月’, ‘(辛巳)七月’, ‘(辛巳)八月’, ‘(辛巳)十一月’, ‘(辛巳)十二月’, ‘壬午正月’, ‘(壬午)三月’, ‘(壬午)五月’, ‘(壬午)六月’, ‘(壬午)九月’, ‘(壬午)十一月’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달 동안 여러 차례 물품을 구매한 때도 있지만, 한 달에 한 번 구매하기도 하였다. ‘(임오)삼월’과 ‘(임오)오월’의 경우에는 한 달에 한 번 한 가지 물품만 구입하였다. ‘(신사)칠월’과 ‘(신사)팔월’ 항목의 경우에 ‘(신사)팔월’이 먼저 기재된 뒤에 ‘(신사)칠월’ 항목이 기재되어 있기도 하다.
 본문의 작성 방식은 대개 한 행을 임의로 3단으로 나눠서 내용을 기재하였는데, 맨 위는 물품명, 다음은 물품의 양이나 개수, 마지막은 그에 대한 가격이다. 간혹 가격의 아래에 小字로, 위의 본문 내용에 대한 설명을 기재하기도 하였다. 물품은 옷감이 대다수이며, 白銅과 같은 금속, 銃이나 交子床, 裁縫機 같은 물품, 糖屬과 같은 음식도 포함되어 있다.
 ‘경진십일월이십이일’ 항목을 살펴보면, ‘藍兩色紬 一百疋 四千兩’, ‘紫兩色 五十疋 二千兩’, ‘洋綠色 五十疋 二千兩’, ‘日藍兩色 十疋 四百兩’, ‘軟綠兩色 十疋 四百兩’, ‘綠兩色 二十疋 八百兩’, ‘黃兩色 四十疋 一千六百兩’, ‘粉紅兩色 五十三疋 二千一百二十兩’, ‘純粉紅 一百七疋 四千二百八十兩’, ‘純藍 八十疋 三千二百兩’, ‘日藍 二十疋 八百兩’, ‘多紅 七十五疋 三千兩’, ‘洋綠 十五疋 六百兩’, ‘灰色 四十疋 一千六百兩’, ‘甫羅 六十疋 二千四百兩’, ‘洋甫羅 五十疋 二千兩’, ‘銀灰色 二十五疋 一千兩’, ‘深綠 十疋 四百兩’, ‘純黃 三十五疋 一千四百兩’, ‘白 四十疋 一千六百兩’, ‘軟綠 二十疋 八百兩’이라는 글이 있다. 색으로 기재된 것은 옷감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중 마지막 ‘연록’ 물품의 가격 아래에 小字雙行으로 ‘以上紬價中一萬三千兩京錢上下入給天然亭’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는 권말에 붙어 있는 종이의 내용과 연관되는데, 우측에서 좌측의 순서로 3행에 걸쳐 ‘已上合四十七萬六千八百十五兩一戔內/庚辰十一月二十二日繪價中一萬三千兩京上下入給天然亭条除/實合文四十六萬三千七百六兩二戔’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가례에 쓰인 용품들의 전체 가격과 그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본서의 작성 시기는 1882년(고종 19)으로 추정되며, 이때 가례의 주인공은 당시 王世子로, 뒷날의 純宗(1874~1926)이다. 순종1875년(고종 12) 세자로 책봉된 후 1882년1904년 두 번의 가례를 치렀는데, 그중 첫 번째 가례이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조선 말기 가례에 쓰인 용품들의 종류와 양, 그 가격에 대해 살펴볼 수 있어 궁중 의식은 물론이고 의류, 경제, 생활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장서각에 소장된 『王世子嘉禮都監儀軌』(K2-2678) 및 궁중발기 자료를 통해 1882년 순종의 왕세자 가례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안애영, 「1882年 王世子 嘉禮 연구-『가례도감의궤』와 「궁중긔」 중심으로-」, 『藏書閣』 22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KCI

집필자

권석창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