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갑계첩(甲契帖)

자료명 갑계첩(甲契帖)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甲契帖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07 MF번호 MF35-667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5007
· 마이크로필름 MF35-667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5.4 X 16.5
· 판본 복사본(複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19.2×13.4㎝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갑자년(1564)생 관원들의 계 모임 자료를 정리한 帖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 권수제는 ‘甲稧帖’이다. 표지는 민무늬의 황갈색이며, 황갈색 실을 사용하여 5침안의 線裝으로 장정하였다. 서명은 표지 좌측 상단에 직접 墨書하였다. 필사본을 복사한 複寫本이며, 1冊 45張이고, 종이는 洋紙를 사용하였다. 복사한 앞표지 이면에 인장 ‘藏書閣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甲稧’는 갑자년에 태어난 관원들의 계모임을 말한다. 갑자년1564년으로 명종 19년이다. 첫부분에 계에 참여하는 관원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는데, 모두 30명이다. 기재 방식은 성명, 字, 號, 출생 월일, 本貫, 소과의 입격과 대과 급제 기록, 官歷 순이다. 계에 참여한 대표적인 인물로 李廷龜, 權盼, 閔馨男, 尹暘, 洪熹 등이 있다.
 계모임을 운영하기 위한 담당 실무진으로 書吏를 두고 있었다. 이들은 夏稧書吏로 지칭되었는데, 모두 3인이었다. 이들도 갑자년 출생인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나, 기재된 출생 월일로 보아 서리 중에서 갑자년 출생자를 하계서리로 운영한 것으로 보인다.
 稧憲은 모두 6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1600년(선조 33) 講信日에 詳定했다고 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계의 모임은 春秋 강신일에 有司가 回文하는 방식으로 통지하고, 유사는 3인을 두어서 서로 바꾸도록 하였다. 또한 4喪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서로 구호하도록 했다. 또한 訃告를 들으면 반드시 유사가 회문하고, 米 1斗씩을 成服 전에 喪家 稧員에게 보내도록 하였다. 계원이 혹 외직에 임명되어 나아갈 경우에는 부임 3개월 내에 正木을 보내는데, 3품 이상일 경우 3필, 2품 이상일 경우 4필, 3품 이하의 경우 2필을 보내도록 했다.
 題甲稧帖後는 1616년(광해군 8) 월사 이정구가 술에 취해 帖 아래에 쓴 글을 옮겨놓은 것이다. 甲稧記事는 갑계가 운영된 일화를 기록한 글이다. 懶眞公回甲庚稧宴六員酬唱韻은 1624년(인조 2) 당시 회갑을 맞이한 6인의 계원이 모여서 남긴 시를 수록한 것이다. ‘懶眞’은 李好信의 호이다.
 이 외에도 司贍亭甲會酬唱韻, 1616년 丙辰元月夜同席感懷, 月沙南郭兩令公一時來訪鼎坐口占 등 모임을 가졌을 당시에 지은 시와 여러 글들을 모두 모아서 稧帖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또한 ‘甲稧序’라는 명칭의 글들이 여러 편 확인된다. 서문을 작성한 주체는 계원이 아니라 계원의 후손들로, 甲稧와 관련된 자료를 모아 수집하는 과정에서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는 朴芝浦의 외증손 權愈가 작성한 서문, 두 번째는 朴南郭의 증손이 작성한 朴泰恒의 서문, 세 번째는 박지포의 손자인 朴煊이 작성한 서문, 네 번째는 柳潚의 현손인 柳譢가 작성한 서문이다. 다섯 번째는 安芹田의 9대손인 安羲默의 서문이다. 그 밖에 안근전의 9대손인 안좌묵이 작성한 발문도 있다. 가장 마지막은 甲稧諸公子孫錄이다. 확인할 수 있는 계원의 자손 명단을 기록해두었다.
특성 및 가치
 선조 연간 형성된 중앙 관원 중심의 稧가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계의 운영과 관련된 명단, 조직 형태, 운영 방식 등을 소상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언제 계모임이 형성되었는지도 수록된 여러 시의 작성 연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갑계가 후손들에게 그대로 이어지고 있었음을 여러 편의 서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윤진영, 「안동 지역 문중 소장 계회도의 내용과 성격」, 『국학연구』 4, 한국국학진흥원, 2004.

집필자

박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