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어제의빈삼년후각제축문(御製宜嬪三年後各祭祝文)

자료명 어제의빈삼년후각제축문(御製宜嬪三年後各祭祝文) 저자 정조(正祖)
자료명(이칭) 御製宜嬪三年後各祭祝文 저자(이칭) [編者未詳]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53 MF번호 MF35-668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殿·宮·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9](정조 13년)
· 청구기호 K2-5053
· 마이크로필름 MF35-668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조(正祖) 어제(御製)

형태사항

· 크기(cm) 46.2 X 32.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철장(鐵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4.9×25.9㎝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宜嬪 成氏의 상장례를 모두 마치고 탈상한 후 1년 동안 지낸 각종 제사 때 正祖가 작성한 어제 축문을 모은 것이다.
서지사항
 본문 첫 장의 서명과 표지서명은 ‘御製宜嬪三年後各祭祝文’이다. 표지서명은 사방에 붉은 테두리를 두른 흰색 비단에 글씨를 써서 붙여놓았다. 앞표지 중앙에 표지서명처럼 목록을 적은 흰색 비단도 같이 붙어 있다. 표지 장황은 구름 문양이 있는 녹색 비단을 사용하였고, 장정은 당초 문양이 새겨진 철판을 앞뒤로 붙인 鐵裝으로 해놓았다. 본문의 판식은 12행 사주쌍변의 주사란을 직접 그어 사용하였으며, 글씨는 반듯한 해서로 써놓았다. 국왕의 ‘國’ 자를 모두 상단의 계선보다 한 글자씩 더 높이 대두해놓았다. 책수는 1책 4장이다.
체제 및 내용
 宜嬪 成氏(1753~1786)의 상장례를 모두 마치고 탈상한 후의 각종 제사에 대해 正祖(1752~1800)가 작성한 어제 축문을 모아놓은 것이다. 실제 문서의 등록이 아니라 연도와 遣臣의 이름이 없는 축문식을 적어놓은 것이다.
 본서는 『御製宜嬪三年內各祭祝文』(K2-5052)과 서로 맥락이 연결되는 책이다. 3년 내 각 제축문에는 32종의 축문이 실려 있는데, 본서에는 16종의 축문을 기록해놓았다. 축문의 순서대로 제사를 살펴보면, ① 朔祭, ② 望祭, ③ 生辰茶禮, ④ 正朝, ⑤ 寒食, ⑥ 三日, ⑦ 端午, ⑧ 秋夕, ⑨ 九日, ⑩ 冬至, ⑪ 仲春, ⑫ 仲夏, ⑬ 仲秋, ⑭ 仲冬, ⑮ 臘日, ⑯ 忌日로 1년 동안 지낸 각종 제사의 축문이다. 이와 함께 장서각 소장의 『고문서집성 11-장서각편Ⅱ』에는 1789년에 작성한 ‘의빈 성씨 유제문’이라는 이름으로 연도와 견신의 이름이 적힌 실제로 사용했던 축문 36건이 실려 있다. 그 목록을 정리해서 본서의 제사 이름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고문서집성 11-장서각편Ⅱ』, 의빈 성씨 유제문
순번 일자 견신 본문 첫 구절 제사 이름
1 기유(1789) 2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2 기유(1789) 2월 3일 崔東岳(도총관) 難淹者辰 聿回令節  
3 기유(1789) 2월 10일 崔朝岳(동지중추부사) 難淹者辰 聿回令節  
4 기유(1789) 2월 15일 成湜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5 기유(1789) 2월 15일 崔東岳(도총관)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6 기유(1789) 2월 24일 金箕性(광은부위) 時維仲春 禮有常禋 ⑪ 仲春
7 기유(1789) 3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8 기유(1789) 4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9 기유(1789) 4월 15일 成湜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10 기유(1789) 4월 24일 崔東岳(도총관) 塵牖渝壁 一宜修新  
11 기유(1789) 4월 24일 崔東岳(도총관) 堂室改觀 載煥載完  
12 기유(1789) 5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13 기유(1789) 5월 5일 朴明源(금성위) 難淹者辰 聿回令節 ⑦ 端午
14 기유(1789) 5월 15일 成湜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15 기유(1789) 5월 28일 金魯永(수원부사) 時維仲夏 禮有常禋 ⑫ 仲夏
16 기유(1789) 윤5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17 기유(1789) 윤5월 15일 成湜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18 기유(1789) 6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19 기유(1789) 7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20 기유(1789) 7월 8일 崔東岳(도총관) 每歲此日 至必如期 ③ 生辰茶禮
21 기유(1789) 7월 15일 崔東岳(도총관)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22 기유(1789) 8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23 기유(1789) 8월 5일 金思穆(한성부좌윤) 時維仲秋 禮有常禋 ⑬ 仲秋
24 기유(1789) 8월 15일 黃仁點(창성위) 難淹者辰 聿回令節 ⑧ 秋夕
25 기유(1789) 9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26 기유(1789) 9월 9일 崔東岳(호군) 難淹者辰 聿回令節 ⑨ 九日
27 기유(1789) 9월 14일 金魯永(행부사직) 歲序遷易 忌辰復至 ⑯忌日
28 기유(1789) 9월 15일 成湜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29 기유(1789) 10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30 기유(1789) 10월 15일 成湜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31 기유(1789) 11월 1일 成湜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32 기유(1789) 11월 5일 金思穆(행부사직) 時維仲冬 禮有常禋 ⑭ 仲冬
33 기유(1789) 11월 15일 成湜(부사용)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34 기유(1789) 12월 1일 成湜(부사용) 日居月諸 亦旣云朔 ① 朔祭
35 기유(1789) 12월 8일 黃仁點(창성위) 時維嘉平 禮有常禋 ⑮ 臘日
36 기유(1789) 12월 15일 成湜(부사용) 盈虛如彼 烏兎相望 ② 望祭
 
 축문의 본문 첫 구절을 살펴보면 각 제사마다 일정한 투식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매월 초1일에 지내는 삭제에는 ‘세월이 흘러가서 또한 이미 초하루가 되었네(日居月諸 亦旣云朔)’를 투식으로 사용하였고, 15일에 지내는 망제에는 ‘차고 기울기가 저처럼 하여 까마귀와 토끼(해와 달)가 서로 바라보네(盈虛如彼 烏兎相望)’라는 구절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삭망제가 아닌 생신이나 기일에는 ‘해가 바뀌어 기일이 다시 돌아왔네(歲序遷易 忌辰復至)’ 등 다른 문구를 사용하고 있다.
 『고문서집성』의 실제 축문은 36건인데, 본서의 축문은 16종이다. 그러므로 이는 정조가 작성한 어제 축문 전체를 전사한 등록본이 아니라 해당 제사 때마다 사용한 축문 서식을 정리해서 기록한 서식본으로 봐야 할 것이다. 또 10번, 11번은 아마 사당 건물을 옮겼을 때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데, 본서에는 실려 있지 않다.
특성 및 가치
 왕실 비빈들의 제사에 사용한 축문을 한곳에 정리해놓았다는 측면에서 다른 제축문들을 살피는 데 필수적인 자료이다. 또한 정조가 작성한 의제문이라는 점과 의빈 성씨를 향한 정조의 정리가 담겼다는 점이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 현대의 입장에서 보면 의식적으로 규정화된 축문에 대한 왕실의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承政院日記
고문서집성 11-장서각편 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집필자

박경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