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각궁원제축식(各宮園祭祝式)

자료명 각궁원제축식(各宮園祭祝式) 저자 편저미상(編著未詳)
자료명(이칭) 各宮園祭祝式 저자(이칭) , [編著未詳]
청구기호 K2-5021 MF번호 MF35-668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殿·宮·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29
· 청구기호 K2-5021
· 마이크로필름 MF35-6681
· 기록시기 1929年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저미상(編著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57.5 X 38.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6×28.6㎝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시대 국왕의 私親인 후궁들의 각 宮과 園의 제사에 쓰는 축문 서식을 모아서 기록해놓은 책이다. 1929년 이후 毓祥宮 건물에 七宮을 합사하면서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서지사항
 본문 첫 장의 서명과 표지서명은 ‘各宮園祭祝式’이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황색 종이를 사용하였고, 주황색 실로 선장해놓았다. 본문의 판식은 15행의 오사란을 직접 그어 사용한 것이다. 본문의 글씨는 해서로 작성하였다. 책수는 1책 8장이다.
체제 및 내용
 조선시대 宮과 園은 후궁들 중에서 그 아들이 국왕 혹은 추존된 국왕이 되어 자신의 친모인 私親을 봉안한 사당과 무덤을 말한다. 본서는 이들에 대해 제사지낼 때 사용한 축문 서식을 기록한 것이다.
 마지막에 기록된 純獻貴妃 嚴氏고종의 후비이자 영친왕의 생모로서, 몰년이 1911년 7월이다. 1908년(순종 2) 6월 25일에 순종이 발표한 칙령 제50호 ‘享祀釐正에 관한 件’에 따라 毓祥宮 건물에 위실을 설치하여 다섯 궁을 같이 봉안하게 하고 일년에 두 번의 제향과 기신제만 지내게 하였다. 또 1929년 7월 11일 德安宮도 옮겨와서 ‘칠궁’ 신위를 만들고 모두 한 곳에서 합사를 지냈다. 덕안궁이 포함된 것으로 보아 본서는 이때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본서의 전체를 살펴보면, 궁이 6곳이고 원이 11곳으로, 총 대상자는 11명이다. 제사의 시기는 봄가을 제사와 청명일 제사, 기신제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적어놓았다. 각 宮들은 봄가을 제사를 적어놓았고, 각 園들은 기신제와 청명일의 제사 축문식을 적어놓았다. 이전의 동일 자료에서 보이는 俗節祭가 청명제로, 四仲朔祭가 춘추제로 바뀌어 기록된 것이다. 본서에 기록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순서 궁원명 제축식 시기 대상자 관련 인물
1 儲慶宮 春秋祭祝式 인빈 김씨 원종 생모
2 順康園 淸明祭祝式 인빈 김씨 원종 생모
3 毓祥宮 春秋祭祝式 숙빈 최씨 영조 생모
4 昭寧園 忌辰祭祝式 숙빈 최씨 영조 생모
5 昭寧園 淸明祭祝式 숙빈 최씨 영조 생모
6 延祜宮 春秋祭祝式 정빈 이씨 진종 생모
7 綏吉園 淸明祭祝式 정빈 이씨 진종 생모
8 宣禧宮 春秋祭祝式 영빈 이씨 사도세자 생모
9 綏慶園 忌辰祭祝式 영빈 이씨 사도세자 생모
10 綏慶園 淸明祭祝式 영빈 이씨 사도세자 생모
11 景祐宮 春秋祭祝式 유빈 박씨 순조 생모
12 徽慶園 忌辰祭祝式 유빈 박씨 순조 생모
13 徽慶園 淸明祭祝式 유빈 박씨 순조 생모
14 順昌園 淸明祭祝式 순회세자, 공회빈 윤씨 명종의 장남, 순회세자
15 昭慶園 淸明祭祝式 소현세자 인조 장남
16 永懷園 淸明祭祝式 민회빈 강씨 소현세자
17 懿寧園 淸明祭祝式 의소세손 사도세자 장남
18 孝昌園 淸明祭祝式 문효세자 정조 장남
19 德安宮 春秋祭祝式 순헌귀비 엄씨 영친왕 생모
20 永徽園 忌辰祭祝式 순헌귀비 엄씨 영친왕 생모
21 永徽園 淸明祭祝式 순헌귀비 엄씨 영친왕 생모
 
 각 궁원의 제축식을 한곳에 모아 기록한 것 외에 독립적으로 기록한 『景祐宮四仲朔祭祝式』(K2-5024), 『景祐宮春秋分祭祝式』(K2-5027), 『德安宮春秋分祭祝式』(K2-5036), 『宣禧宮春秋分祭祝式』(K2-5046), 『延祜宮春秋分祭祝式』(K2-5056), 『延祜宮春秋享祭祝式』(K2-5057), 『毓祥宮四仲朔時祭祝式』(K2-5061), 『毓祥宮春秋分祭祝式』(K2-5062), 『儲慶宮春秋分祭祝式』(K2-5067), 『儲慶宮春秋享祭祝式』(K2-5068) 등이 남아 있다. 서로 비교해봤을 때 축문 서식을 기록한 것이므로 내용은 대동소이하지만, 시기에 따라 祭主者의 명칭을 다르게 적어놓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 왕비가 아닌 국왕 사친들의 제사에 쓰는 축문 서식을 한곳에 모아 기록해놓았다는 점과 일제강점기 황실의 격하된 위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가질 것이다.

참고문헌

장서각도서한국본해제 정서류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9.

집필자

박경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