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의장제기서적집물도록(儀仗祭器書籍什物都錄)

자료명 의장제기서적집물도록(儀仗祭器書籍什物都錄)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儀仗祭器書籍什物都錄 , 의장제기서적장물도록(儀仗祭器書籍仗物都錄)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64 MF번호 MF35-668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5(고종 32년)
· 청구기호 K2-5064
· 마이크로필름 MF35-668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3 X 26.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宮關所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5년(고종 32)泰陵의 儀仗, 祭器, 書籍, 什物 등의 종류와 수, 상태 변화 등의 점검을 위해 작성한 책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지서명은 ‘儀仗祭器書籍什物都錄’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斜格卍字 문양이 있다. 표지의 좌측 상단에 표지서명이, 우측 상단에 ‘開國五百四年乙未三月’이라는 글이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 無郭, 無絲欄, 無版心의 楮紙를 사용하였다. 본문은 대개 7행으로 기술되었으며, 字數는 일정치 않다. 본문 상단에 점을 찍거나 ‘ㄱ’ 등을 표시하여 각종 집물들을 점검한 흔적이 있다. 집물 하단에 小字로 시간이 지난 뒤의 상태 변화를 기재한 경우가 보인다. 본문 곳곳에 ‘⊙宮關所’ 인장이 다수 날인되어 있으며, 卷末에 ‘臣趙宅熙’라는 査辦官의 개인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표지 우측 상단의 기록을 통해 필사 시기가 1895년(고종 32)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殿內儀仗’, ‘祭器秩’, ‘書籍秩’, ‘齋室什物’의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장집물’에 9개, ‘제기질’에 53개, ‘서적질’에 16개, ‘재실집물’에 9개 물건이 실려 있다.
 본문의 작성 방식은 대개 각 항목에 따른 물건의 종류와 개수를 본문에 기재하였으며, 본문 아래에 小字로 그 물건에 대한 설명이나 상태 변화를 기술하였다. 예를 들어 ‘서적질’ 항목에는 ‘陵誌(舊件) 壹卷, 陵寢享禮陳設圖 壹卷, 御製飭諭 壹卷, 陵園墓樹木禁䂨節目 壹卷, 油果尺寸式帖 壹件·又油果尺寸式圖樣帖 壹件, 大典會通 伍卷, 海西七邑文書 柒卷, 高陽完文 壹度, 高陽量案文書 壹卷, 楊州都案 貳卷, 靑潭位畓新節目 壹卷, 禮曹公事文蹟 壹卷, 定式 壹卷, 禮曹都案 貳卷, 復戶完文 壹卷, 先生案 壹卷’이라는 글이 있다.
 표지 정보에 따르면 본 서적의 작성 시기는 1895년이나, 이후에 점검 등의 목적으로 내용이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의 ‘제기질’ 중에 ‘丁酉十一月…’이라는 글로 상태 변화를 기재한 부분이 나타난다. 이는 1897년(광무 1)에도 이 책이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기록이다.
 본서는 收藏處를 明示해놓지 않았지만, 권말에 ‘參奉 臣 趙重轍’이라는 기록이 있어 수장처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다. 『高宗實錄』 1896년(건양 1) 7월 10일 기사를 살펴보면 ‘泰陵 前參奉 趙重轍’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통해 본서의 수장처가 泰陵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능원에서 사용된 집물들의 종류와 개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査辦官을 파견하여 능원 집물 등을 점검하였다는 점에서 조선 왕실의 능원 관리에 대한 노력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권석창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