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영녕전열성휘호(永寧殿列聖徽號)

자료명 영녕전열성휘호(永寧殿列聖徽號) 저자 영녕전(永寧殿) 편(編)
자료명(이칭) 永寧殿列聖徽號 , 영녕전열성휘호(永寧殿列聖徽號) 저자(이칭) 永寧殿 編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58 MF번호 MF35-668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殿·宮·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51(철종 2년)
· 청구기호 K2-5058
· 마이크로필름 MF35-668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영녕전(永寧殿)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5.0 X 24.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첩장(帖裝)
· 수량 1첩(帖)
· 판식 반곽(半郭) 38.2×22.8㎝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51년(철종 2) 영녕전에 봉안된 왕과 왕비의 徽號를 기록해놓은 것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永寧殿列聖徽號’로서 서명은 표지서명을 따른다. 표지서명은 사방에 붉은 테두리를 두른 흰색 비단 제첨에 글씨를 써서 붙여놓았다. 표지 장황은 석류 문양이 있는 황색 비단을 사용하였고, 장정은 호접장으로 해놓았다. 본문의 판식은 5행의 상하쌍변 주사란을 직접 그어 사용하였다. 글씨는 반듯한 해서로 썼는데, 각 실에 대해서는 두꺼운 글자로 쓰고, 휘호에 대해서는 크기가 작은 소자로 써놓았다. 책수는 7절 14면 1책이다.
체제 및 내용
 永寧殿은 조선시대 太祖 李成桂의 추존 4대조와 그 비, 대가 끊어진 임금과 그 비를 봉안하던 사당으로, 宗廟의 서쪽에 있다. 世宗定宗의 신주를 모실 곳이 이미 없게 되자, 중국 宋나라의 四祖殿을 따라 別廟의 개념으로 영녕전을 건립하였다. 왕과 그 비가 죽으면 신주를 종묘에 모시다가 不遷位를 제외하고 사친의 범위를 넘어서면 ‘親盡’이라 하여 영녕전으로 옮기는 祧遷을 한다. 그러므로 종묘영녕전은 禮制라는 입장과 공간 규모라는 면에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영녕전에 신위를 봉안하는 방식은 먼저 동협실에서 모시다가 공간이 다 차면 서협실로 옮긴다. 세월이 흐르면서 봉안해야 할 국왕들이 점차 증가하여 불가피하게 좌우 협실을 증축했으니, 이후에는 종묘의 정전보다 좌우로 더 기다란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 증축한 시기는 다음과 같다.
 
 1421년(세종 3), 정전 4칸, 좌우 협실 각 2칸, 총 8칸.
 1608년(광해군 즉위), 정전 4칸, 좌우 협실 각 3칸, 총 10칸.
 1667년(현종 8), 정전 4칸, 좌우 협실 각 4칸, 총 12칸.
 1836년(헌종 2), 정전 4칸, 좌우 협실 각 6칸, 총 16칸.
 
 현재의 모습으로 바뀐 마지막 증축은 1835년(헌종 1) 6월 20일 호조판서 李止淵(1777~1841)의 건의로 시작되었다. 그 결과 위의 내용처럼 1836년영녕전은 좌우 익실을 각 2칸씩 증축하여 각 6칸이 되었고, 종묘의 정전은 동변으로 4칸을 증축하였다. 본서의 영녕전에 봉안된 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작성 시기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그 일자를 정리한 표이다.
 
『永寧殿列聖徽號』의 봉안된 왕과 조천 일자
순번 일자 견신 제사 이름
제1실 穆王 孝妃(恭孝王后 李氏) 1421년(세종 3)
12월 16일
제2실 翼王 貞妃(貞淑王后 崔氏) 1452년(문종 2)
4월 9일
제3실 度王 敬妃(敬順王后 朴氏) 1454년(단종 2)
7월 15일
제4실 桓王 懿妃(懿惠王后 崔氏) 1472년(성종 3)
정월 12일
제5실 定宗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 順德溫明莊懿定安王后
(定安王后 金氏)
1496년(연산군 2)
정월 20일
제6실 文宗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 仁孝順惠顯德王后
(顯德王后 權氏)
1569년(선조 2)
8월 16일
제7실 端宗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 懿德端良齊敬定順王后
(定順王后 宋氏)
1698년(숙종 24)
12월 24일
제8실 德宗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 徽肅明懿昭惠王后
(昭惠王后 韓氏)
1610년(광해군 2)
4월 10일
제9실 睿宗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徽仁昭德章順王后
(章順王后 韓氏)
昭徽齊淑安順王后
(安順王后 韓氏)
1610년(광해군 2)
4월 10일
제10실 仁宗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 孝順恭懿仁聖王后
(仁聖王后 朴氏)
1661년(현종 2)
7월 3일
제11실 明宗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 宣烈懿聖仁順王后
(仁順王后 沈氏)
1661년(현종 2)
7월 5일
제12실 元宗敬德仁憲靖穆章孝大王 敬懿貞靖仁獻王后
(仁獻王后 具氏)
1722년(경종 2)
8월 8일
제13실 景宗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 恭孝定穆端懿王后
(端懿王后 沈氏)
敬純孝仁惠穆宣懿王后
(宣懿王后 魚氏)
1837년(헌종 3)
1월 7일
제14실 眞宗溫良睿明哲文孝章大王 徽貞賢淑孝純王后
(孝純王后 趙氏)
1851년(철종 2)
6월 9일
 
 현재의 영녕전에는 동협실에 사도세자莊祖英親王이 봉안되어 총 16실이 있다. 본서에 마지막으로 봉안된 왕은 진종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1851년 철종 때 시행한 결과이다. 특히 진종철종에게 증조부가 되므로 친진에 해당하지 않아 종묘에 있어야 하지만 영녕전으로 조천을 하였다. 또 장조는 원래 경모궁에 봉안되었다가 고종이 황제로 등극한 때에 이를 추숭하면서 종묘에 躋祔하고, 이후 영녕전에 조천하였다. 이로써 종합해본다면 본서는 1851년철종진종종묘에서 영녕전으로 조천하면서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특성 및 가치
 종묘영녕전에 모신 조선 역대 왕들의 명단은 宗統을 중시한 유교 사회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다. 하지만 재위가 부계 혈통으로 이어지지 않고 형제간으로 갈 경우나, 또 왕가의 종법과 함께 私親의 처리 문제에 변화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본서는 조선 왕조의 종통 고찰이라는 면에서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承政院日記
이현진, 「도설로 본 조선시대 宗廟와 永寧殿의 변화」, 『한국고지도연구』 제7권 제2호,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5.KCI
이현진, 「조선후기 永寧殿의 운영과 增修論」, 『韓國文化』,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문화연구소, 2004.KCI

집필자

박경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