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각릉기진제축문(各陵忌辰祭祝文)

자료명 각릉기진제축문(各陵忌辰祭祝文)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各陵忌辰祭祝文 저자(이칭) ,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22 MF번호 MF35-668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陵·園·墓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5022
· 마이크로필름 MF35-668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57.5 X 3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43.1×30.5㎝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기일 제사에 쓴 제축문들의 서식을 모아서 등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본문 첫 장의 서명과 표지서명은 ‘各陵忌辰祭祝文’이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황색 종이를 사용하였고, 주황색 실로 선장해놓았다. 본문의 판식은 16행의 오사란을 직접 그어 사용한 것이다. 본문의 글씨는 해서로 작성하였다. 책수는 1책 12장이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조선시대 각 능의 기신제 때 사용한 축문을 모아 기록한 것이다. 태조 이성계부터 철종과 그의 비 인장왕후 김씨까지 적혀 있으며, 고종 때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기신제는 선조 이후부터 불교식을 대신하여 대체적으로 왕릉에서 시행하였다. 기신제의 정비는 영조 때 이루어졌는데, 주로 신하들을 보내 지내던 것들을 영조가 직접 가서 친행을 시행하였다. 이후부터 기신제는 왕릉에 직접 가서 지내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주자가례』에서 중시한 사계절의 중간 달에 지내는 사시제보다 조선에서는 기일 제사를 더 중시하였다.
 축문은 제사의 과정에서 초헌 때 신위의 오른쪽에 가서 무릎을 꿇고 읽는 것이다. 축문의 구성은 연도, 제주자, 제사 대상자, 기일이 되어 술과 음식을 드린다는 내용의 본문으로 이루어지고, 마지막에 흠향하라는 의미의 ‘尙饗’으로 마무리한다. 본문의 내용은 “삼가 시간이 흘러 휘일이 이에 임하여 기꺼이 보잘것없는 의식을 갖추어 미미한 정성을 표현하니, 삼가 맑은 술과 제수를 올려 밝은 제사를 드립니다(伏以光陰易逝 諱辰載臨 聊蕆菲儀 式表微忱 謹以淸酌庶羞 式陳明薦).”로 되어 있다. 본서에 적힌 서식은 제사 대상자만 달리 적고 나머지는 모두 동일한 형식으로 되어 있다. 다만 제주자를 孝玄孫으로 적다가 증조고인 正祖부터 고종 자신을 孝曾孫으로 적고 있다.
 본서에 적힌 기신제 대상자는 총 46인으로, 기록된 제사 일시와 대상자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순서 능명 제사 일시 대상자
1 健元陵 5월 24일 태조
2 齊陵 9월 23일 조비 고황후 한씨
3 貞陵 8월 13일 조비 고황후 강씨
4 獻陵 5월 10일 태종
5 獻陵 7월 10일 조비 원경왕후 민씨
6 英陵 2월 17일 세종
7 英陵 3월 24일 조비 소헌왕후 심씨
8 光陵 9월 7일 세조
9 光陵 3월 30일 조비 정희왕후 윤씨
10 宣陵 12월 24일 성종
11 順陵 4월 15일 조비 공혜왕후 한씨
12 宣陵 8월 22일 조비 정현왕후 윤씨
13 靖陵 11월 15일 중종
14 溫陵 12월 7일 조비 단경왕후 신씨
15 禧陵 3월 2일 조비 장경왕후 윤씨
16 泰陵 4월 7일 조비 문정왕후 윤씨
17 穆陵 2월 선조
18 穆陵 6월 27일 조비 의인왕후 박씨
19 穆陵 6월 28일 조비 인목왕후 김씨
20 長陵 5월 8일 인조
21 長陵 12월 9일 조비 인렬왕후 한씨
22 徽陵 8월 26일 조비 장렬왕후 조씨
23 寧陵 5월 4일 효종
24 寧陵 2월 24일 조비 인선왕후 장씨
25 崇陵 8월 18일 현종
26 崇陵 12월 5일 조비 명성왕후 김씨
27 明陵 6월 8일 숙종
28 翼陵 10월 26일 조비 인경왕후 김씨
29 明陵 8월 14일 조비 인현왕후 민씨
30 明陵 3월 26일 조비 인원왕후 김씨
31 元陵 3월 5일 영조
32 弘陵 2월 15일 조비 정성왕후 서씨
33 元陵 1월 12일 조비 정순왕후 김씨
34 隆陵 5월 21일 고조고 장조
35 隆陵 12월 15일 고조비 경의황후 홍씨
36 健陵 6월 28일 증조고 정조
37 健陵 3월 9일 증조비 의선황후 김씨
38 仁陵 11월 13일 조고 순조
39 仁陵 8월 4일 조비 원숙황후 김씨
40 綏陵 5월 6일 문조
41 綏陵 4월 17일 정익황후 조씨
42 景陵 6월 6일 헌종
43 景陵 8월 25일 현성황후 김씨
44 景陵 11월 15일 정성황후 홍씨
45 睿陵 12월 8일 숙고 철종
46 睿陵 5월 12일 숙비 인장황후 김씨
 
 이를 다시 월별로 정리해보면, 1월(1명), 2월(4명), 3월(6명), 4월(3명), 5월(7명), 6월(5명), 7월(1명), 8월(7명), 9월(2명), 10월(1명), 11월(3명), 12월(6명)이다. 5월과 8월이 7명, 3월과 12월이 6명으로 가장 많은 제사를 지냈다. 조선의 역대 국왕 중에서 정종, 문종, 단종, 예종, 연산군, 인종, 명종, 광해군, 경종이 빠져 있다. 보위 기간이 짧은 왕들은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장서각 소장으로 단독 능의 축문식을 적은 것은 『敬陵祝式』(K2-2283), 『順陵祝式』(K2-2337), 『永陵祝式』(K2-2347), 『昌陵祝式』(K2-2376), 『弘陵祝式』(K2-2392), 『康陵祭祝式』(K2-5025)이 있다. 각 능의 기신제 축문뿐만 아니라 제문과 홀기, 제수에 대한 물목 등을 종합적으로 살핀다면, 조선시대 제향을 고찰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 역대 국왕과 왕비들의 기일을 살필 수 있고, 이들에 대한 제향 때 사용한 축문의 실제 내용을 한곳에서 모두 살필 수 있다. 의례를 중시한 조선시대 왕실의 제향을 고찰할 수 있는 사료이다.

참고문헌

장서각도서한국본해제 정서류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8.
정재훈, 「조선후기 왕실 忌辰祭의 설행과 운영」, 『규장각』 제31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KCI

집필자

박경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